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에 묶이고 새벽배송에 밀리고..SSM 나홀로 뒷걸음

임애신 2021. 11. 29. 15:5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형마트·백화점·편의점 매출 동반 개선
SSM만 석 달 연속으로 매출 감소세 지속
방문객 구매건수와 건당 구매금액도 줄어
"대형마트와 동일한 수준의 규제에 발목"
이마트에브리데이 (사진=이마트)

[이데일리 임애신 기자] 기업형슈퍼마켓(SSM)이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온라인 구매가 늘었다고 치부하기엔 또 다른 오프라인 업체인 대형마트와 편의점의 매출은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집 근처에 있는 ‘골목형 마트’를 표방한 SSM이 지금은 정부 규제에 발목이 잡혀 대형마트도 아니고 편의점도 아닌 어중간한 위치에 놓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9일 발표한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을 보면 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슈퍼, GS 더 프레시,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 SSM 4사의 10월 매출은 -1.6%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 기간 오프라인(10%)과 온라인 부문(19.7%)의 매출이 모두 성장세를 이어가며 전체 매출이 지난해 10월보다 14.4% 상승한 가운데 SSM만 나 홀로 매출이 줄었다.

산업부는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온라인 구매로의 전환이 빨라진 영향 등으로 SSM의 매출이 소폭 감소했다”며 “반면 개별업체에서 진행한 쇼핑 행사의 매출 호조 등에 힘입어 대형마트와 백화점, 편의점 매출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 이후 살아나는 소비…SSM은 빗겨가

감염을 우려해 점포를 찾는 사람이 줄어든 가운데 이들이 방문했을 때 구매하는 금액도 동반 감소했다. 10월 SSM 구매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감소했다. 이는 대형마트(-9.7%)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감소율이다.

(전년동기대비, %) (자료=산업부)

SSM의 구매단가는 5.0% 증가했다. 백화점(13.0%), 대형마트(12.4%), 편의점(8.6%) 등 다른 오프라인 부문과 비교해 가장 적었다. 점포 수도 매년 감소세다. 2019년 1215개, 2020년 1138개에서 올해 10월 기준 1108개까지 줄었다.

SSM의 매출 악화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SSM 4개사의 연간 매출은 2014년 -3.3%, 2015년 -1.3%, 2016년 -0.8%로 감소 폭을 줄이다가 2017년에는 0.4%로 증가 전환한 후 2018년 2.0%까지 올랐다. 하지만 2019년에는 -1.5%로 꼬꾸라졌고 2020년에는 -4.8%로 하락폭을 확대했다. 올 들어서도 좀처럼 개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1월 -3.3%, 3월 -18.7%, 6월 -2.4%, 9월 -16.1%를 기록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태별 매출에서 SSM이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세다. SSM 비중은 2016년 4.6%였지만 2017년 4.4%, 2018년 4.3%, 2019년 4.1%, 2020년 4.0%로 줄었고, 올해 10월에는 2.7%까지 급감했다.

SSM 관계자는 “업태 간 경쟁이 심화하던 가운데 새벽 배송 등 온라인시장으로까지 경쟁 범위가 넓어졌다”며 “코로나19 이후에는 `슬세권(슬리퍼를 신고 갈 수 있을 만큼 가까운 동네 상권)`으로 편의점이 각광을 받았고 규제를 받지 않는 식자재 마트로 수요가 분산하며 SSM이 타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영업시간 규제에 휴무일까지…설 자리 없는 SSM

SSM의 시작은 주거지 가까이 위치해 대형마트가 수요를 흡수하지 못하는 소규모 틈새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것이었다. SSM은 대형마트보다 작고 동네 슈퍼마켓보다 큰 대기업 계열의 슈퍼마켓을 지칭한다. 대형마트에 비해 부지 면적이 좁아 출점 비용이 적게 들고 동네 슈퍼보다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료=산업부)

그러다 보니 SSM이 골목상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2010년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전통시장 경계 1㎞ 이내에서의 출점이 불가능해졌다.

신규 출점이 막힌 가운데 대형마트와 동일한 영업 규제까지 받게 됐다. SSM이 준대규모점포로 분류돼서다. 지자체별로 SSM에 매월 1일 이상 2일 이내에서 의무휴업일을 지정하고, 영업시간을 새벽 0시부터 오전 8시까지 제한하고 있다.

대형마트도 아니고 동네슈퍼도 아닌 애매한 성격을 띄게 된 상태다. 업계에선 규제의 부작용이 낳은 결과라고 지적한다.

SSM 또다른 관계자는 “편의성을 내세운 편의점이 식자재로 저변을 넓히며 SSM 수요를 흡수하고 있어 더 힘들어졌다”며 “SSM이 영업을 쉬면 그 기간 전통시장이나 동네상권이 살아난다는 효과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일방적인 규제는 희생양을 만들 뿐”이라고 꼬집었다.

임애신 (vamo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