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 워홀, 자신도 궁금했다 "나는 누구인가?"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2021. 11. 28. 17: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붉은 그림자를 드리운 강렬한 빛은 너무나 밝은 나머지 인물의 눈코입마저 가렸다.

1967년작 붉은 자화상과 함께 전성기를 누리던 워홀은 이듬해 자신의 작업실 팩토리에서 직원이었던 발레리 솔라나스에게 총격을 당했고 한동안 자화상 제작을 중단했다.

죽음의 위기를 경험한 워홀은 우울한 시기를 보냈고, 목이 졸리거나 해골과 함께한 자신의 모습을 통해 불안과 유한한 삶을 암시하곤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스파스 루이비통 서울 기획전
'앤디 워홀, 앤디를 찾아서' 내년 2월까지
초기 자화상부터 마지막 자화상까지
앤디워홀의 1967년작 자화상. /조상인기자
[서울경제]

붉은 그림자를 드리운 강렬한 빛은 너무나 밝은 나머지 인물의 눈코입마저 가렸다. 그럼에도 유난히 긴 손가락 두 개를 입술에 댄 절제와 자신감의 자세, 무심하게 먼 곳을 응시하는 듯한 눈길은 ‘대중이 원하는’ 대가(大家)의 모습을 보여주기 충분하다. 앤디 워홀(1928~1987)의 1967년작 ‘자화상’이다. 14년 후의 자화상 또한 붉은 그림자 속 옆 얼굴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안경과 백발의 차이점 만은 아니다. 전작에 비해 얼굴이 더욱 도드라졌음에도 화면의 중심은 그림자가 차지했다. 자화상 ‘섀도우(The Shadow·그림자)’는 1981년 제작된 판화모음집 ‘신화들’에 포함돼 있는데, 슈퍼맨·미키마우스·산타클로스·오즈의 마법사·드라큘라 등 대중문화의 아이콘을 주인공으로 한 10점 연작의 마지막 인물 ‘섀도우’로 워홀은 자신의 자화상을 걸었다. 대중문화가 만들어낸 이미지들을 보여주는 작품에서 스스로를 그림자 같은 허상으로 그려 이중적 자아를 암시했다.

앤디 워홀의 1981년작 '섀도우'. 대중문화 속 인물을 소재로 한 10점 연작 '신화들' 중 한 점이다. /조상인기자

이 작품은 세계 최고의 슈퍼컬렉터 중 하나인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비통 모에헤네시(LVMH) 회장이 구입해 루이비통재단 소장품이 됐고, 세계 최초로 서울 강남구 청담동 에스파스 루이비통 서울에서 전시 중이다. 루이비통재단미술관이 도쿄·뮌헨·베네치아·베이징 등지에서 소장품을 공개하는 ‘미술관 벽 너머’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앤디 워홀, 앤디를 찾아서’라는 제목의 이번 전시는 자화상을 중심으로 꾸려 ‘인간 워홀’을 이해할 계기를 제공한다. 대중매체를 활용하고 유명인을 소재로 삼았던 워홀은 잡지 삽화가로 시작해 1960년대 순수미술가로 전향한 후, 영화·광고·방송을 비롯해 언더그라운드와 동성애 문화까지 두루 누비며 작업했고 자신의 캐릭터도 다양하게 창출했다. 이 과정에서 워홀이 지속적으로 보여준 ‘자화상’들은 그의 예술에서 중요한 축을 차지한다.

서울 강남구 청담동 에스파스 루이비통에서 한창인 '앤디워홀, 앤디를 찾아서' 전시 전경. 정면의 작품은 워홀이 사망하기 직전 해에 제작된 1986년작 자화상이다. /사진제공=루이 비통 재단 미술관 컬렉션 · The Andy Warhol Foundation for Visual Arts, Inc. Licensed by Adagp, Paris 2021. Photo credits: ⓒ Kwa Yong Lee/Louis Vuitton

1967년작 붉은 자화상과 함께 전성기를 누리던 워홀은 이듬해 자신의 작업실 팩토리에서 직원이었던 발레리 솔라나스에게 총격을 당했고 한동안 자화상 제작을 중단했다. 10년 만에 선보인 1978년작 ‘자화상’은 화면을 4분할 한 4점의 자화상으로 이뤄졌는데, 각각 다른 각도로 찍은 사진 3점이 합쳐져 있다. 분절과 겹침을 통해 단일한 정체성으로 정의할 수 없는 자신을 드러낸 셈이다. 죽음의 위기를 경험한 워홀은 우울한 시기를 보냈고, 목이 졸리거나 해골과 함께한 자신의 모습을 통해 불안과 유한한 삶을 암시하곤 했다.

앤디워홀의 1978년작 자화상. /조상인기자

워홀의 폴라로이드 ‘셀피’ 연작은 작지만 더 흥미롭다. “나에게 폴라로이드 카메라는 연필이나 펜과 같다”고 했던 그는 얼굴은 화장한 여성으로, 몸은 타이와 셔츠차림의 남성이미지로 찍은 사진을 상당수 남겼다. 성 정체성 여부를 떠나 아름다워지는 방식을 중시하고 강조해 보여준 사진들로 평가 받는다.

앤디 워홀의 폴라로이드 자화상 연작. /조상인기자

검은 바탕에 보라색으로 표현된 1986년의 자화상은 워홀의 사망 직전 해에 제작된 생애 마지막 자화상이라고 한다. 좋아하는 은색 가발의 헝클어진 머리가 곤두서 있다. 삶이 그러하듯 뒤엉킨 상황 속에서 작가는 정면을 응시하며 자신을 관조적으로 바라본다. 허공을 향한 텅 빈 눈이 생과 사의 경계에서 고뇌하는 인간을 드러내고, 강렬한 보라색이 비극적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무료 전시이며 사전에 도슨트 안내를 예약할 수 있다. 2월 26일까지

앤디 워홀이 총격 사고를 겪은 후 10년만에 다시 선보인 1978년작 '자화상'(오른쪽)과 사망 직전 해인 1986년에 제작한 '자화상' /조상인기자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ccsi@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