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침없는 성장'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 5조원 돌파..5년만에 20% ↑

김소형 2021. 12. 3. 09:3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기식, 알아야 약된다!'

코로나로 인해 건강과 면역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건강기능식품(건기식)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몸에 좋은 약도 잘 못쓰면 해로운 것처럼, 건기식도 제대로 알고 먹어야 건강을 지켜줍니다. 이에 스포츠조선은 건기식의 올바른 이해를 돕고, 시장 현황, 업계 동향과 신제품 소개 등을 통해 건기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계속해서 제공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편집자주

 자료제공=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주목받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거침없는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는 5년만에 20% 이상 확대돼, 올해 5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건기식 시장은 고령화 가속 등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과 투자비용이 늘며 그동안 5~6% 수준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2016년 3조5563억원이던 건기식 시장 규모는 2017년 4조1728억원, 2018년 4조4268억원, 2019년 4조6699억원, 2020년 4조9273억으로 확대됐고, 올해는 추가적 규모 확장을 거듭해 전년 대비 더 성장한 5조 454억원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기식협회는 매년 정확한 시장규모 파악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생산실적 외에 가구별 건강기능식품 구매지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도 전문 리서치 기관과 함께 수집한 가구별 건강기능식품 구매지표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기식 시장 규모를 추산했다. 조사대상은 총 5000가구로, 구매 기록을 통해 전체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를 추정했다. 조사의 전체 모집단은 제주를 제외한 1998만3319가구로, 조사기간은 2017~2021년(2021년은 7월 18일까지 조사해 전체시장 추정)이다. 조사는 조사 가구에서 이용하고 있는 모든 유통채널의 구매 기록(품목, 브랜드, 가격 등)을 스마트폰을 통해 스캔해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자료제공=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소비자 구매 행동 지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년에 한 번 이상 건기식을 구매한다고 답한 가구는 10가구 중 8가구(81.1%) 이상으로 추산됐다. 지난해의 구매 경험률 80.2%보다 소폭 오른 수치다. 소비력을 나타내는 가구당 평균 구매액도 지난해의 31만1119원에 비해 늘어난 31만3203원으로, 3년간 소비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국민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대중화 추세가 수치로 입증됐다는 분석이다.

자료제공=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또한 구매 금액 기준 올해 가장 많이 판매된 상위 기능성 원료는 지난해와 순위가 동일했다.

홍삼이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고,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종합 및 단일 비타민), EPA-DHA 함유 유지(오메가-3)가 뒤를 이었다. 이들의 합산 시장 규모는 전체의 61.4%였고, 프로바이오틱스와 EPA-DHA 함유 유지 시장은 규모적 성장을 꾸준히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각각 5-6위를 차지해 후 순위로 집계된 체지방 감소 제품, 콜라겐 시장은 규모가 모두 커졌다. 특히 '이너뷰티'로 주목받고 있는 콜라겐은 5년 전 대비 약 4.6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와 함께 특정 기능성 원료로 분류가 어려운 기타 제품의 경우, 복합 제품 및 신규 기능성 원료의 출시가 이어지면서 올해 규모가 1조원 이상 될 것으로 전망됐다.

자료제공=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언택트 선물 문화' 확산 등으로 건기식 선물 시장도 활성화됐다.

건기식 시장을 선물 및 직접 구매(선물 제외) 시장으로 구분했을 때 비중은 각각 30.8%, 69.2%였다. 지난해의 경우 선물 및 직접 구매 금액 비중은 각각 29.5%와 70.5%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대면 기회가 줄면서 선물 시장이 위축됐으나,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진입 및 언택트 선물하기 확대 등의 변화로 과거 대비 활성화됐다는 분석이다.

홍삼(61.1%)은 선물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원료로, 2위인 비타민(7.8%)과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 직접 구매 시장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20.9%), 비타민(14.7%), 홍삼(12.3%) 순으로 순위 변동이 있었고 격차는 비교적 적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는 '2021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소비자 실태 조사' 보고서에 수록됐다. 건기식협회는 국내외 건기식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소비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매년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건기식 섭취가 대중화되고 소비자 기대 수준도 높아진 만큼, 구매 패턴과 소비 수준에 대한 객관적 지표가 더 중요해졌다.

건기식협회 관계자는 "국민들이 건강기능식품에 기대하는 건강상 편익이 증대되고 다양해지면서, 전체 시장뿐 아니라 개별 원료들이 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한 해였다"면서 "빠른 성장 속도에 걸맞은 경쟁력 또한 갖출 수 있도록 필요한 산업 지원책을 고민하고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Copyrightsⓒ 스포츠조선(http://sports.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 칼은 왜 들고 있어 '2살연상 ♥김태희'도 깜짝 놀랄 셀카
'51세 싱글' 박용우 “탕웨이와..팬티 하나 입고 노출”→“결혼은...”
최정윤, 이혼 절차 진행 근황 “생활고로 알바까지..”
백종원, “환자용 김치 레시피 알려달라” 선넘은 부탁에…
배기성, 12세 연하 ♥이은비와 잘 사는 줄 알았는데..“이혼 위기 있었다”
강남 “상견례 때 멍투성이..이상화가 발로 차고 어머니가 포크로 찔렀다”
'혜리♥' 류준열 "사진 찍는 이유? '내가 거기 있었다' 존재감 커"
이런 선풍기는 없었다. 선풍기인가? 에어컨인가?
'비거리' 최대! 믿고 치는'드라이버' 전세계 최저가! 10자루 한정!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