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녕 교동·송현동 고분서 '순장견' 흔적

김종목 기자 2021. 11. 30. 21: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덤 지키는 진묘수 역할 추정"

[경향신문]

순장견 3마리가 나란히 묻힌 흔적이 나온 창녕 교동 63호 고분. 국립가야문화재 연구소 제공

경남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별도 석곽에 매장된 순장견(殉葬犬)의 흔적이 나왔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교동 63호 고분에서 고분 주인공의 매장 공간 출입구 북서쪽 주변 길이 1m 내외의 별도로 마련된 작은 공간(石槨·석곽)에 온전한 상태의 개 세 마리가 나란히 포개어 매장된 것을 확인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연구소는 “공희 제물로 매납된 소나 말 등을 확인한 사례는 있으나 별도 공간을 만들어 개를 순장한 사례는 흔치 않다. 이번 순장견은 무덤 입구에서 바깥을 향한 상태였는데, 백제 무령왕릉의 석수처럼 무덤을 지키는 진묘수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공희(供犧)는 ‘신에게 공물이나 산 제물을 바치는 일’을 뜻한다. 진묘수(鎭墓獸)는 ‘무덤 수호 목적으로 사용한 짐승 모양의 신상’이다.

연구소는 당시 장송의례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본다. 63호 고분은 고분군의 가장 높은 지점에 만들어진 39호 고분에 덮여 존재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소는 “가야 고분으로는 드물게 도굴 피해 없이 온전히 남아 있는 것을 확인했다. 당시의 문화상과 매장관습, 고분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귀한 연구 자료를 확보한 것”이라고 했다.

연구소는 세 마리 중 한 마리의 크기를 확인했다. 어깨 높이는 약 48㎝로 진돗개와 비슷한 체격으로 추정했다.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선 사람 위주의 순장이 주를 이룬다. 송현동 고분군에선 ‘16세 순장소녀’로 널리 알려진 ‘송현이’가 발굴됐다.

김종목 기자 jom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