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100% 청정수소만 공급..주요도시 15분 이내 거리에 충전소 마련

김정수 2021. 11. 26. 11: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수소 관련 주요 법정계획 동시 발표
2025년부터 탄소포집 블루수소 국내 생산
2050년엔 수입 포함 전량 그린·블루로만
2025년까지 전국 모든 시군에 수소충전소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25일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어 2050년까지 국내 수소 수요 2790만톤 전량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수소로 공급한다는 계획을 담은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이 기본계획은 정부가 지난달 ‘수소선도국가 비전’ 발표에서 제시한 내용을 담은 것으로, 올해 2월부터 시행된 수소법에 따라 만들어진 첫 법정 기본계획이다.

김부겸 총리 주재로 관련 부처 장관들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한 이 회의에서는 2040년까지 주요 도시에서는 어디서든 15분 이내에 수소차 충전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부의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계획, 해양수산부의 수소항만 조성 방안과 해양그린수소 생산 기술개발 계획, 중소벤처기업부의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추진현황 및 계획 등도 논의 확정됐다.

산업부가 수립한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은 2050년 국내에서 필요한 수소 2790만톤 전량을 그린수소와 블루수소로만 공급하는 목표를 담았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하고, 블루수소는 화석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를 원료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해 대기 중으로 이산화탄소를 내보내지 않는다. 현재 국내에는 그린·블루수소는 생산되지 않고, 엘엔지를 원료로 사용하지만 이산화탄소를 그대로 배출하는 그레이수소만 생산되고 있다.

산업부는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방식 생산 기반을 구축하면서 2025년부터 블루수소 생산에 착수해 현재 0%인 국내 수소 중 청정수소 비중을 2030년까지 75%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행계획에는 국내 생산과 우리 기술·자본으로 해외에서 생산해 도입하는 방식을 통해 2050년까지 60% 이상의 청정수소 자급률을 달성한다는 목표도 담겼다. 이를 위한 해외 재생에너지-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해 2050년 40개의 수소공급망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행계획에 달성되면 수소가 2050년 최종에너지 소비의 33%, 발전량의 23.8%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56만7천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약 2억톤 이상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김부겸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수소경제는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로 모든 나라에게 출발선이 동일한만큼, 정부와 기업, 국민이 모두 힘을 모으면 머지않아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할 것으로 확신한다. 수소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자, 2050년 단일 에너지원으로 전체 에너지 소비의 3분의1을 차지하는 최대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2020년)는 전체 에너지 소비의 49.3%를 차지하는 석유가 최대 에너지원이다.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계획은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수소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2025년까지 전국 226개 시‧군‧구에 원칙적으로 1기 이상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2030년에는 주요 도시에서 20분 이내, 2040년에는 15분 이내에 수소충전소 이용이 가능하게 만든다는 목표다. 수소차 보급 초기단계인 2025년까지는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거점지역 중심으로 충전소 구축을 지원하고, 이후 수소차 보급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부터는 민간 주도로 충전소 확충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도 지난 7월 개정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환경부가 이번에 처음 수립했다.

해수부의 수소항만 조성 방안에는 2040년까지 수소 생산‧물류‧소비 생태계를 갖춘 14개 수소 항만 구축을 목표로, 울산·광양·부산·평택·당진·군산 등 주요 항만을 중심으로 민관협력 수소항만 선도사업을 추진하는 계획이 담겼다. 해수부는 또 해양자원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기술개발을 통해 해양수소를 2028년 1천톤, 2032년 1만1천톤, 2040년 12만톤의 해양수소를 생산하는 행양그린수소 생산 기술개발 계획도 세웠다.

중기벤처부의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추진 계획은 울산의 수소모빌리티·강원도의 액화수소·충남도의 수소에너지·충북도의 그린수소·부산의 암모니아선박 규제자유특구를 시험장 삼아 수소 신기술을 실증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