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의 일자리가 지속가능개발 목표 달성한다

서혜빈 2021. 12. 3. 15: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협동조합연맹(ICA)이 주최하는 '제33차 세계협동조합대회' 셋째날인 3일, 협동조합 정체성을 실천하기 위한 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보람있는 일자리' 세션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환경 속에서 협동조합은 어떻게 변화에 적응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을지 논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33차 세계협동조합대회】
정체성 실천: 보람있는 일자리 세션

협동조합 통해 비공식 노동자들 조직화
역량 강화와 정체성 찾는 노력 필요

협동조합도 디지털 환경 변화에 대응해야
재숙련 교육 제공과 새로운 비즈니스 발굴 필요

양질의 일자리가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의 시작
1~3일 사흘 일정 마치고 폐막

국제협동조합연맹(ICA)이 주최하는 ‘제33차 세계협동조합대회’ 셋째날인 3일, 협동조합 정체성을 실천하기 위한 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보람있는 일자리’ 세션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환경 속에서 협동조합은 어떻게 변화에 적응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을지 논의했다.

미라이 채터지 인도 여성자영업자연합회(SEWA) 회장은 인도의 보건의료협동조합과 농업협동조합 사례를 공유하면서 “비공식 노동자로 분류된 여성 노동자들이 협동조합을 통해 조직화하고, 종사자이자 사용자이자 경영자로서 일하면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배웠다. 이들의 활약은 팬데믹 상황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불확실성으로 누구도 나서지 않는 상황에서도 이들은 주민에게 약과 방역 물품을 전달하고, 어려운 농민들에게 씨앗 종자와 비료를 제공하는 등 마을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더라”라며 노동자 조직화와 역량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영미 한국가사노동자협회 대표는 제도적 공백과 낮은 사회적 인식으로 사회적으로 보호받지 못한 돌봄노동자들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최 대표는 지난 5월 제정된 가사노동자보호법의 의의를 전하면서도 “우리 스스로 정체성을 찾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동자 자신의 위치를 정의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을 고민해볼 수 있도록 정체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시장이 빠르게 온라인화되고 있는데, 협동조합은 어떻게 차별적인 비즈니스를 만들어낼 것인지, 그리고 이 안에서 조합원의 역량 강화는 어떻게 할 것인지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바만 압둘라히 이란 협동조합중앙회 회장은 “협동조합이 추구하는 노동환경이 유엔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8번 목표와 연결된다”며, 양질의 일자리 개발에 주목했다. 그는 “인공지능의 등장이 일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꾸고, 저숙련이나 취약계층 일자리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고 했다. 압둘라이 회장은 협동조합이 빠르게 주류 기술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국제협동조합연맹에 △노동자 대상 기술 교육 등 재숙련 프로그램 제공 △인공지능을 활용한 협동조합 간 협업 기회 제공 △페어비앤비, 업앤고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성공한 플랫폼 사례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찾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제안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안나 비온디 국제노동기구 노동조합활동지원국 부국장은 “국제노동기구가 2019년 발표한 100주년 선언문에도 인간 중심의 노동 사회를 언급했다. 협동조합이 추구하는 민주적 소유 구조 원칙과 매우 흡사하다”라고 했다. 그는 “기술의 변화로 나타나는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생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기술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봐야한다”고 제안했다.

오사무 나가노 일본노동자협동조합협의회장은 이날 “협동조합이 추구하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동권 보장, 노동자에게 다양한 사회보장과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치들은 여성, 이민자, 취약계층, 저소득 비공식 노동자의 사회적 위치 상승에 도움을 준다”며 “노동은 다른 모든 문제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양질의 노동이 없다면 지속가능개발목표의 다른 목표들도 달성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이날 세션을 정리했다.

‘협동조합 정체성에 깊이를 더하다’라는 주제로 1일부터 열린 제33차 세계협동조합대회는 사흘간의 전체 행사를 정리한 결론을 발표하고 폐막한다.

서혜빈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원 hyebin@hani.co.kr

3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제33차 세계협동조합대회’에서 ‘보람있는 일자리’ 세션이 마련됐다.
화상으로 세션에 참여한 안나 비온디 국제노동기구 노동조합활동지원국 부국장은 “협동조합과 국제노동기구가 추구하는 노동의 가치가 매우 흡사하다”고 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