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 고기 한번 더 먹인다며 모더나 맞고 출근한 남편..4일만 주검 돼 돌아와"

김대성 2021. 12. 1. 22: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0대 중반의 남편이 코로나 19 모더나 백신 2차 접종 후 4일 만에 급성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사망했다는 국민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인의 남편 A씨는 지난달 19일 제주시 한 병원에서 모더나 백신 2차 접종을 마친 이튿날부터 컨디션이 좋지 않다고 느꼈지만 출근했다.

청원인은 "남편은 평소 건장한 체격에 앓고 있던 기저질환도 없는 건강한 40대 남성이었다. 그런데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그것도 백신을 맞고 나흘 만에 이럴 수가 있느냐"고 하소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더나 백신과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 <로이터 연합뉴스>

40대 중반의 남편이 코로나 19 모더나 백신 2차 접종 후 4일 만에 급성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사망했다는 국민청원이 올라왔다.

지난 11월 30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모더나 백신 접종 나흘 만에 세상을 떠난 제 남편, 제발 도와주세요. 너무 막막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청원인의 남편 A씨는 지난달 19일 제주시 한 병원에서 모더나 백신 2차 접종을 마친 이튿날부터 컨디션이 좋지 않다고 느꼈지만 출근했다. 퇴근 후 A씨는 온몸이 뻐근하고 찌릿한 증상을 호소했지만, 청원인은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타이레놀을 챙겨주는 것 뿐이었다"고 했다.

백신 접종 나흘 째 되던 날 A씨는 외근을 나와 운전하던 도중 갑작스럽게 심장 충격을 겪고 그 자리에서 의식을 잃었다.

제주 시내 대형 병원으로 이송된 그는 '당장 수술을 해야 한다'는 의료진 권고에 따라 수술대에 올랐지만 끝내 사망했다. 사인은 급성 심근경색이었다.

청원인은 "남편은 평소 건장한 체격에 앓고 있던 기저질환도 없는 건강한 40대 남성이었다. 그런데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그것도 백신을 맞고 나흘 만에 이럴 수가 있느냐"고 하소연했다.

청원인과 남편 A씨는 40대에 뒤늦게 결혼해 29개월 딸을 두고 있었다. 청원인은 "남들보다 늦게 꾸리게 된 가정인 만큼 누구보다 행복하게 살고자 노력하며 살아왔다"며 "남편은 딸아이 소고기 한 번 더 먹인다고 백신 맞고도 다음 날 일하러 나갔다. 구멍 난 양말 신으면서도 그날 괜찮다고 출근했는데, 주검이 돼 돌아왔다"고 울분을 터뜨렸다.

청원인은 "남편이 사망한 그 날, 어린이집에서 아이를 데리고 헐레벌떡 병원으로 달려갔다. 당장 남편을 만나게 해 달라고 울고불고 소리쳤지만, 영영 남편을 볼 수 없었다"고 말했다.

청원인은 남편 사망과 관련 "질병관리청 조사가 흐지부지됐고 어떠한 후속 조치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청원인은 "뉴스를 보면 백신을 맞고 사망했다는 기사가 이어지는데, 남편도 그중 한 명일까"라며 "정부는 그냥 남편을 그 사람 중 한 명으로 치부하고 넘어가지 않겠나. 누구보다 건강했고 성실했던 한 남성의 죽음, 그리고 파탄 나버린 가정, 정부의 말처럼 정말 백신하고 상관이 없는 건가"라고 물었다.

청원인은 "시간을 돌릴 수 있다면 백신을 맞지 말라고 하고 싶다"며 "우리 아기는 아빠가 우주였고 전부였다. 그만큼 딸에게 최고였던 남편이다. 아직도 믿기지 않고, 아직도 귓가에는 매일같이 '아기 자? 일 다녀올게. 쉬고 있어'라는 남편의 목소리가 맴돈다. 제발 도와달라"고 울부짖었다. 김대성기자 kdsung@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