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엔 20분 거리서 수소충전 가능해진다
2050년에는 '청정수소(그린·블루 수소) 100% 공급'을 목표로 전국에 최소 2000기 이상의 수소충전기를 확보하기로 했다.
정부는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26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2월 수소법 시행 이후 확정된 첫 법정 기본계획이다. 기본계획은 △청정수소 생산 주도 △인프라 구축 △일상에서 수소 활용 △생태계 기반 강화 등 4대 전략을 토대로 한 과제 14개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2050년 청정수소를 연 2790만t 공급하고 청정수소 자급률을 현재 0%에서 6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경제효과 1319조원, 일자리 창출 56만7000명, 온실가스 2억t 감축이 기대된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이날 김 총리는 "수소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며 "2050년에는 전체 에너지 소비 중 3분의 1을 차지하는 최대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내 수소차 누적 1만8000대, 민간 대규모 투자 43조원 등 수소경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수소경제 확산에 필요한 규제·제도 개선 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청정수소 공급을 주요 과제 중 하나로 꼽았다. 이를 위해 그린수소 대규모 생산 기반을 구축하고 생산단가를 낮춘다는 계획이다. 2030년까지 연 25만t을 생산해 단가를 ㎏당 3500원으로 낮추고, 2050년에는 연 300만t으로 생산량을 늘려 단가를 ㎏당 2500원까지 더 내린다는 것이다.
또 2050년까지 해외 프로젝트를 통해 수소 공급망 40개를 확보하기로 했다. 이날 해양수산부는 2040년까지 수소항만 14곳을 조성하는 내용의 '수소항만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한편 이날 수소충전소 전문기업인 하이넷, 코하이젠, 한국주유소협회, 한국LPG산업협회는 친환경에너지 인프라 전환 협약을 체결했다.
[송광섭 기자 / 이축복 기자 / 박동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5~6% 주담대 이자 어쩌나"…금리인상기, 통장부터 리모델링
- 2030년엔 20분 거리서 수소충전 가능해진다
- "요소수 우리동네 먼저"…지자체 이기주의 기승
- 정부, 해외의존도 50% 넘는 품목 집중 감시
- 하나저축銀, 대출 있어도 연봉만큼 더 빌려줘
- ‘김연아 남편’ 고우림, 11월 20일 현역 입대
- 웹소설 작가 지망생 20만명 시대 [COVER STORY]
- ‘피프티 소속사’ 어트랙트 “법원, 안성일 저작권료 가압류 승인”(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존박, 아빠 됐다...“지난 25일 건강한 여아 출산”[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