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홍,노랑,연두 샤방샤방 19C 왕실 유아복 문화재 됐다

2021. 11. 29. 09: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왕족이든 평민이든, 예나 지금이나, 어린이들은 다 같다.

분홍, 노랑, 연두 등 샤방샤방한 색깔의 어린이 옷은 근엄한 왕실에서도 어린이 의상의 대표 색감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친왕실 재봉틀 서구식 봉제법도 사용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왕족이든 평민이든, 예나 지금이나, 어린이들은 다 같다. 분홍, 노랑, 연두 등 샤방샤방한 색깔의 어린이 옷은 근엄한 왕실에서도 어린이 의상의 대표 색감이었다.

19세기 영친왕비 이방자여사가 보관하다 숙명여대에 기증한 ‘영친왕 일가 어린이 옷’ 9건이 29일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됐다.

특히 손바느질과 재봉틀 사용이 모두 확인되는 ‘조끼’는 서구문화의 유입에 따른 봉제 방법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유물이다.

19세기 조선왕실 어린이가 입었던 조끼
왕실어린이 색동마고자

이 왕실 어린이 의복 유물은 1998년 숙명여자대학교가 기증받은 9건이다. 한복이라는 점만 요즘과 다르지 그 때에도 어린이들의 의복 컨셉트는 울긋불긋 예뻤다.

‘전(傳) 영친왕 일가 어린이 옷’은 사규삼(남자아이가 착용하던 예복으로, 옷자락이 네 폭으로 갈라져 있음)과 창의(소매가 넓고 뒤나 옆에 트임이 있는 옷으로, 상류층에서는 외출 시 겉옷의 밑받침 옷으로 입음), 두루마기, 저고리, 색동마고자, 풍차바지(밑을 터서 용변을 보기 편하게 만든 남자아이용 바지), 조끼, 버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기가 용변을 쉽게 보도록 밑을 뚫은 풍차
귀여운 두루마기
사규삼 및 창의

사규삼 및 창의는 조선 시대 왕실과 반가에서 돌옷이나 관례 시 예복으로 입힌 것으로 현재 남아있는 유물이 드물어 희소성이 높다.

돌띠 방식의 긴 고름을 달아 만든 ‘두루마기’와 ‘저고리’, 그리고 용변이 용이하도록 뒤가 트인 ‘풍차바지’ 등은 어린아이에 대한 배려와 조선 시대 어린이 복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abc@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