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일자리 3800개 창출..청년 맞춤형 ICT정책 수립

박지성 2021. 12. 2. 15: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구직활동 데이터 이용료 면제, 청년시설 5G 이동통신·공공와이파이 구축·디지털 관련 일자리 3800개 제공 등을 골자로 한 청년 맞춤형 ICT 정책을 선보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2일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 'K-실감스튜디오'에서 열린 '디지털 대한민국-청년과 함께 미래를 그리다' 행사에 참석해 "정부는 미래 세대를 위해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디지털 기반을 구축하고, 마음껏 디지털 세상에 도전하도록 함께 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직활동 데이터 이용료 면제·청년시설 공공와이파이 구축
디지털 인턴 일자리 3800개 제공하는 등 청년층 전폭 지원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서 열린 디지털 대한민국 청년과 함께 미래를 그리다 행사에 참석, 가수 고(故) 김현식의 동생 김현수씨와 대화하고 있다. 이날 가수 박진영의 노래 너의 뒤에서를 인공지능(AI)기술을 통해 김현식과 이석훈이 협연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구직활동 데이터 이용료 면제, 청년시설 5G 이동통신·공공와이파이 구축·디지털 관련 일자리 3800개 제공 등을 골자로 한 청년 맞춤형 ICT 정책을 선보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2일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 'K-실감스튜디오'에서 열린 '디지털 대한민국-청년과 함께 미래를 그리다' 행사에 참석해 “정부는 미래 세대를 위해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디지털 기반을 구축하고, 마음껏 디지털 세상에 도전하도록 함께 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청년들은 디지털의 수혜자이면서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주역”이라며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기반 기술창업을 주도하는 청년들을 격려했다. 그러면서 “좋은 일자리와 기업의 수요에 부응하는 인재 양성 프로그램과 디지털 교육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이에 발맞춰 청년이 디지털 분야에서 일자리를 찾고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지원대책을 마련했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디지털전환 핵심 추진동력은 인재양성이라며 디지털 대전환 정책 완결판에 해당하는 청년정책을 발표했다.

청년 구직사이트에 대한 데이터 이용료를 면제하고 청년임대주택과 지역 청년시설에는 28㎓ 5세대(5G) 이동통신과 공공와이파이 등 첨단 통신망을 최우선 구축한다. 또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스타트업은 내년 인턴 3800명을 채용해 취업을 지원한다.

먼저 청년활동가,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홍보와 빅데이터, AI 등 디지털 전환 교육을 내년부터 시작한다. 기업과 협의해 청년기업이 TV홈쇼핑 입점 시 판매수수료를 낮춰 라이브커머스에 50개 이상 기업이 입점하도록 돕는다. 또 메타버스 기술과 지식재산권(IP)을 제대로 활용하도록 종합 교육을 제공한다.

디지털인재 양성을 위해선 디지털 분야 전공자와 비전공자에게 인턴십과 교육프로그램, 멘토링 등을 지원한다. 스타트업 지원과 콘텐츠 1인 제작 지원 등을 통해 안정적인 청년 일자리 확보도 돕는다. 이를 위해 디지털 전공자에게는 출연연과 스타트업을 매칭해 새해 3800명 인턴을 양성해 현장 교육을 지원한다. 비전공자 대상으로는 디지털배움터 교육과정을 통해 새해 4000명을 지원한다. 군장병 대상 SW·AI 교육을 새해부터 시작해 2025년까지 5만명에게 관련 디지털지식 습득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디지털전환 교육생 8000명을 양성하고, ICT 창업기업 7만개, 800명 글로벌 인턴·교육생을 배출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달부터 이동통신 3사와 연계해 학생과 취업 준비생 대상으로 구직사이트 데이터 이용료를 면제하고, 데이터를 추가 제공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개발자와 1인 미디어 창작자 등 디지털 분야 다양한 직종 현업종사자가 멘토링을 제공하는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청년 연구자 지원 정책으로 학생인건비 계상기준을 현실화하고, 우수 집단연구 지원시 신진연구자 참여를 의무화한다. 기업 재직자 대상 석박사 과정을 올해 140명에서 새해 220명으로 확대해 지원한다. 또 지역 인재양성·채용과 연계한 SW·ICT 진흥단지를 2025년까지 5개 이상 조성해 지역 일자리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스타트업 종사자를 위해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를 중심으로 400억원 펀드를 조성하고, 선배 디지털 기업인의 '디지털 청년 동행 키다리아저씨 재단' 설립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맞춤형 정책 입안을 위해 청년 119명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현장 목소리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청년 지원정책 3대 전략 9대 과제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