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의 뒤안길] 글씨 쓰는 사람 '사자관(寫字官)'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2021. 11. 28. 09: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자관(寫字官)은 조선시대 외교문서를 관장한 관청인 승문원(承文院)의 사자관청에 소속돼 외교문서와 왕실 기록물 작성을 담당한 관원이다.

이 기록물은 조선 말기인 1877년(고종 14)에서 1881년(고종 19)까지 6년간 짧게 작성된 관청일지지만 그간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사자관의 직제·조직문화·글쓰기활동 등 다양한 모습을 날짜별로 생생하게 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교문서·왕실 기록 작성하는 전문 관원
‘사자관청등록’. /사진 제공=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서울경제]

사자관(寫字官)은 조선시대 외교문서를 관장한 관청인 승문원(承文院)의 사자관청에 소속돼 외교문서와 왕실 기록물 작성을 담당한 관원이다. ‘중종실록’에는 전문직인 사자관의 자긍심을 볼 수 있는 재미난 일화가 실려 있다.

1539년(중종 34) 승문원의 도제조(都提調)는 사자관 김노(1498~1548)에게 “글씨를 삐뚤게 쓰고 크기도 같지 않으니 조심해서 글씨를 쓰라”고 나무랐다. 그러자 김노는 “내가 글씨를 바르게 쓰지 않은 것이 아니라, 늙은 제조가 눈이 어두워 잘 보지 못한 것이다. 만일 외교문서를 쓰는 종이를 제조(提調)에게 주고 쓰라고 하면 잘 쓰겠는가”라고 오히려 반문했다. 비록 짧은 기록이지만 무려 정1품에 해당하는 도제조를 쏘아붙인 사자관의 모습이 굉장히 인상적이다.

이긍익(1736~1806)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는 사자관의 역사가 간략히 정리돼 있다. 직책이 조선 초에는 없었고 문신 중에서 글씨를 잘 쓰는 자로 했으나 후에 글씨를 잘 쓰는 자가 매우 적어 선조조부터 사대부와 서인(庶人)을 막론하고 사자관으로 삼았다. 이해룡과 한호가 그 시작이라고 하니 우리가 한석봉으로 널리 알고 있는 한호도 사자관으로 활약했던 인물이었다.

‘사자관청등록’. /사진 제공=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그런데 막상 사자관을 깊이 살펴보려면 사료가 적어 접근이 힘든 편이다. 아직까지 사자관에 대해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는 것도 놀라운 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립고궁박물관이 최근 ‘사자관청등록(寫字官廳謄錄)’을 입수했다. 이 기록물은 조선 말기인 1877년(고종 14)에서 1881년(고종 19)까지 6년간 짧게 작성된 관청일지지만 그간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사자관의 직제·조직문화·글쓰기활동 등 다양한 모습을 날짜별로 생생하게 담고 있다. 이 기록물이 향후 사자관 연구에 새로운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게 하는 이유다.

비록 국가의 주요 위치에 있지는 않았지만 반드시 필요했던 사람들. 글씨를 쓰는 일에 자부심을 가졌던 사람들. 그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사자관에 대한 새로운 기록물의 등장에 마음이 설렌다. /이상백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

조상인 미술전문기자 ccsi@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