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먹는 약 개발사에 투자한 국보 "경증·중증 모두에서 신약 나올 것"
“바이오 벤처였던 모더나는 코로나19 백신 개발로 세계적인 기업이 됐습니다. 코로나19 치료제에서도 ‘라이징스타’가 탄생한다면, 그 주인공은 이스라엘 레드힐바이오파마가 될 겁니다.”
하현 국보 대표는 최근 기자와 만나 “레드힐바이오파마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2종의 아시아 지역 판매를 추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보는 지난 5일 60억원을 들여 레드힐바이오파마 지분 1.73%과 이 회사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 2종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치료제 1종의 아시아 판권 우선협상권을 확보했다.
“코로나19 중증 먹는 약 EUA 논의 착수”
국보는 1953년 설립돼 70년에 가까운 업력을 자랑하는 물류 기업이다. 그간 골프 의류사업, 부동산 사업 등을 신규 사업으로 확보한 바 있지만 의약품 판매 영역까지 발을 들인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럼에도 레드힐바이오파마는 아시아 지역 협력사로 국보를 낙점했다. “하루아침에 레드힐바이오파마와 계약을 맺은 게 아니다”는 게 하 대표의 설명이다.
국보의 바이오 사업 진출은 지난해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회사는 지난해 코로나19이 유행하는 가운데 마스크 유통을 통해 헬스케어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후 이 회사 경영진은 팬더믹(감염병 대유행)을 끝낼 수 있는 ‘게임체인저’로 경구용 치료제를 눈여겨보고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려는 코로나19 신약 개발사들을 물색하기 시작했다. 자체 영업망을 가진 대형 제약사보다는 이제 아시아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려는 기업들이 그 대상이었다.
국보의 레이더에 걸린 레드힐바이오파마는 위암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파이로리균의 감염 치료제 ‘탈리시아’를 개발해 이미 미국에서 실적을 내고 있는 나스닥 상장사다. 이 회사는 지난 10월 중증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오파가닙’의 임상 2·3상의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중증 폐렴환자 251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오파가닙 투약군의 사망률이 위약군 대비 62% 낮았다.
국보에 따르면 레드힐바이오파마는 오파가닙의 긴급사용승인(EUA) 신청을 위해 미국, 유럽, 영국 등에 있는 9개 규제기관과 논의 중이다. 아직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는 상용화된 바가 없다. 미국 화이자와 머크(MSD)가 개발한 경구용 치료제는 경증과 중등증이 대상이다.
하 대표는 “물류 기업으로서 이미 아시아에 유통·영업망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과 적극적인 투자 의지를 보여준 점이 레드힐바이오파마의 마음을 움직였다”며 “6개월 간 우선협상을 거친 뒤 일부 조건이 충족되면 60억원을 레드힐바이오파마에 추가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루 한 알 복용 방식으로 경쟁력 확보”
국보가 더 많은 기대를 걸고 있는 신약 후보는 따로 있다. 레드힐바이오파마는 코로나19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구용 치료제 ‘RHB-107(물질명 우파모스타트)’도 개발 중이다. 현재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의 18개 의료기관에서 2·3상 투약을 진행 중이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로 임상 3상 지역을 넓히는 안도 검토 중이다.
경증·중등증 환자들이 집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코로나19 치료제는 백신과 함께 팬더믹 시대를 끝낼 수 있는 강력한 무기로 꼽힌다. 미국 길리어드사이언스는 조류독감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났을 때 바로 복용할 수 있는 약인 ‘타미플루’를 내놓으며 지난해 기준 연매출 28조원 규모 대형 제약사로 성장했다.
화이자와 MSD가 개발한 약도 증상이 덜한 경증·중등증 환자가 표적이다.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는 증상 발현후 3일 이내에 투약한 환자군에서 입원·사망률을 위약군 대비 89% 줄였다. MSD의 ‘몰누피라비르’는 증상 발현 후 5일 이내로 타깃을 잡았다. 이 약은 입원·사망률을 위약군 대비 50% 줄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FDA 심사 과정에서 30% 감소 효과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자와 MSD는 미국 FDA를 대상으로 한 이들 신약의 긴급사용승인(EUA) 신청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들 다국적 제약사와의 경쟁에서도 RHB-107의 승산이 충분하다는 게 하 대표의 판단이다. 팍스로비드는 1일 2회 세 알씩, 몰누피라비르는 1일 2회 네 알씩 투약해야 한다. 반면 RHB-107은 하루 한 알씩 복용하는 방식이다. 복용 편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생산 비용 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하 대표는 “투약 편의성과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만큼 임상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면 백신 분야에서 모더나가 했던 게임체인저 역할을 레드힐바이오파마가 할 수 있다”며 “경구용 치료제 개발은 방역당국에도 치료 시 고를 수 있는 선택지를 늘려주는 효과를 제공할 것”고 말했다. 이어 “레드힐바이오파마가 보유 중인 다른 파이프라인에 대해서도 국내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늙지않는 '이 여성'에 꽂혔다…대기업도 80억 '깜짝 베팅'
- "생돈 수백만원 날릴 판"…전기차 구매자들 애탄다
- 이정재도 반한 '2200원' 라면…한 달 동안 300만봉 팔렸다
- "젊은 여자에게 골프 알려주는 남편을 봤어요"…아내의 분노
- 무섭게 큰 '메타버스 ETF'…6주만에 순자산 1조원 돌파
- 김종국 "부모님 안양 재개발 아파트, 의사인 친형 주기로"
- KBS가 5년 만에 내놓는 정통사극, '태종 이방원' 김영철 압도적 아우라
- 이병헌, 왜 거기서 나와? 송승헌, 소지섭, 신동엽...오랜 친구들[TEN★]
- 이기광, 56cm 어깨 깡패 인증 "사흘이면 벌크업 가능" ('브래드PT')
- '마마무 회사'로만 알았는데 반전…'엔터주 신성' RBW의 자신감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