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업 유산 명맥 잇는 100년 전통 강진군 병영면 가래치기

조근영 2021. 11. 26. 16: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 강진군 병영면 중고저수지 일원에서 26일 100년 전통의 가래치기 행사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병영면지역발전협의회가 전통 어업유산의 가치를 계승하고 병영면민의 화합을 위해 마련했다.

전통어업 '가래치기'는 대나무로 만든 원뿔 모양의 통발 바구니로 물을 뺀 저수지 바닥을 눌러 가래 안에 가둬진 물고기를 잡는 어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관개시설물 연방죽 생태순환 수로 저수지에서 열려
전통 어업 '가래치기' [강진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강진=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전남 강진군 병영면 중고저수지 일원에서 26일 100년 전통의 가래치기 행사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병영면지역발전협의회가 전통 어업유산의 가치를 계승하고 병영면민의 화합을 위해 마련했다.

행사가 열린 중고저수지를 포함한 연방죽 생태순환 수로는 국가중요농업유산 세계관개시설물에 등재돼 있다.

전통어업 '가래치기'는 대나무로 만든 원뿔 모양의 통발 바구니로 물을 뺀 저수지 바닥을 눌러 가래 안에 가둬진 물고기를 잡는 어법이다.

150년도 훨씬 넘는 조선시대에 성행했는데, 한해 농사를 끝내고 저수지의 물을 흘려보내면서 수확을 자축하고 내년 농사 풍년을 기원하는 마을 축제에서 유래됐다.

가래치기로 잡은 물고기 [강진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주로 잡히는 어종은 붕어, 메기, 가물치 등이 있으며 가장 큰 물고기를 잡으면 한해에 행운이 대통한다는 얘기도 전해온다.

이승옥 강진군수는 "삶의 노고를 풀어내고 대어를 낚는 기쁨을 느끼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며 "100년 이상의 명맥을 이어온 가래치기 행사가 지역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chogy@yna.co.kr

☞ 김제동 "저 싫어하죠?"에 이준석 "욕 먹는게 숙명 아니겠나"
☞ "월세 단돈 천원" 이케아가 내놓은 3평짜리 집 보니
☞ 동창생을 성노예로 부린 20대 여성…피해자는 사망
☞ 제주서 '검정 숟가락 모양' 신종 버섯 발견돼 학계 보고
☞ 한국전서 61m 던진 이란 골키퍼, 기네스북 최장기록 등재
☞ '오토바이 사망사고' 방송인 박신영 내달 첫 재판
☞ '배달 전성시대' 몸값 오른 라이더들 월수익은?
☞ 백신 거부해 장수 드라마서 하차한 배우들 누가 있나
☞ 운전기사 양심선언에 입막음용 돈 건넨 박순자 징역형
☞ BTS 군대 안 가도 돼?…또 연예인 병역특례 논쟁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