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코메티, 인간의 숲

대구/정상혁 기자 2021. 12. 3. 03: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 한장의 전시]
/대구미술관

인간이 가장 경계하는 것은 인간이다. 인간의 형상 앞에서, 호의와 위협 사이에서 인간은 주춤거리며 묻는다. 너는 누구냐고.

알베르토 자코메티(1901~1966)가 빚어낸 앙상한 인간의 몰골 앞에서 품게 되는 질문도 그 연장선에 있다. 1956년 청동으로 주조한 ‘베네치아의 여인III’(119x17x33.5㎝)의 곧 쓰러질 듯 야윈 몸은 겨울의 초입에서 강렬한 동병상련의 인력을 발휘한다. 몸에 비해 너무 큰 발, 그래서 인간은 때로 나무처럼 보인다. “발이 왜 이렇게 큰가요?” 자코메티는 대답하곤 했다. “모르겠어요.” 그러나 누군가는 거기서 꽉 붙들어매고 또 나아가게 하는 생명력을 발견한다.

쓰러짐을 전제한 직립의 수직성, 자코메티 조각 옆에는 벨기에 화가 라울 우박(1911~1985)의 1962년작 ‘세 사람’(195x114㎝)이 걸려 있다. 회반죽으로 그려낸 기다란 육체, 생사조차 확인되지 않는 익명성의 윤곽은 끝내 알 수 없는 인간의 속내를 상징하는 듯하다. 사진 바깥에는 자코메티가 여덟 명의 인간을 세워 둔 1950년작 ‘숲’(57x46x58㎝)이 또한 놓여있다. 대구미술관이 프랑스 매그 재단과 협업해 내년 3월까지 개최하는 이 전시에서 가장 인간적인 조화를 보여준다. 이 인간들 사이에 관람객이 서는 순간, 그 역시 전시의 일부가 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