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 인상·금연 치료는 한계..흡연율 낮추려면 흡연자에 맞춘 금연 정책 필요"

박효순 기자 2021. 11. 26. 21: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담배연기 없는 사회를 위한 연구회장 윤방부 연세대 의대 명예교수

[경향신문]

국내 가정의학 선구자인 윤방부 연세대 의대 명예교수(78·사진)가 최근 ‘담배연기 없는 사회를 위한 연구회(KASS)’를 조직, 회장으로서 금연 운동에 새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윤 교수는 2018년부터 ‘담배문제시민행동’의 대표를 맡아 ‘흡연자의 입장에서 금연을 생각하고 금연을 성공시키는’ 활동을 하고 있다.

윤 교수는 26일 “담배 연기 없는 사회를 만들고, 청소년 및 성인 흡연자들의 담배로 인한 피해와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어떤 노력과 연구가 필요할 것인지를 논의하기 위해 연구회를 창립했다”면서 “가정의학과 교수들, 각 지역 중·고등학교 선생님들, 정책 조언을 위한 행정학과 교수 등 다방면의 전문가들이 모여 토론하고 연구하고 더 나아가 정책적인 제안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청소년들이 맛이나 향을 입힌 캡슐 담배 등을 통해 흡연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청소년 흡연자들 중에서 50% 이상이 가향 캡슐 담배로 시작하는데, 오일을 넣거나 달콤한 향을 넣어 청소년들을 더 쉽게 유혹한다고 합니다. 우선은 이런 가향 캡슐을 무엇으로 만드는지 성분 조사가 필요하고, 또 그 연기가 얼마나 더 나쁜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입니다. 이러한 데이터와 연구를 바탕으로 각 학교에서의 금연 교육에 이러한 정보를 포함해야 합니다.”

- 담배를 끊을 생각이 없는, 끊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대안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십니다.

“어쨌든 금연을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즉 처음부터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하고, 피우게 됐다면 끊을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나아가 끊지 못하는 이들을 위한 중간 단계를 마련할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영국이나 뉴질랜드 같은 나라들은 전자담배를 의사의 적절한 치료와 함께 금연 보조제로 활용합니다. 정말 끊지 못하는 30%의 흡연자들을 위해서 이러한 중간단계의 대안을 고려해 봐야 하는 시점입니다.”

- 미국에서는 식품의약국(FDA)이 담배 시판 전 허가라든지, 위해감소담배 제품(MRTP) 등에 대한 인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담배회사들은 시판 전에 FDA에 담배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출하고 FDA가 인가해야만 담배를 팔 수 있게 되어 있어요. 이러한 구조는 담배 사용을 낮추고 덜 위해하다고 판단되는 제품만 시중에 판매가 되어 장기적으로는 공중 보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영국이나 뉴질랜드의 경우는 일반담배 흡연율을 크게 낮춘 대표적인 국가인데요.

“영국이나 뉴질랜드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담배 가격도 올리고 금연 치료도 병행하면서 흡연율을 낮춰 왔어요. 그러나 흡연율을 더 낮추는 데는 이러한 기존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고, 담배를 끊을 수 없는 흡연자에게 초점을 맞춰 금연 정책을 변화시켜 나가는 중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나 전문가들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효순 기자 anytoc@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