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현실주의 거장들' 디렉터의 '픽'은? "남성 작가들의 뮤즈가 아니라 여성 초현실주의 예술가로"

김종목 기자 2021. 11. 29. 17: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초현실주의 거장들: 보이만스 판뵈닝언 박물관 걸작전’ 언론 공개 행사가 열린 지난 26일 박물관 프로젝트 매니저 수잔나 코닉은 사람들이 지나간 자리에서 한 작품을 물끄러미 바라봤다.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5전시실 ‘제1부 초현실주의 혁명’ 섹션에 걸린 레오노라 캐링턴(1917~2011)의 ‘쌍둥이자리는 과수원에 있습니다’(1947)이다. 이 작품에서 인간인지, 외계인인지 모를 존재들이 숲과 초원이 뒤섞인 기묘한 공간에서 대화를 나누거나 말을 타고 있다. 씨를 뿌리는 아이도 등장한다.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기괴한 형상을 자주 그렸던 히에로니무스 보스(1490~1510)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보스는 살바도르 달리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관련기사 보기 먼지까지 살피고 따진다…마그리트·달리 ‘초현실주의 거장들’ 컨디션 체크의 날

20세기 예술혁명으로 탄생한 걸작들 원본으로 본다

레오노라 캐링턴의 ‘쌍둥이자리는 과수원에 있습니다’(1947) 앞에 선 보이만스 판뵈닝언 박물관의 프로젝트 매니저 수잔나 코닉. 김종목 기자

코닉은 네덜란드에서 이 작품을 보고 또 봤다. 한국에 와서도 이 그림 앞에서 한참을 머물렀다. 그는 “캐링턴 작품은 늘 봐도 좋다. 기이하면서도, 아름답다. 그는 동화 삽화를 그렸는데, 이 작품엔 동화적 요소도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기이한 것은 언제나 아름답다, 기이한 것은 무엇이든 아름답다, 사실 오직 기이한 것만이 아름답다”는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언> 구절에 딱 들어맞는 작가다. 캐링턴의 이미지들은 수수께끼 같아서 한없이 사람들을 작품 속으로 끌어들이는 듯하다. 아흔 살 때 자기 그림의 의미를 묻는 기자에게 “이건 지적 게임이 아니다. 시각 세계다. 느낌을 쓴다”고 했다.

판뵈닝언 박물관 큐레이터 엘스 호크(왼쪽)가 지난 26일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초현실주의 거장들: 보이만스 판뵈닝언 박물관 걸작전’ 중 전시 기획 의도 등을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은 해외전시 디렉터인 산드라 타사키스. 김종목 기자

캐링턴은 여성이다. 보이만스 판뵈닝언의 큐레이터 엘스 호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전시는 마그리트, 달리, 뒤샹 같은 거장들 뿐만 아니라 이들과 함께 초현실주의 운동을 함께 해나간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들도 소개한다. 그중 여성 초현실주의 작가들은 단순히 남성 작가들의 응원자가 아니라 예술가로서 훌륭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말했다. 남성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뮤즈로 격하되곤 한 여성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작품을 유심히 봐 달라는 취지의 말이다.

에일린 아거 ‘앉아 있는 형상’(1956). 김종목 기자

걸작전에 나온 여성 작가는 캐링턴과 에일린 아거, 우니카 취른, 메레 오펜하임, 엘사 스키아파렐리, 셀린느 아놀드 등 6명(14점)이다. 영국 초현실주의 집단의 주요 인물인 아거(1899-1991)의 작품 5점이 나왔다. 그도 “오토마티즘(자동기술법) 기법을 사용해 고대 해양 동물과 해초의 구조를 상상 속의 세상과 결합”했다. “(남성적인) 종교적 신비주의가 아니라 자연적인 상징주의와 관련된 ‘상상의 여성성’을 표현”했다. 평생 관습에 저항하며 독립적인 태도를 유지했던 그는 “아티스트로서 내게 땅, 태양, 달은 고결한 삼위일체보다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말도 남겼다.

‘초현실주의 거장들’ 전시장 입구에 전시한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언>. 김종목 기자

이번 걸작전이 여느 해외 기획 전시와 다른 점을 하나 꼽자면 지적이고, 학술적인 전시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큐레이터들은 관람객들이 초현실주의 개념과 운동을 상기하며 전시장을 둘러보길 바란다.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언>을 전시장 입구에 전시했다. 브르통은 1924년 초현실주의 선언을 발표하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초현실주의는 사고의 실제 작용을 말이나 글, 혹은 그 밖의 모든 방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순수한 상태의 정신적 오토마티즘을 일컫는다. 이성에 의해 행해지는 모든 통제를 벗어나 미학적이고 도덕적인 걱정으로부터 자유로운 사고의 흐름과도 같다.” 큐레이터 호크는 자신의 책 <초현실주의>에서 “초자연적 오토마티즘은 무의식적인 내면의 자아 표현 수단”이라고 정리했다. “무의식적인 사고를 통해 ‘사고의 실제 기능’에 접근해 이성의 제한적인 한계, 미학과 사회적·도덕적 규범이라는 제한적인 경계를 벗어나는” 걸 목표로 삼았다. 선언문은 “광기, 기이함, 몽환, 비이성을 바탕”으로 한다.

이번 걸작전에선 초현실주의의 여러 표현 양상을 비교해 볼 수 있다. 만 레이의 ‘복원된 비너스’(1936) 너머로 르네 마그리트의 ‘자유의 문턱에서’(1937)가 보인다. 오른쪽 설치 작품은 호안 미로의 ‘신사와 숙녀’(1969). 김종목 기자

여러 자료는 회화의 참조 사항이 아니다. 이번 전시 작품 상태를 앞서 점검한 김주삼 미술품보존복원연구소 아트 C&R 소장은 “판뵈닝언 박물관 팀은 문헌 자료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고 전했다. 브르통의 여러 문헌에다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1925년 판본, 막스 에른스트의 ‘자선주간 혹은 일곱 가지 주요 요소’, 마그리트의 ‘단어 및 이미지’, 마그리트가 삽화를 그린 로트레아몽 백작의 <말도로르의 노래>(1948) 등을 전시한다. 초현실주의자들은 <말도로르의 노래> 중 “재봉틀과 해부용 탁자 위의 우산이 우연히 마주치는 것처럼 아름다워”라는 구절을 좋아했다고 한다. 연관성이 적은 임의의 물체가 한데 모이면 묘한 이미지와 분위기를 자아내는 게 초현실주의 작품 특징 중 하나다.

앙드레 브르통과 폴 엘리아르(편집자)가 정리한 <초현실주의 요약사전>(1938). 김종목 기자

브르통과 폴 엘리아르(편집자)가 정리한 <초현실주의 요약사전>(1938)도 전시한다. 22~23쪽에 실린 이브 탕기의 ‘성막’(1928), 한스 벨버의 ‘인형’(1933) 등이 걸작전에 나왔다. 이 자료 중 만 레이의 ‘파괴될 오브제’를 차용한 달리의 ‘메트로놈’도 볼 수 있다.

김종목 기자 jom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