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현실주의 거장들' 디렉터의 '픽'은? "남성 작가들의 뮤즈가 아니라 여성 초현실주의 예술가로"
[경향신문]
‘초현실주의 거장들: 보이만스 판뵈닝언 박물관 걸작전’ 언론 공개 행사가 열린 지난 26일 박물관 프로젝트 매니저 수잔나 코닉은 사람들이 지나간 자리에서 한 작품을 물끄러미 바라봤다.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5전시실 ‘제1부 초현실주의 혁명’ 섹션에 걸린 레오노라 캐링턴(1917~2011)의 ‘쌍둥이자리는 과수원에 있습니다’(1947)이다. 이 작품에서 인간인지, 외계인인지 모를 존재들이 숲과 초원이 뒤섞인 기묘한 공간에서 대화를 나누거나 말을 타고 있다. 씨를 뿌리는 아이도 등장한다.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기괴한 형상을 자주 그렸던 히에로니무스 보스(1490~1510)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보스는 살바도르 달리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관련기사 보기 먼지까지 살피고 따진다…마그리트·달리 ‘초현실주의 거장들’ 컨디션 체크의 날
20세기 예술혁명으로 탄생한 걸작들 원본으로 본다
코닉은 네덜란드에서 이 작품을 보고 또 봤다. 한국에 와서도 이 그림 앞에서 한참을 머물렀다. 그는 “캐링턴 작품은 늘 봐도 좋다. 기이하면서도, 아름답다. 그는 동화 삽화를 그렸는데, 이 작품엔 동화적 요소도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기이한 것은 언제나 아름답다, 기이한 것은 무엇이든 아름답다, 사실 오직 기이한 것만이 아름답다”는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언> 구절에 딱 들어맞는 작가다. 캐링턴의 이미지들은 수수께끼 같아서 한없이 사람들을 작품 속으로 끌어들이는 듯하다. 아흔 살 때 자기 그림의 의미를 묻는 기자에게 “이건 지적 게임이 아니다. 시각 세계다. 느낌을 쓴다”고 했다.
캐링턴은 여성이다. 보이만스 판뵈닝언의 큐레이터 엘스 호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전시는 마그리트, 달리, 뒤샹 같은 거장들 뿐만 아니라 이들과 함께 초현실주의 운동을 함께 해나간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들도 소개한다. 그중 여성 초현실주의 작가들은 단순히 남성 작가들의 응원자가 아니라 예술가로서 훌륭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말했다. 남성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뮤즈로 격하되곤 한 여성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작품을 유심히 봐 달라는 취지의 말이다.
걸작전에 나온 여성 작가는 캐링턴과 에일린 아거, 우니카 취른, 메레 오펜하임, 엘사 스키아파렐리, 셀린느 아놀드 등 6명(14점)이다. 영국 초현실주의 집단의 주요 인물인 아거(1899-1991)의 작품 5점이 나왔다. 그도 “오토마티즘(자동기술법) 기법을 사용해 고대 해양 동물과 해초의 구조를 상상 속의 세상과 결합”했다. “(남성적인) 종교적 신비주의가 아니라 자연적인 상징주의와 관련된 ‘상상의 여성성’을 표현”했다. 평생 관습에 저항하며 독립적인 태도를 유지했던 그는 “아티스트로서 내게 땅, 태양, 달은 고결한 삼위일체보다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말도 남겼다.
이번 걸작전이 여느 해외 기획 전시와 다른 점을 하나 꼽자면 지적이고, 학술적인 전시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큐레이터들은 관람객들이 초현실주의 개념과 운동을 상기하며 전시장을 둘러보길 바란다.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언>을 전시장 입구에 전시했다. 브르통은 1924년 초현실주의 선언을 발표하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초현실주의는 사고의 실제 작용을 말이나 글, 혹은 그 밖의 모든 방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순수한 상태의 정신적 오토마티즘을 일컫는다. 이성에 의해 행해지는 모든 통제를 벗어나 미학적이고 도덕적인 걱정으로부터 자유로운 사고의 흐름과도 같다.” 큐레이터 호크는 자신의 책 <초현실주의>에서 “초자연적 오토마티즘은 무의식적인 내면의 자아 표현 수단”이라고 정리했다. “무의식적인 사고를 통해 ‘사고의 실제 기능’에 접근해 이성의 제한적인 한계, 미학과 사회적·도덕적 규범이라는 제한적인 경계를 벗어나는” 걸 목표로 삼았다. 선언문은 “광기, 기이함, 몽환, 비이성을 바탕”으로 한다.
여러 자료는 회화의 참조 사항이 아니다. 이번 전시 작품 상태를 앞서 점검한 김주삼 미술품보존복원연구소 아트 C&R 소장은 “판뵈닝언 박물관 팀은 문헌 자료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고 전했다. 브르통의 여러 문헌에다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1925년 판본, 막스 에른스트의 ‘자선주간 혹은 일곱 가지 주요 요소’, 마그리트의 ‘단어 및 이미지’, 마그리트가 삽화를 그린 로트레아몽 백작의 <말도로르의 노래>(1948) 등을 전시한다. 초현실주의자들은 <말도로르의 노래> 중 “재봉틀과 해부용 탁자 위의 우산이 우연히 마주치는 것처럼 아름다워”라는 구절을 좋아했다고 한다. 연관성이 적은 임의의 물체가 한데 모이면 묘한 이미지와 분위기를 자아내는 게 초현실주의 작품 특징 중 하나다.
브르통과 폴 엘리아르(편집자)가 정리한 <초현실주의 요약사전>(1938)도 전시한다. 22~23쪽에 실린 이브 탕기의 ‘성막’(1928), 한스 벨버의 ‘인형’(1933) 등이 걸작전에 나왔다. 이 자료 중 만 레이의 ‘파괴될 오브제’를 차용한 달리의 ‘메트로놈’도 볼 수 있다.
김종목 기자 jom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기의 추석 선물’ ‘딸에게 보낸 동영상’···이재명 ‘선거법 위반’ 판결문
- 조국 “민주주의 논쟁에 허위 있을 수도···정치생명 끊을 일인가”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사설] 이재명 선거법 1심 ‘당선 무효형’, 현실이 된 야당의 사법리스크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드라마인가, 공연인가…안방의 눈과 귀 사로잡은 ‘정년이’
- 중학생 시절 축구부 후배 다치게 했다가···성인 돼 형사처벌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