공공운수노조 "'아들 특혜 입원' 의혹 홍남기 사퇴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가 홍남기 부총리 아들의 '특혜 입원' 의혹과 관련해 홍 부총리의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앞서 KBS는 어제 단독 보도를 통해 홍 부총리의 아들 홍 모 씨의 특혜 입원 의혹을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홍씨는 아버지인 홍 부총리와 김 원장이 전화 통화를 한 뒤 서울대병원 1인실 특실에 2박 3일간 입원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가 홍남기 부총리 아들의 ‘특혜 입원’ 의혹과 관련해 홍 부총리의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공공운수노조는 오늘(3일) 서울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재부와 서울대병원은 국민 앞에 즉각 진상을 밝히라”고 요구했습니다.
노조는 “위중증 환자가 최고 수준이고 병상 하나라도 더 확보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라며 “그런데 부총리는 아들 특혜 의혹에 휩싸여 있으니 참담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기재부는 서울대병원장과 통화는 했으나 청탁은 없었다는 입장이지만 통화 직후 ‘타병원 이동’ 결정이 ‘특실 입원’으로 뒤집혔다”며 “통화 자체가 청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김혜정 서울대병원 간호사는 “환자 치료에 헌신해온 의료진들은 자괴감을 느낀다”며 “인맥과 돈 없는 환자들은 이번 일로 어떤 감정을 느끼겠나”고 말했습니다.
김 간호사는 “경증 환자 입원을 자제시키라는 서울대병원 규정을 만든 사람과 지키는 사람이 따로 있지 않다”며 “전 국민이 병상 부족으로 고통받는데 특권층만 쓰는 특실이 서울대병원에 왜 필요한가”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들은 홍 부총리가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또 김연수 서울대병원장의 해명과 정부의 재택치료 방침 철회, 코로나19 병상 확보 등도 촉구했습니다.
앞서 KBS는 어제 단독 보도를 통해 홍 부총리의 아들 홍 모 씨의 특혜 입원 의혹을 보도했습니다.
홍 씨는 지난달 24일 허벅지 발열과 통증 등으로 서울대병원 응급실을 찾았지만, 응급 상황은 아니라는 진단을 받고 다른 병원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홍씨는 아버지인 홍 부총리와 김 원장이 전화 통화를 한 뒤 서울대병원 1인실 특실에 2박 3일간 입원했습니다.
홍 부총리 측은 “평소 친한 김연수 원장께 전화 통화를 한 바 있으나 남아 있던 특실에 입원한 것으로 안다”며 “코로나19 환자 입원이나 병상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모은희 기자 (monnie@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고교 야구 학폭 잔혹사’…무너진 유망주의 꿈
- 한 동네서 석 달 동안 20마리 사체…동물 학대 “신고조차 두려워”
- 민주당 조동연 ‘사의’…윤석열-이준석 갈등
- 손흥민, 리그 5경기 만에 골…연말 골 폭풍 예고!
- 오늘도 ‘욕먹을’ 각오하고 지하철에 탔다
- [박종훈의 경제한방] 2022년에는 어떤 전략으로 금융시장에 대비해야 할까?
- 모든 입국자 열흘 격리…여행객·예비부부 등 대혼란
- [특파원 리포트] 아버지가 독재에 기여했다면, 딸은 걸그룹 스타가 될 수 없을까
- 집값 하락 가능성↑…수도권 아파트 심리, ‘팔자’ 전환
- [K피플] 청룡영화상 5관왕 ‘모가디슈’ 아카데미상 가능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