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된 시설·재정 탓 홀로서기 힘들어..정부·지자체 등의 지속적인 지원 절실" [공공스포츠클럽을 살리자 ①]
[경향신문]
인구 기준 세 가지 모델로 운영
5년간 지원받은 후엔 자립해야
시설 사용에 대한 융통성 확보
교육적 관점 학교 연계 사업 절실
관련 행정 일원화 선결돼야 안착
경향신문이 주최한 공공스포츠클럽 발전방안 토론회가 지난 25일 비대면으로 열렸다.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지방체육회, 공공스포츠클럽, 민간업계 등 다양한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공공스포츠클럽은 한정된 시설을 적극 활용해 많은 국민이 운동하도록 유도하는 좋은 정책”이라면서도 “효율적인 거버넌스 구조 구축, 시설 사용에 대한 융통성 확보, 다연령·다계층·다종목·다세대를 추구하는 세부지침 수립, 민간과 공공 간 상생방안 마련이 선결돼야만 성공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 공공스포츠클럽 현황과 계획
공공스포츠클럽정책은 2013년 시작됐다. 현재 전국에 있는 공공스포츠클럽은 208곳이다. 모형은 세 가지다. 대도시형(종합형), 중소도시형(종합형), 학교연계형(1개 종목)이다. 대도시형은 인구 20만명 이상 지자체로 운영 가능한 종목은 5개 이상이다. 5년 동안 기금 9억원이 지원된다. 중소도시형은 인구 20만명 이하 지자체가 대상이다. 운영 종목은 3개 이상이며, 지원금은 5년간 6억원이다. 학교연계형은 2020년부터 시작됐다. 1개 종목 이상으로 학교체육시설에서 운영되는 방식이다. 지원금은 5년간 4억원이다. 지원 기간이 끝나면 공공스포츠클럽은 기본적으로 자립 모델로 운영돼야 한다. 물론 정부와 대한체육회가 지원 기간이 끝나도 여러 형태로 공공스포츠클럽을 지원한다. 정부는 2022년까지 공공스포츠클럽을 229개까지 늘린다. 강민아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 체육진흥과장은 “내년 공공스포츠클럽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예산은 260억원(2021년 228억원)”이라며 “154억원은 기존 클럽에, 106억원은 신규 클럽에 각각 지원된다”고 말했다.
■ 공공스포츠클럽이 풀어야 할 과제
공공스포츠클럽 주요 업무는 학교스포츠클럽 및 학교운동부와의 연계, 종목별 전문선수 육성, 연령·지역·성별 특성을 반영한 스포츠 프로그램 운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초종목 및 비인기종목 육성 등이다. 내년 6월이면 스포츠클럽법이 시행된다. 시설사용료 감면, 체육시설위탁운영 등이 이뤄진다. 김대희 부경대학교 해양스포츠학과 조교수는 “시설확보가 쉽지 않은 종목 활성화 방안, 기존 동호회 흡수방안, 시설 사용 조건 완화, 민간과의 협업방안 등에 대해 세부 정책이 보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세명 충청북도체육회 정책개발부 팀장은 “체육단체 간 관련 행정 단일화, 국비와 지방비 지속적 지원 등이 이뤄져야 클럽 운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현우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스포츠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공공스포츠클럽은 체육 교육적 관점에서 전문선수반 운영, 학교연계형 사업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 공공과 민간 간 협업 필요성
심상보 대한체육회 지역체육부장은 “공공스포츠클럽이 한국 상황 속에서 재정적으로 자립한다는 것은 무척 힘들다”며 “자립을 강요하기보다는 중앙 정부, 지자체가 꾸준히 지원하는 방안을 제도화하는 게 더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종우 대한테니스협회 사무처장(전 오산체육회 사무국장)은 “공공스포츠클럽이 해야 하는 일을 체육회·종목단체·동호인·체육시설 관리자 업무와 확실하게 구분해야 한다”며 “그걸 못하면 관련 단체 간 갈등만 증폭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심찬구 스포티즌 대표는 “스포츠클럽 세부 정책이 너무 정형화, 획일화해서는 안 된다”며 “시설과 보조금을 사실상 독점하는 스포츠클럽 운영 주체가 권력 집단이 된다면 정책은 성공하기 힘들다”고 했다. 김세명 팀장은 “지자체, 체육회, 종목단체 등이 하려는 정책은 방향성이 비슷하다”며 “공공스포츠클럽 행정이 일원화하는 게 절실한 이유”라고 말했다.
김세훈 기자 shkim@kyunghyang.com
공공스포츠클럽은 문재인 정부 주요 체육정책 중 하나다. 공공체육시설을 적극 활용해 국민이 조금 더 저렴하고 편리하게 운동을 하도록 돕는 정책이다. 현재 전국에 200여개의 공공스포츠클럽이 있고 정부는 내년에 클럽 수를 더욱 늘릴 방침이다. 공공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시설 활용, 학교 스포츠와의 연계 방안, 지방체육회·동호인 클럽과 거버넌스 구조 구축, 민간기업과의 협업 등이 필요하다. 경향신문은 공공, 민간 영역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해 5회에 걸쳐 공공스포츠클럽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풀어야 할 선결과제와 청사진 등을 제시한다.
김세훈 기자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기의 추석 선물’ ‘딸에게 보낸 동영상’···이재명 ‘선거법 위반’ 판결문
- 조국 “민주주의 논쟁에 허위 있을 수도···정치생명 끊을 일인가”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민심의 법정서 이재명은 무죄”···민주당 연석회의 열고 비상행동 나서
- 40대부터 매일 160분 걷는 데 투자하면···수명은 얼마나 늘어날까?
- 드라마인가, 공연인가…안방의 눈과 귀 사로잡은 ‘정년이’
- 중학생 시절 축구부 후배 다치게 했다가···성인 돼 형사처벌
- 은반 위 울려퍼진 섬뜩한 “무궁화꽃이~”···‘오징어게임’ 피겨 연기로 그랑프리 쇼트 2위
- ‘신의 인플루언서’ MZ세대 최초의 성인···유해 일부 한국에 기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