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옥을 고친 내 집, 비하우스 김지영의 파리를 담은 집

서울문화사 2021. 12. 3. 0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누군가의 삶을 디자인하는 직업이다.

자신이 디자인한 공간에 따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인테리어 디자인 스튜디오 비하우스를 운영하는 김지영 대표는 그렇기에 공간을 제안하는 일에 더욱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한다.

그녀의 이전 집은 대형 평수의 아파트였기에 공사를 하는 내내 좁은 공간에 대한 압박감이 컸다고.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지영 대표는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집을 만들기 위해 자신이 그동안 살면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을 떠올렸다. 핑크빛 노을에 물들어가던 파리의 하늘을 바라봤던 그 찰나. 눈물 날 만큼 아름다웠던 힐링의 순간을 집 안으로 들여왔다.



집을 세상에서 가장 편안한 곳으로 만들고 싶었다는 김지영 대표는 파리에서 본 노을 지는 하늘에서 영감을 얻어 자신만의 공간을 디자인했다.


현관에서부터 거실 중앙까지 길게 이어진 하부장은 공간을 분리하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수납의 기능까지 해결해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디자이너의 주거 실험실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누군가의 삶을 디자인하는 직업이다. 자신이 디자인한 공간에 따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인테리어 디자인 스튜디오 비하우스를 운영하는 김지영 대표는 그렇기에 공간을 제안하는 일에 더욱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한다. “사람들이 인테리어에 갖는 관심이 커진 만큼 너무 트렌드만 좇는 건 아닌가 하는 회의감도 들어요. 주거 공간은 개개인에 맞게 훨씬 더 다양해질 필요가 있는데 말이죠.”

그녀는 얼마 전 낡은 구옥을 고치고 이사를 했다. 아파트 말고, 넓은 평수가 아니더라도 다르게 살 수 있다는 것을, 주거 인테리어의 스펙트럼은 생각보다 훨씬 다채롭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녀의 집은 인테리어 콘셉트를 정하는 대신 힐링이 된 순간에서 영감을 얻어 꾸몄다. “5~6년 전 메종 & 오브제를 보기 위해 파리에 갔을 때 석양이 지는 하늘을 봤어요. 그때도 겨울이었어요. 나무들이 메말라 있어서인지 풍경들이 참 삭막했거든요. 그런데 하늘에 핑크빛이 그러데이션되면서 노을이 지는데 정말 마음이 편안해지면서 아름답더라고요. 그 찰나의 순간이 큰 힐링이 됐습니다.”

따뜻한 웜톤의 화이트 컬러를 벽과 바닥의 베이스로 사용하고, 현관에서 거실 가운데까지 길게 이어진 하부장의 상판이나 문선을 장식한 몰딩 등에 하늘을 닮은 옅은 블루를 사용해 포인트를 줬다. 여기에 마치 노을이 지는 것처럼 핑크빛이 거칠게 그러데이션된 대리석을 주방 자재로 사용해 그녀에게 영감을 준 파리의 석양을 집 안으로 들였다.

아파트에서 벗어나 주택살이를 하면서 가장 달라진 것은 작은 마당이 생겼다는 것. 직접 조경을 해서인지 더욱 애정이 간다고.


주방의 벽면과 싱크대 상판, 상부장 대신 설치한 선반은 노을을 연상케 하는 ‘오로라 웨이브’라는 대리석으로 시공했다. 직구한 킹스톤의 수전을 설치한 덕분에 더욱 클래식한 공간이 완성됐다.


아파트에서 벗어나 주택살이를 하면서 가장 달라진 것은 작은 마당이 생겼다는 것. 직접 조경을 해서인지 더욱 애정이 간다고.

디자이너는 어떤 자재를 쓸까

이사한 구옥은 공간을 다 합쳐도 20평대 후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 크기이다. 그녀의 이전 집은 대형 평수의 아파트였기에 공사를 하는 내내 좁은 공간에 대한 압박감이 컸다고.

“좁은 공간이 답답해 보이지 않으려면 한 덩어리처럼 표현하는 게 중요한데 그러려면 자재 선택이 중요해요. 그래서 원래 하고 싶었던 원목마루를 과감히 포기했습니다. 우드 톤의 원목마루를 깔면 벽과 바닥이 분리되어 보이기 때문이에요. 그 대신 질감이 느껴지는 600×1200mm 사이즈의 대형 타일을 깔고, 줄눈도 타일 컬러와 비슷한 톤으로 맞췄어요. 목공사가 많아서 도장 마감을 해야 하는 부분이 많았기에 벽면도 도장을 했어요. 바닥 타일의 톤에서 뽑은 웜 톤의 화이트 베이지 컬러를 사용해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줬습니다.”

그녀의 집에서는 현관에서부터 거실을 가로지르는 파티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간을 적절하게 분리함과 동시에 유기적으로 연결해주며, 수납도 해결해주기 때문이다. 그녀는 하부장의 가장자리와 상판, 하단부 등을 라운드 형태로 디자인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더했다. “사람마다 개성이 다르듯 집도 모두 달라야 해요. 콘셉트나 트렌드가 아니라 힐링의 순간과 영감, 취향을 담으면 분명 나만의 집을 꾸밀 수 있습니다.”

햇살 맛집인 그녀의 침실. 햇빛을 가장 예쁘게 투과하는 얇은 패브릭 소재의 커튼과 포근한 침구로 단정하게 꾸몄다.

에디터 : 한정은  |   포토그래퍼 : 김덕창

Copyright © 리빙센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