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환경·VC..국내 팹리스, 美엔비디아 좇아야 하는 이유

최영지 2021. 11. 29. 19: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개발 전문회사)들은 실리콘 밸리의 성공모델인 엔비디아를 보고 배워야 합니다."

이 대표는 실리콘 밸리의 성공모델로 미국 팹리스 기업인 엔비디아를 꼽으며 그 성공 요건으로 △인재의 이동에 따른 기업의 탄생 △실리콘 밸리 네트워크 기반 기업·인재 집적 구조 △고성장 하이테크 기업에 특화된 벤처캐피털을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9일, 제3회 시스템반도체 상생포럼 열려
서울대 시스템반도체산업진흥센터 주최
"고성장 기업 클러스터·반도체 특화 VC 필요"
"대기업뿐 아니라 해외 기업과 교류해야"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개발 전문회사)들은 실리콘 밸리의 성공모델인 엔비디아를 보고 배워야 합니다.”

29일 서울대 시스템반도체산업진흥센터 주관으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테크 비즈 콘서트’에서 이은세 541벤처스 대표는 이같이 말했다.

29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서울대 시스템반도체산업진흥센터 주관으로 ‘테크 비즈 콘서트’가 진행 중인 모습.
이 대표는 실리콘 밸리의 성공모델로 미국 팹리스 기업인 엔비디아를 꼽으며 그 성공 요건으로 △인재의 이동에 따른 기업의 탄생 △실리콘 밸리 네트워크 기반 기업·인재 집적 구조 △고성장 하이테크 기업에 특화된 벤처캐피털을 강조했다.

그는 “엔비디아 창업자들 모두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칩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고 있었고, 전 세계 엔지니어들에게 엔비이다 그래픽칩셋(GPU)를 사용하게 했다”며 “기존 앵커 기업들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인재 이동과 스필오버 효과가 실리콘 밸리의 성공 모델 중 첫 번째 요소”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실리콘 밸리 내 기업과 인재가 모여 있는 환경을 두 번째 성공 요소로 꼽았다. 그는 “실리콘 밸리에 엔비디아와 같은 고성장 기업이 집적되면 자연스럽게 동료 간의 경쟁이 발생하게 된다”며 “그 결과 해당 군집 내 기업들은 모든 제품이나 기술을 인하우스로 연구개발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기업으로부터 애즈어서비스 형태로 구입하거나 심지어 다른 기업을 인수함으로써 성장을 가속화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의 경우 2000년 이후 총 17개 기업을 인수했는데, 그중 9개는 실리콘 밸리 내 기업이었다.

마지막 성공 요소로는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했던 벤처캐피탈을 꼽았다.

국내 팹리스 기업들이 이 같은 성공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국내 대학교를 토대로 한 고성장 기업 클러스터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반도체 특화 벤처캐피털을 육성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산업연구원의 김양팽 박사는 국내 팹리스기업의 SWOT 분석을 통해 “팹리스 창업자와 전문인력이 줄어들고 있고 하위 기업들은 생존조차 어려운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다”면서도 “잠재력 있는 기업과 기술자를 발굴한다면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진단했다.

다만 위기 상황으로 중국·대만 팹리스 기업들의 성장을 꼽으며 “팹리스들의 실질적인 수요자는 국내 대기업”이라면서도 “장기적,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해외 기업들과의 교류가 필요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대만·중국 팹리스들과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파두, 디앤엑스, 메타씨앤아이 등 국내 팹리스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생태계를 이끌어갈 팹리스들의 성장과 상생에 대해 고민하는 자리를 가졌다.

최영지 (you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