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10년만에 최대폭 올랐는데.. 소득은 마이너스
세종=송충현 기자 2021. 12. 3. 03:01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3.7%
3분기 실질 국민총소득 ―0.7%
오미크론 겹쳐 슬로플레이션 우려
3분기 실질 국민총소득 ―0.7%
오미크론 겹쳐 슬로플레이션 우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3.7% 올라 9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물가는 가파르게 오르는데 3분기(7∼9월) 경제 성장률은 0.3%로 둔화됐다. 여기에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공급 병목현상이 심화하면 경기 둔화와 물가 상승을 자극할 수 있어 ‘슬로플레이션’(경기 둔화 속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은 2일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41로 전년 동기보다 3.7%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2011년 12월(4.2%)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며 올해 들어서도 최고치다. 소비자물가는 10월에도 3.2% 올랐다. 두 달 연속 3%대 상승한 건 2012년 1, 2월 이후 9년여 만이다. 석유류와 개인서비스, 농축수산물 등의 가격이 일제히 오르며 물가를 끌어올렸다.
통계청은 2일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41로 전년 동기보다 3.7%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2011년 12월(4.2%)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며 올해 들어서도 최고치다. 소비자물가는 10월에도 3.2% 올랐다. 두 달 연속 3%대 상승한 건 2012년 1, 2월 이후 9년여 만이다. 석유류와 개인서비스, 농축수산물 등의 가격이 일제히 오르며 물가를 끌어올렸다.
물가 상승 속에 경제성장률과 국민소득은 쪼그라들고 있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잠정치)은 전 분기에 비해 0.3% 증가했다. 증가율이 1분기 1.7%, 2분기 0.8%였다가 더 떨어진 것이다. 국민들의 실제 호주머니 사정을 반영하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3분기에 전 분기 대비 0.7% 감소해 5개 분기 만에 뒷걸음질쳤다.
물가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물가는 10월 6.2% 오르며 약 31년 만에 최고치였고 11월 유로존 물가는 약 24년 만에 가장 큰 폭인 4.9% 올랐다.
물가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물가는 10월 6.2% 오르며 약 31년 만에 최고치였고 11월 유로존 물가는 약 24년 만에 가장 큰 폭인 4.9% 올랐다.
오이값 99%-경유 40% 급등… 오미크론發 경기둔화도 우려
11월 물가상승폭 10년만에 최대
올해 둘째를 출산한 주부 A 씨는 요즘 장보기가 겁난다. 물가가 오른 데다 둘째까지 생겨 생활비를 최대한 아껴도 100만 원이 훌쩍 넘는다. A 씨는 “제일 아끼기 쉬운 게 식비였는데 물가가 너무 올라 더는 허리띠를 졸라매기 힘들다”고 털어놨다.
채소부터 기름값, 집세, 외식비까지 줄줄이 오르며 약 10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한 소비자 물가에 서민들의 장바구니가 가벼워지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가 가속화하면 ‘슬로플레이션(경기 둔화 속 물가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석유류 35.5%, 농축산물 7.6% 올라 물가 견인
올해 둘째를 출산한 주부 A 씨는 요즘 장보기가 겁난다. 물가가 오른 데다 둘째까지 생겨 생활비를 최대한 아껴도 100만 원이 훌쩍 넘는다. A 씨는 “제일 아끼기 쉬운 게 식비였는데 물가가 너무 올라 더는 허리띠를 졸라매기 힘들다”고 털어놨다.
채소부터 기름값, 집세, 외식비까지 줄줄이 오르며 약 10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한 소비자 물가에 서민들의 장바구니가 가벼워지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가 가속화하면 ‘슬로플레이션(경기 둔화 속 물가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석유류 35.5%, 농축산물 7.6% 올라 물가 견인
2일 통계청이 내놓은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채소나 육류 등 장바구니 물가부터 전기, 수도 등 공공서비스 물가, 외식 등 개인서비스 물가가 두루 올랐다. 지난달 석유류는 전년 동기 대비 35.5% 올라 2008년 7월(35.5%) 이후 13년 4개월 만에 가장 많이 상승했다. 휘발유는 33.4%, 경유와 차량용 액화석유가스(LPG)는 각각 39.7%, 38.1% 올랐다.
농축산물 물가상승률은 8월 7.8%에서 9월 3.7%, 10월 0.2%로 꺾였다가 11월(7.6%)에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예년보다 빨리 찾아온 한파에 김장을 서두른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오이 상추 달걀이 각각 99%, 72.0%, 32.7% 상승했다. 50대 주부 B 씨는 올해 김장을 포기했다. 배추에 마늘 파 등 속 재료까지 안 오른 게 없다. B 씨는 “사먹는 김치가 차라리 쌀 것 같다”고 말했다.
11월부터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서비스 가격도 많이 올랐다. 외식 물가와 보험서비스료가 각각 3.9%, 9.6% 오르는 등 개인서비스 물가가 3.0% 상승했다. 이는 2012년 1월(3.1%) 이후 최대치다. 집세도 1.9% 올랐다. 전세는 2.7% 상승해 2017년 10월(2.7%) 이후 4년 1개월 만에 가장 크게 뛰었다.
○ 오미크론 변이 확산, 물가-성장에 악재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공급망 병목현상이 심화하면 물가 상승세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유가, 곡물 가격, 원자재 가격 추이 등을 볼 때 오름세가 둔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줄곧 인플레이션을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했던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도 1일(현지 시간) 미국 하원 금융위원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지속적”이라며 입장을 바꿨다.
물가 상승 속에 성장은 둔화되면서 ‘슬로플레이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5000명을 넘어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가 다시 강화되면 연말 소비 특수도 사라질 수 있다. 한은에 따르면 3분기(7∼9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잠정치)은 전 분기에 비해 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정부 목표치인 ‘연간 4.0% 성장’을 달성하려면 4분기(10∼12월) 성장률이 1.03%를 넘어야 한다. 신승철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오미크론 변이’가 얼마나 빨리 확산되고 치명률은 얼마나 높을지, 각국 방역당국이 어떤 조치를 취할지 등에 따라 앞으로 물가나 성장 등 실물경제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오미크론이 향후 어떤 충격을 줄지 예단할 수 없어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도 제한적”이라며 “물가를 잡는 데 집중하고 경기 상황에 따라 통화정책 등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세종=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뉴욕=유재동 특파원 jarrett@donga.com
세종=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농축산물 물가상승률은 8월 7.8%에서 9월 3.7%, 10월 0.2%로 꺾였다가 11월(7.6%)에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예년보다 빨리 찾아온 한파에 김장을 서두른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오이 상추 달걀이 각각 99%, 72.0%, 32.7% 상승했다. 50대 주부 B 씨는 올해 김장을 포기했다. 배추에 마늘 파 등 속 재료까지 안 오른 게 없다. B 씨는 “사먹는 김치가 차라리 쌀 것 같다”고 말했다.
11월부터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서비스 가격도 많이 올랐다. 외식 물가와 보험서비스료가 각각 3.9%, 9.6% 오르는 등 개인서비스 물가가 3.0% 상승했다. 이는 2012년 1월(3.1%) 이후 최대치다. 집세도 1.9% 올랐다. 전세는 2.7% 상승해 2017년 10월(2.7%) 이후 4년 1개월 만에 가장 크게 뛰었다.
○ 오미크론 변이 확산, 물가-성장에 악재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공급망 병목현상이 심화하면 물가 상승세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유가, 곡물 가격, 원자재 가격 추이 등을 볼 때 오름세가 둔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줄곧 인플레이션을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했던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도 1일(현지 시간) 미국 하원 금융위원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지속적”이라며 입장을 바꿨다.
물가 상승 속에 성장은 둔화되면서 ‘슬로플레이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5000명을 넘어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가 다시 강화되면 연말 소비 특수도 사라질 수 있다. 한은에 따르면 3분기(7∼9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잠정치)은 전 분기에 비해 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정부 목표치인 ‘연간 4.0% 성장’을 달성하려면 4분기(10∼12월) 성장률이 1.03%를 넘어야 한다. 신승철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오미크론 변이’가 얼마나 빨리 확산되고 치명률은 얼마나 높을지, 각국 방역당국이 어떤 조치를 취할지 등에 따라 앞으로 물가나 성장 등 실물경제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오미크론이 향후 어떤 충격을 줄지 예단할 수 없어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도 제한적”이라며 “물가를 잡는 데 집중하고 경기 상황에 따라 통화정책 등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세종=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뉴욕=유재동 특파원 jarrett@donga.com
세종=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입 연 이준석 “홍보비 해먹는다는 등 모욕…尹 후보된뒤 당무 한적 없어”
- 尹 “이준석 리프레시 하고 오길, 함께 가야 한다는 건 분명”
- 국민의힘 원로들도 “이준석 끌고와야” vs “뭘 찾아가”
- “준석이형, 자존심 꺾고 돌아와요…당 대표잖아” 尹 참모 호소
- 이준석 만난 천하람 “李, 대선 위기감 커…빈손으론 서울 안갈 것”
- ‘與 영입1호’ 조동연, 사생활 논란에 자진사퇴 시사…“감사했고 죄송”
- 오미크론 유입 못 막았지만 확산은 막아야[사설]
- 윤석열, 3일 ‘잠행 시위’ 이준석 만나러 제주 간다
- 27일만에 만난 윤석열-홍준표…洪 “선대위 다시 꾸려라”
- 靑 “방역 대폭 강화보다 미세조정”… 미접종자 모임인원 축소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