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전파력 높아 걸려도 치명률 낮다? 잘못 알려진 상식"
"바이러스한테 숙주 위중증 여부 중요하지 않아"
"델타 변이 밀어낸 오미크론, WHO 바로 '우려로"
"일상회복 쉬어가고 유행 규모 줄일 방안 찾아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이전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높다는 우려가 많다. 동시에 전파력이 높으면 치명률이 낮아 걸리더라도 안심할 수 있다는 안전 불감증도 퍼지고 있다.
그러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산하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소속 위원인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잘못된 과학 상식"이라고 경고했다. 전파력과 치명률이 반비례 관계란 점을 섣불리 믿어선 안 된다는 지적이다. 바이러스는 살아남기 위해 전파력만 생각할 뿐, 치명률까지 고려해 진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29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바이러스는 자신을 많이 퍼뜨리는 게 유일한 목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전파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하는 건 당연하지만, 그 과정에서 치명률은 높아질 수도 있고 낮아질 수도 있다"며 "코로나19는 확진자를 최대한 빠르게 찾아내 격리하는 게 방역 전략이기에, (바이러스 입장에서) 감염 초기에 조금 더 빨리 증식해 최대한 많은 전파를 일어나게 만들면 많이 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진행자가 '치명률이 높으면 숙주가 빨리 죽어 전파를 못 시키니 (치명률과 전파력이) 반비례한다는 게 우리의 상식 아니었냐'고 되묻자 "그게 호흡기 바이러스의 독특한 점인데, 대부분 감염 초기에 전파가 일어난다"며 "감염된 뒤 숙주가 중증화되는 여부는 그렇게 중요한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너무 초기라 전파 속도가 빠르거나 백신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는 건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면서도 "중증화 여부에 대해선 한두 달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빠르게 빗장 잠그는 나라들…"델타 변이 때 얻은 교훈"
정 교수는 오미크론의 전파력에 대해 "델타 변이를 밀어냈다"고 표현했다. 기존 변이 바이러스 중 전파력이 가장 높다고 알려진 델타 변이보다 세다는 의미다. 그는 "변이의 폭 자체가 너무 크고 초기 상황에서 델타 변이를 빨리 밀어내는지가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남아프리카에서 유행하는 델타 변이를 대체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데이터를 보면 오미크론이 델타보다 조금 더 위험할 가능성이 있다"며 "그렇기에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간인 '관심 단계'를 건너뛰고 바로 '우려'로 갔다"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각국이 오미크론 변이 확산을 막고자 외국인 입국 금지 조치를 빠르게 시행한 건 델타 변이를 통해 얻은 교훈이라고 했다. 그는 "전 세계가 처음에 알파나 베타에 더 중점을 두고 방역을 진행했는데, 상대적으로 델타에 대해선 무관심한 면이 있었다"며 "초기 대응이 향후 시간을 벌어줄 수 있고, 정보를 알아내는 기간 대응 전략을 세우면 상당히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 역량 확충·유행 규모 감소 절충점 고민해야"
그러나 정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지나친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했다. 오미크론보다 현재 국내 감염 상황이 더 심각하기 때문이다. 해결책으로 단계적 일상회복을 잠시 쉬어 가자고 제시했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하는 건 경제적 피해를 고려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관련 기사 ☞ 오미크론 속에서도 이재갑이 "역시 백신이 답"이라고 한 까닭은)
그는 "방역과 의료의 관점에서 본다면 지금 좀 쉬어 가야 할 시점"이라며 "일상회복 시작 이후 3주 차부터 매주 확진자가 10~15%씩 늘어난다. 확진자가 늘어나는 것에 속도가 붙으면 그때부터 정말 대응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주 (하루 신규 확진자가) 4,000~5,000명 육박할 가능성이 있고, 그렇게 되면 중환자 병상 예비율이 더 떨어진다"고 예측했다.
정 교수는 일상회복 시행 이후 유행을 차단할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 확산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지난주와 지지난주 유행 규모를 줄이려는 전략은 시행된 게 없어 확산 추세가 그대로 간다고 생각해야 한다"며 "의료 대응 역량이 모자랄 가능성이 있어 지금 정도는 쉬었다 가는 걸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정 교수는 쉬어 가기 단계에서 의료 대응 역량을 확충하고 유행 속도를 줄이는 정책을 병행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500병상 더 늘려도 3, 4주면 다 차기 마련"이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일상회복 2, 3단계로 쉽게 넘어갈 수 있는 절충점을 찾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류호 기자 ho@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민주당 때문에" 이수정, 왜 국민의힘과 손잡았나 봤더니
- 추락하는 위드 코로나에 '특별한 방역대책'마저 없다
- 댄서 아이키 "연구원 남편, 사기 결혼 당했다고..." 무슨 일?
- 60세에 결혼한 한비야 "남편과 모든 비용은 반반으로"
- 중국이 남아공발 오미크론에 주저하는 4가지 이유
- 조민아, 쏟아지는 악플에 심경 토로 "본인 위한 삶 살길"
- "급한 건 文 심판인데, 윤석열이도 쫌..." 대구선 '일단 정권교체'
- 랜딩기어에 숨어 목숨 건 미국행…과테말라 남성 체포
- "윤석열 장모가 토지 소유자면서, 시행사면서, 분양사... 본질은 '땅 투기'"
- 연인 구하려 불길 뛰어들다 '80% 화상'… 그녀의 근황 "감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