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무료 공공와이파이, 10개월간 132만 명 이용

김평석 기자 2021. 12. 1. 11: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 용인시 무료 공공와이파이 이용자가 최근 10개월간 132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관내 239곳의 공공장소에 329개의 무선중계설비(AP)를 설치, 개방형 공공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있다.

시는 내년 용인시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경기도종합체육대회에 앞서 주경기장인 용인 미르스타디움 내부 25곳과 공원 등 음영지역에 개방형 공공와이파이를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12명 동시 접속, 은행업무 등 위한 보안 접속도 가능
버스정류장에 설치돼 있는 공공와이파이 중계장비 모습.(용인시 제공) © News1

(용인=뉴스1) 김평석 기자 = 경기 용인시 무료 공공와이파이 이용자가 최근 10개월간 132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 데이터도 109기가 바이트에 이른다.

1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관내 239곳의 공공장소에 329개의 무선중계설비(AP)를 설치, 개방형 공공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있다.

개방형 공공와이파이란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AP를 설치, 시민 누구나 무료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와이파이 시스템이다.

시는 인터넷 음영지역(인터넷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의 정보 접근성 강화와 가계 통신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2017년부터 개방형 공공와이파이를 설치해 왔다.

버스정류장 121곳에 138개의 AP를 설치했고, 동별 주민자치센터 등 58개 공공기관(95개), 47개 공원(62개), 장애인복지관 등 7개의 주민시설(25개)에도 AP를 설치했다.

올 1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개방형 공공 와이파이 접속자는 연인원 132만 1459명에 달한다. 데이터 사용량도 109기가 바이트나 됐다.

개방형 공공와이파이 사용량이 가장 많은 곳은 버스정류장으로 연인원 94만 156명이 접속, 25기가 바이트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이어 공원 16만 2817명(23기가), 주민센터 10만 4156명(6기가) 등의 순으로 접속자가 많았다. 사회복지관, 장애인시설, 터미널 등 기타 공공시설에서도 11만 3857명(54기가)이 접속했다.

용인시 개방형 공공 와이파이는 1개의 AP당 반경 50~70m 이내라면 512명이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최초 접속시 ‘G_PublicWiFi@Yongin’을 선택하면 ‘공공와이파이 이용하기’ 창이 뜨고, 이곳을 눌러 홈페이지 및 배너창으로 이동해 접속한 후 인터넷 검색을 하면 된다.

은행업무 등 비밀번호 및 개인정보의 유출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면 보안접속도 가능하다.

최초 접속시 ‘G_PublicWiFi_Secure@Yongin’을 선택하면 접속화면이 나타나면서 일회용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발급된다. 이를 입력한 후 접속하면 해킹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시는 내년 용인시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경기도종합체육대회에 앞서 주경기장인 용인 미르스타디움 내부 25곳과 공원 등 음영지역에 개방형 공공와이파이를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많은 시민이 편리하게 무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하고, AP설치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ad2000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