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제3회「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컨퍼런스」개최

2021. 12. 2. 14: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권호열)은 오는 12월 2일(목) 제3회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컨퍼런스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한다.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컨퍼런스는 인공지능기술 확산에 따른 새로운 유형의 이용자보호 이슈를 논의하고 관련 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 형성을 목적으로 2019년 처음으로 개최된 이후 올해로 3회째 개최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권호열)은 오는 12월 2일(목) 제3회「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컨퍼런스」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한다.

* 방송통신위원회 유튜브채널, KTV 국민방송 유튜브채널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컨퍼런스」는 인공지능기술 확산에 따른 새로운 유형의 이용자보호 이슈를 논의하고 관련 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 형성을 목적으로 2019년 처음으로 개최된 이후 올해로 3회째 개최되고 있다.

‘인공지능과의 공존(Living in the age of AI)’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컨퍼런스에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국제사회의 정책적 노력과 인공지능 기술 확산에 따른 이용자보호 방안에 대해 토론을 진행한다.

컨퍼런스는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세션은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을 주제로, 벤 슈나이더만(Ben Shneiderman) 교수(미국 메릴랜드 대학)가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 새로운 통합’을, 엠마 러트캠프-블룸(Emma Ruttkamp-Bloem) 교수(남아공 프리토리아 대학)가 ‘인공지능 시대의 동맹으로서의 윤리’를 발표한다.

두 번째 세션은 ‘유럽의 인공지능 규제’를 주제로 미셸 핀크(Mich?le Finck) 교수(독일 튀빙겐 대학)가 ‘새로운 유럽연합(EU) 입법 패키지가 인공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루시 클뤼젤-메테이어(Lucie Cluzel-M?tayer) 교수(프랑스 파리-낭테르 대학)가 ‘프랑스 공공부문에서의 인공지능규제’를 발표한다.

마지막 세 번째 세션의 주제는 ‘한국의 이용자 정책 방향‘이다. 황용석 교수(건국대)가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공존 시대, 한국에서의 인공지능기술에 대한 이용자 보호 접근의 특성‘에 대해 발표한다.

종합토론에서는 ‘인공지능과의 공존’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의견을 나눈다. 고학수 교수(서울대)가 좌장을 맡고, 발제자들과 강정화 회장(한국소비자연맹), 김용찬 교수(연세대), 이수영 교수(KAIST), 이희정 교수(고려대), 권은정 부연구위원(KISDI)이 토론에 참여한다.

이날 한상혁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건강한 인공지능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사람 중심의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국제적으로 논의 중인 인공지능 정책 제안의 의미를 살펴보고, 정부, 기업, 시민의 역할을 숙고하는 공론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붙임 1. 제3회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컨퍼런스」 개최(안)

2. 제3회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컨퍼런스」 포스터. 끝.

<grammar-mirror data-generated="whale-grammar"></grammar-mirror><grammar-mirror data-generated="whale-grammar"></grammar-mirror>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