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할 오늘] 체중 245g의 생명력

최윤필 2021. 12. 2. 04: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8년 12월, 미국 샌디에이고 샤프메리버치(Sharp Mary Birch) 병원에서 체중 245g 여아가 태어났다.

임신중독증(전자간증)을 앓던 산모의 임신 23주 차 아기 '세이비(Saybie, 애칭)'였다.

의료진은 24시간 세이비를 돌보며 몸무게 차트를 만들어, '호흡 튜브를 뗀 날' 같은 이벤트도 기록했다.

아이오와대가 집계하는 '가장 작은 신생아' 리스트에 세이비는 2015년 독일의 25주 차 여아(252g)보다 작은, 최고기록 수립자로 등재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2 세이비의 기적
체중 245g으로 태어나 약 6개월 뒤 2.27㎏의 건강한 몸으로 퇴원하던 무렵의 세이비. Sharp Healthcare 사진.

2018년 12월, 미국 샌디에이고 샤프메리버치(Sharp Mary Birch) 병원에서 체중 245g 여아가 태어났다. 임신중독증(전자간증)을 앓던 산모의 임신 23주 차 아기 '세이비(Saybie, 애칭)'였다.

의료진은 산모의 독소 혈증 탓에 태아와 산모 모두 위험해질 수 있다고 판단, 긴급 제왕절개술로 아이를 받았다. 몸무게가 최소 400g은 되리라던 의료진 판단과 달리 신생아는 사과 하나 무게에 불과했고, 자력으론 호홉도 못하는 상태였다. 하루라도 더 아이를 품어 키우려고 중독증을 견뎠던 산모는 아이를 살려달라고 호소했다. 의사는 인공호흡기를 달더라도 '한 시간 정도밖에 못 버틸 수 있다'고 아이 아버지에게 말했다고 한다. 훗날 산모는 "그 한 시간이 두 시간이 되고, 하루가 되고, 일주일이 됐다"고, "내 생애 가장 두려웠던 나날이었고(...) 마치 임신기간이 연장된 듯했다"고 말했다.

극소조산아는 신생아 집중치료실 인큐베이터에서도 뇌출혈 등 치명적인 변수들을 맞닥뜨리는 경우가 잦아, 미국의 23주 차 조산아 생존율은 20% 정도에 불과하다. 세이비의 경우, 체구가 너무 작아 신생아용 산소호흡기 등 의료장비도 맞지 않았다. 의료진은 팩 음료수 빨대를 개조해 세이비에게 산소를 공급했다.
세이비는 강했다. 극소조산아가 겪기 쉬운 병증들도 거의 겪지 않았다. 의료진은 24시간 세이비를 돌보며 몸무게 차트를 만들어, '호흡 튜브를 뗀 날' 같은 이벤트도 기록했다. 세이비의 침대에는 'Tiny But Mighty(작지만 강한)' 같은 응원성 명찰도 달렸다. 이듬해 5월 세이비는 2.27㎏의 건강한 몸으로 퇴원했고, 의료진은 노란 술을 단 종이 사각모(학사모)를 만들어 그에게 선물했다.

아이오와대가 집계하는 '가장 작은 신생아' 리스트에 세이비는 2015년 독일의 25주 차 여아(252g)보다 작은, 최고기록 수립자로 등재됐다. 그 리스트에 오른 가장 작은 한국 아이는 2018년 24주 차 여아(302g)였다.

최윤필 기자 proos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