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생활 논란' 조동연, 사퇴 시사..실종신고 이후 소재 확인

홍민성 2021. 12. 2. 21: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생활 논란에 휩싸인 조동연 더불어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이 2일 밤 자진 사퇴를 시사했다.

지난달 30일 '민주당 1호'로 영입된 지 이틀 만이다.

하지만 사생활 관련 논란이 불거지면서 조 위원장과 민주당 모두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주당 선대위 영입 이틀 만에 사퇴 의사
"제가 짊어지고 갈 테니 가족들 그만 힘들게"
"이미 충분히 힘든 시간들이었다"
사진=뉴스1


사생활 논란에 휩싸인 조동연 더불어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이 2일 밤 자진 사퇴를 시사했다. 지난달 30일 '민주당 1호'로 영입된 지 이틀 만이다.

조 위원장은 이날 본인의 페이스북에 "누굴 원망하고 탓하고 싶지는 않다. 아무리 발버둥 치고 소리를 질러도 소용없다는 것도 잘 안다"고 운을 뗐다.

그는 "아무리 노력해도 늘 제자리이거나 뒤로 후퇴하는 일들만 있다"며 "열심히 살아온 시간들이 한순간에 더럽혀지고 인생이 송두리째 없어지는 기분이다. 아무리 힘들어도 중심을 잡았는데 이번에는 진심으로 저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다만 아이들과 가족은 그만 힘들게 해주셨으면 한다. 제가 짊어지고 갈 테니 죄 없는 가족들은 그만 힘들게 해달라"며 "그렇게 하지 않아도 이미 충분히 힘든 시간들이었다"고 했다.

끝으로 "그간 진심으로 감사했고 죄송하다"며 "안녕히 계세요"라고 덧붙였다.

사진=조동연 더불어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 페이스북


조 위원장은 여군 장교 출신의 군사·우주 전문가라는 이력과 30대 워킹맘이라는 상징성을 갖춰 영입 직후 쇄신 선대위의 새 간판으로 주목 받았다. 

하지만 사생활 관련 논란이 불거지면서 조 위원장과 민주당 모두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했다. 조 위원장은 이날 오전 라디오와 인터뷰에서 눈물을 참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는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 인터뷰에서 불거진 사생활 논란과 관련 "개인적인 사생활로 인해 많은 분들이 불편함과 분노를 분명 느꼈을 텐데 죄송하고 송구스럽다"고 사과했다.

그는 "처음부터 기울어진 결혼생활을 시작했고 양쪽 다 상처만 남은 채 결혼생활이 깨졌다"며 "개인적으로 군이라는 굉장히 좁은 집단에서 그 이후로 숨소리도 내지 않고 살아왔다. 아마 그냥 혼자였다면 어떤 결정을 했을지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지켜야 하는 아이들이 있었고, 평생 고생하신 어머니를 보살펴야 했기에 어떤 얘기가 들려도 죽을 만큼 버티고 일하고 공부했다"고 말했다.

조동연 더불어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 / 사진=뉴스1


그러면서 "저 같은 사람은 10년이 지난 이후에 또는 20~30년 지난 이후에도 아이들에게 조금 더 당당하게 얘기하는 엄마의 모습을 다시금 보여줄 기회조차도 허락받지 못하는 건지, 저 같은 사람은 그 시간을 보내고도 꿈이라고 하는 어떤 도전을 할 기회조차도 허락을 받지 못하는 것인지를 묻고 싶었다"고 호소했다.

한편, 자신의 사생활을 둘러싼 논란이 일파만파로 커지자 페이스북을 통해 사실상 물러나겠다는 뜻을 표명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이 게시글은 한때 삭제됐다는 얘기가 돌았으나 '친구' 관계인 지인들에게 다시 보이는 상태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민주당 측은 진의 확인에 나섰다. 당 관계자는 "아직 소식을 듣지 못했다. 진의를 파악하기 위해 연락을 취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연락이 닿지 않자 이날 오후 9시55분께 경찰에 신고 했고, 현재 경찰은 조 위원의 소재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그 경위에 대해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