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증시 화두는 '선거·ETF·IPO·세금'

강봉진 2021. 12. 2. 16: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선거이후 정책 영향력은
대선보단 지방선거가 커
액티브ETF 규제완화 효과
공모펀드 대체 가능성 높아
대형 IPO·주식차익 과세
증시 수급 부담줄까 우려
내년 국내 증시에 영향을 줄 주요 정치 이벤트는 대통령 선거보다는 지방선거이며, 수급적으로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와 대형 신규 상장주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와 주목된다.

신영증권은 2일 내년 전망을 통해 국내 증시에 영향을 줄 주요 이슈로 선거, 액티브 ETF, 기업공개(IPO), 2023년 주식 양도차익 과세를 꼽았다.신영증권은 선거와 관련해 내년 3월 치러질 대통령 선거보다 6월 열릴 지방선거가 정책 영향력 측면에서 더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박소연 신영증권 투자전략부장은 "대선에서 어느 정당 후보가 승리한다고 해도 여당이 현재 180석에 육박하는 의석을 쥐고 있어 정책 방향이 크게 바뀌기 어려운 구조"라며 "각 지역구 예산 집행에 관여하고 조례와 규칙을 개정해 행정을 움직일 수 있는 단체장과 의원까지 다 바뀌는 내년 6월 선거가 사실상 경제 전반에 더 큰 변화를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부장은 "내년 대선에서 승리한 정당이 3개월 후 치러지는 지방선거에 유리하며 부동산, 기본소득, 증세 등 쟁점 현안에 대한 정책 방향이 내년 하반기에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운용자 역량이 부각되는 액티브 ETF 규제가 완화될 경우 시중 자금을 끌어모으며 공모펀드를 대체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액티브 ETF는 펀드매니저들이 적극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액티브 펀드와 ETF를 결합한 것으로 현재는 기초지수와의 상관계수를 0.7 이상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내년 시행을 목표로 액티브 ETF와 기초지수 간 상관계수를 0.7보다 낮추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부장은 "액티브 ETF 판이 대대적으로 커지며 공모펀드를 대체하는 흐름이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보다 많은 자산운용사가 각자 개성을 살린 ETF를 출시하고 자유롭게 운용하면 간접투자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대형 공모주 상장과 2023년부터 도입되는 주식 양도차익 과세는 증시에 수급 면에서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박 부장은 "대규모 IPO로 주식시장에 물량 부담이 커지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많은데 시가총액 대비 아직 1%대 초반"이라면서도 "다만 증시 수준이 올라갈수록 공급 부담이 더해질 수 있어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올해 증시에서 공모와 유상증자를 합해 총 28조원의 자금이 조달됐는데 이는 1999년 41조원 이후 최대다. 내년에는 LG에너지솔루션, 교보생명, 마켓컬리, SSG닷컴, 현대엔지니어링 등 대어급 공모주가 상장할 예정이다.

2023년부터 주식 양도차익 과세가 도입되는 것도 증시에는 악재다. 양도차익이 5000만원 이상인 경우 과세되는데 3억원 이하는 20%, 3억원 초과는 25%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 정부는 이로 인한 과세 회피성 매도를 방지하기 위해 의제 취득가액을 도입할 예정이다. 의제 취득가액은 실제 주식 취득가격과 2022년 마지막 거래일 종가 중 유리한 쪽을 선택할 수 있는 제도다.

문제는 대주주 요건이다. 박 부장은 "개별 종목당 보유액이 10억원 이상이거나 코스피(종목) 지분율 1%, 코스닥 지분율 2%, 코넥스 지분율 4% 이상인 경우는 대주주로 분류돼 '의제 취득가액'을 적용받지 못해 개인 투자자 중심의 대대적인 자금 유입은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신영증권은 내년 코스피를 2710~3300으로 전망했다. 박 부장은 "대부분의 업종은 실적 추정치 하향 가능성을 열어둬야 하겠으나 반도체 업종만큼은 기회 요인이 많아 보인다"고 말했다.

[강봉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