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보다 5배? 오미크론은 얼마나 위험한가..학계 주요 관심사

이윤정 기자 2021. 11. 29. 16: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지구촌 곳곳에서 보고되면서 오미크론의 전파력과 위험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오미크론의 전파력이 델타 변이의 5~6배, 치사율은 기존 대비 8배에 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오미크론이 돌파감염을 더 잘 일으키거나 기존 항체 치료제 효과를 무력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오미크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WHO는 28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오미크론의 전파력과 중증 위험도 등이 아직 뚜렷하게 파악되지 않았다며 “현재로선 오미크론의 증상이 다른 변이와 다르다고 볼 만한 정보가 없다”고 밝혔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입원율이 높아졌지만 이것이 오미크론 때문이라기보다는 전체적인 감염자 수의 증가 때문일 수 있다면서 오미크론의 심각성을 파악하기까지 며칠에서 수주까지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도 이날 “오미크론 스파이크 단백질의 32개 돌연변이는 강력한 전염성과 면역회피성을 보일 것”이라면서도 “확실한 정보를 얻기까지 어림잡아 2주 이상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오미크론의 위험성을 두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미국에서 20년 가까이 전염병을 연구해온 야니어 바 얌 박사는 현재 추정치로 따져봤을 때 오미크론의 전파력은 최초 유형보다 6배, 델타 변이 대비 2배까지 높다고 주장했다. 또 오미크론의 치사율은 기존 대비 8배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추정했다. 감염학자이자 미국과학자연맹(FAS) 선임연구원 에릭 딩, 오스트리아 분자생물공학연구소의 분자생물학자 울리히 엘링도 딩 등 전염병 전문가들도 오미크론 전파력이 델타보다 500% 높을 수 있다는 자체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야니어 바 얌 박사 트위터.


오미크론이 기존 백신을 회피해 돌파감염을 더 쉽게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됐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1월 중순 홍콩의 입국자 격리 전용 호텔에서 복도를 사이에 두고 맞은편 방에서 지낸 두 사람이 직접 접촉한 적이 없는데도 잇따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홍콩 보건당국은 지난 11일 남아공에서 입국한 1차 감염자가 밸브형 마스크를 쓰고 음식물을 받기 위해 방문을 잠시 열고 복도로 나왔을 때 바이러스를 퍼뜨렸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미크론에 감염된 두 사람 모두 백신 접종 완료자였다.

오미크론의 전파력이 델타 변이를 뛰어넘는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중증 위험도가 특히 관심사로 떠올랐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안젤리크 쿠체 박사는 오미크론이 전파력은 높지만 증상은 경미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놨다. 그는 자신이 진료한 24명의 오미크론 확진자 중 기존 환자들에게 흔했던 미각이나 후각 상실을 경험한 이는 한 명도 없었다면서 대부분 가벼운 기침만 했다고 전했다. 건강한 남성 환자들이 극심한 피로를 호소했지만 아직까지 입원을 고려할 만한 증상을 보인 환자는 없다고 덧붙였다.

반면 국립 남아프리카 전염병 연구소의 페니 무어 박사는 오미크론에서 백신을 회피하는 돌연변이와 델타 변이와 같은 폭발적인 전염 능력을 지닌 돌연변이가 모두 확인된다고 경고했다. 스티븐 호지 모더나 이사회 의장은 “오미크론은 모든 최고 유행작을 모아 만든 프랑켄슈타인 잡종과 같다”면서 “우리가 가진 모든 경종이 한꺼번에 울리고 있다”고 말했다. 기존 항체 치료제가 오미크론에 무용지물일 수 있다는 견해도 나왔다. 인도국립물리연구소의 시 로피나 연구원은 “오미크론이 가진 단백질 변이에는 기존 항체 치료제에 내성이 있는 6가지 변이가 보인다”면서 “델타 변이 환자들에 사용했던 치료제가 효과가 없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결국 오미크론의 치명률은 1~2주 안에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남아공에서 다수 발견된 환자들의 경과를 살펴보면 중증 유발 정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남아공 전염병 전문의 데이비드 러셀은 “오미크론으로 심각한 상황에 이를 만한 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다”면서 “향후 1~2주 동안 입원률을 지켜봐야 한다”고 뉴욕타임스에 밝혔다.

미국 정부는 오미크론을 막을 핵심 전략으로 ‘부스터샷’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부스터샷이 오미크론 감염을 막아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린다. 인도국립물리연구소 감염학자 비노드 스카리아는 “이스라엘에서는 부스터샷까지 맞았지만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돌파감염 여부 자체보다 중요한 건 치명률”이라며 부스터샷이 중증 확률을 낮추는지를 따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미 국립보건원(NIH) 프랜시스 콜린스 원장은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기존 백신이 델타 등 다른 변이에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오미크론에도 효과가 있다고 믿을 만하다”며 “특히 부스터샷은 모든 종류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대한 대응 능력을 키울 것”이라고 했다.

이윤정 기자 yyj@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