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중국에 영향 크지 않을 것"..中전문가의 한마디[이슈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의 존재를 처음으로 알린 남아프리카공화국 의사가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와 비교해 위험성이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 전문가들 역시 오미크론이 자국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오미크론 변이의 위해성을 한동안 지켜봐야 하고 수시로 주의가 필요하지만, (중국 정부의) 비교적 큰 조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주의해야 할 것은 남아프리카공화국 관련 지역에서 온 사람들에 대한 방역"이라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전문가, 오미크론 우려 불식 총력
“중국 전문가, 영향 크지 않을 것”
“관련 지역서 온 사람들 방역 철저히”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의 존재를 처음으로 알린 남아프리카공화국 의사가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와 비교해 위험성이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 전문가들 역시 오미크론이 자국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의 대표적인 호흡기 질환 전문가인 중난산 공정원 원사는 28일 광저우에서 “현재까지 상황으로 볼 때 오미크론은 전파 속도가 빠르고 이미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유행하고 있다”면서도 “지금 결론을 내리는 것은 너무 이르다”며 판단을 유보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얼마나 위험하고 얼마나 빠르게 전파하는지는 물론 백신 개발이 필요한지 등은 추가 상황을 보며 판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어 그는 “오미크론 변이의 위해성을 한동안 지켜봐야 하고 수시로 주의가 필요하지만, (중국 정부의) 비교적 큰 조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주의해야 할 것은 남아프리카공화국 관련 지역에서 온 사람들에 대한 방역”이라고 강조했다.
“中의 신속한 대응과 역동적인 제로 코로나 정책,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
중국은 해외 입국자 시설격리 의무와 함께 확진자가 발생하면 인근 지역을 모두 봉쇄하는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는 만큼 대규모 감염사태로 이어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장원훙 푸단대 부속 화산병원 감염내과 주임 역시 오미크론 변이가 중국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장 주임은 이날 자신의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중국의 신속한 대응과 역동적인 제로 코로나 정책은 다양한 종류의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中 시진핑의 시(Xi) 피하려고 새 변이 오미크론 됐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을 의식해 새로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을 ‘오미크론’으로 지정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WHO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을 그리스 알파벳의 15번째 글자인 ‘오미크론’으로 지정했다.
WHO는 알파벳 글자 순서대로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을 지어왔는데 종전 12번째 글자인 ‘뮤’ 변이까지 지어진 상황이었다. 이에 다음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은 13번째 글자인 ‘뉴’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WHO는 13, 14번째 글자인 뉴(NU)와 크사이(Xi) 2개를 건너뛰고 15번째 글자인 오미크론을 새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일각에서 WHO가 언어적·정치적 혼란을 피해서 내린 결정이라는 주장을 했다.
최근 하버드 의대 감염병 학자 마틴 컬도프는 트위터에 그리스 알파벳 그림을 올리고 “WHO는 알파벳을 건너뛰어서 오미크론으로 부르면서 결국 ‘시’를 피할 수 있었다”고 했다.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의 폴 누키 선임 에디터는 “뉴(Nu)는 영어 단어 ‘뉴(new)’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건너뛴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크사이(xi)는 특정 지역 낙인을 피해가기 위해서였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고 밝혔다.
크사이(Xi)는 영어 철자가 ‘Xi’로 표기되는데, 영어권 국가에서 시 주석의 이름(성)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만 쓴다.
WHO는 시 주석의 성을 변이 바이러스 이름에 갖다 붙일 경우 혼란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직장동료가 성폭행” 허위 고소한 30대 여성 실형
- 모태신앙, 커밍아웃 21년… 홍석천이 조카 입양한 이유
- 희소병 앓는 이봉주 “2년 만에 달린 오늘, 다시 태어난 날”
- “왜 전단 넣어” 할머니 무릎 꿇린 미용실 뒤늦은 사과(종합)
- 뉴질랜드 전 여성부 장관, 진통오자 자전거 타고 직접 병원行
- 술 마시다 친구에게 끓고 있는 김치찌개 부은 20대 여성
- “수화기 두드려라” 무언의 119신고 무시하지 않은 소방관
- “아내 유방암 말기” 폐업하는 마트에 ‘돈쭐’내러 간 시민들
- “여성들 마스크만 벗겨 훔쳐 가”…신종 범죄 발생한 일본
- WP “혼자 멍하니 있고 싶어서 공간을 사는 한국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