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장애인 10명 중 3명 방광관리 미흡"

백영미 2021. 11. 26. 1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척수장애인 10명 중 3명은 배뇨관리법을 임의로 변경하는 등 방광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척수질환 환자는 도뇨관(카테터)을 이용해 소변을 배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청결간헐적도뇨는 척수손상 환자가 정상적으로 배뇨를 할 수 없거나 잔뇨가 남는 경우 일차적으로 권장되는 도뇨법으로, 하루에 수 차례 도뇨관을 통해 소변을 배출하는 것을 말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대한척수학회, 척수장애인 600명 방광관리 실태 조사
조사 대상자 약 30%, 복압 이용·배 두드려 임의 관리
"도뇨관 이용법 교육 강화·구매 지원금 현실화 시급"

[서울=뉴시스]국내 척수장애인 10명 중 3명은 배뇨관리법을 임의로 변경하는 등 방광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척수질환 환자는 도뇨관(카테터)을 이용해 소변을 배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그래픽= 대한척수학회 제공) 2021.11.26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국내 척수장애인 10명 중 3명은 배뇨관리법을 임의로 변경하는 등 방광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척수질환 환자는 도뇨관(카테터)을 이용해 소변을 배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26일 대한척수학회가 한국척수장애인협회와 함께 지난 5~9월 전국 척수장애인 600명을 대상으로 방광 관리 실태를 조사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의 45%(270명)는 청결간헐적도뇨(CIC)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30%에 가까운 척수장애인들은 여전히 퇴원 후 복압을 이용한 반사배뇨, 배를 두드려 자극해서 배뇨하는 등 권장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청결간헐적도뇨는 척수손상 환자가 정상적으로 배뇨를 할 수 없거나 잔뇨가 남는 경우 일차적으로 권장되는 도뇨법으로, 하루에 수 차례 도뇨관을 통해 소변을 배출하는 것을 말한다. 척수손상이나 척수질환 환자의 소변 배출 방법 중 가장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청결간헐적도뇨를 시행한다는 응답자 중 82%(221명)는 마비로 인해 손가락 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청결간헐적도뇨를 직접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9%(186명)는 평균 하루 5개 이상의 도뇨관을 사용했다.

응답자의 62%(169명)는 일회용 코팅 도뇨관을 사용했다. 비코팅 일회용 도뇨관은 19%(52명)에 그쳤다. 일회용 비코팅 도뇨관 넬라톤을 사용하는 척수장애인의 25%(13명)는 일회용품임에도 불구하고 재사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결간헐적도뇨를 이용하는 척수장애인의 74%(202명)는 도뇨법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62%는 청결간헐적도뇨를 시행한 후 겪은 가장 큰 변화로 "사회활동이 가능해졌다'고 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척수장애인의 63%(376명)는 간헐적도뇨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교육을 받았던 환자의 59%(227명)는 30분 이내 교육을 받았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34%(203명)는 간헐적도뇨와 방광관리에 대한 정보를 의사·간호사를 통해, 28%(166명)는 지인 또는 주변환자를 통해 얻었다.

특히 응답자의 72%(425명)는 합병증 예방과 대처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척수손상으로 방광 기능이 손실된 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요로감염이나 요 정체, 신장 및 요로결석 등 2차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심한 경우 신장기능 손실이나 신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오승준 대한척수학회 부회장(차기 회장)은 “현재 이뤄지고 있는 방광관리 교육은 청결간헐적도뇨를 익히는 데 충분하지 않고, 잘못된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의료진이 환자 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해결방안에 대한 건설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진완 한국척수장애인협회 회장은 “도뇨관에 대한 하루 지원금 9000원은 10년 전 1500원짜리 구형 제품 6개를 기준으로 책정돼 현재 사용 편의성을 한층 개선한 제품의 경우 하루 2~4개 밖에 구입하지 못하다 보니 자비로 부족한 수량을 구매해야 한다"면서 "지원금의 현실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지원 금액을 늘리기 어렵다면 일본처럼 도뇨관의 종류에 따라 지원금액을 다르게 책정하는 '지원금 차등제'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게 정 회장의 설명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