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공정 활용해 신장섬유화 잡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도체 공정을 활용한 신약 개발 플랫폼이 개발돼 눈길을 끈다.
김세중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와 전누리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3차원 생체 조직칩을 이용, 실제 인체의 섬유화 과정과 유사한 환경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3차원 생체 조직칩 위에 인체 장기 세포를 배양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공정을 활용한 신약 개발 플랫폼이 개발돼 눈길을 끈다.
김세중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와 전누리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3차원 생체 조직칩을 이용, 실제 인체의 섬유화 과정과 유사한 환경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는 '분자과학 국제저널'에 게재됐다.
만성콩팥병이 진행되면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한 말기 신부전증으로 발전한다. 이때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행하게 되는 주요 기전이 콩팥이 딱딱해지는 '신장 섬유화'다.
신장 섬유화를 치료할 약물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효과를 알 수 있는 실험 모델이 필요하다. 그러나 동물실험은 결과를 사람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없고, 2차원 세포 실험은 생체와 다른 구조에서 자라나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3차원 생체 조직칩 위에 인체 장기 세포를 배양했다. 생리적 세포반응을 재현할 뿐만 아니라 해당 장기 기능과 특성까지 모방했다. 이를 통해 동물실험에 의존하던 신약개발과 독성평가 연구 부문을 대체할 수 있게 했다.
구체적으로 생체 조직칩 기술을 이용, 세 가지 세포를 구획별로 배양했다. 근위세관 세포가 모사한 세뇨관 구획, 혈관내피세포가 구조를 형성한 혈관구획, 섬유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섬유아세포 구획을 동시 배양했다. 섬유화 조직칩에 'TGF-베타'를 투여해 섬유아세포 활성을 유도했다. 활성화된 섬유아세포를 통해 다양한 섬유화 물질이 분비되며 실제 인체 섬유화 과정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이번 연구는 인간 기원 세포를 사용해 동물실험 한계인 종간 제한을 극복했고, 섬유화에 관여하는 세포 세 가지를 3차원으로 공배양해 생체 내 미세 환경에 맞는 모델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세중 교수는 “신섬유화 신약 후보물질 유효성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시했다”면서 “신장뿐 아니라 다른 장기의 섬유화 모델로 확장할 수 있어 의미 있는 연구결과”라고 말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상자산 2023년부터 과세한다…조세소위 통과
- 코로나 확진자 '재택치료' 기본...방역패스 확대·사적모임 제한은 유보
- [뉴스줌인]이재용식 삼성 인사혁신...실리콘밸리 수평적문화 심는다
- 건설연, 단열성능·화재안전 동시 확보한 건물 외벽시스템 개발
- '화웨이의 삼성 따라하기?'...Z플립 닮은 폴더블 내년 1월 출시 전망
- 셀트리온헬스케어, 유럽 9개국에 '렉키로나' 초도물량 공급
- 철로·교량 등 24시간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국산화…에니트, 2세대 'e-DAS' 출시
- 내년 전기차 충전기 보조금 올해보다 3배 늘어난다
- "폐촉매를 희소금속으로 재활용" 한내포티, 100억원 규모 프리IPO 투자...내년 상반기 상장
- 2년새 매출 2배, 영업익 8배 뛴 LX세미콘...구본준 뚝심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