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의 세대갈등 [슬기로운 기자생활]

선담은 2021. 11. 25. 21: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지난 23일 창립 33주년을 기념해 토론회를 열었다.

매체의 증가와 함께 한층 팍팍해진 미디어 환경 속에서 치열하게 경쟁해야 하는 최근 언론 환경에 비춰보면 선배 기자들이 종종 얘기하는 '아름다운 시절'은 끝난 지 오래다.

그런데 어떻게 요즘 젊은 기자들이 "언론 기득권"이 될 수 있다는 건지 이해가 안 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슬기로운 기자생활]

[슬기로운 기자생활] 선담은 | 산업팀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지난 23일 창립 33주년을 기념해 토론회를 열었다. 주제는 ‘민주화 세대의 퇴장, 언론노동의 현장 변화’다. 나 같은 일반 조합원은 이런 행사가 열리는지도 몰랐는데, 뒤늦게 <미디어오늘> 기사를 보고 알았다. 토론회는 요즘 각 언론사 뉴스룸에서 벌어지는 ‘세대갈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할 말이 많은 주제에 대한 기사를 읽다가 몇몇 생각이 떠올랐다.

“젊은 기자들이 왜 파이팅 넘치는 아이템을 안 하는지 불만이 있다. 세대갈등은 물론 있지만, 지금은 세대갈등 문제라기보다 기자를 뽑는 전형 방식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1991년 입사한 홍사훈 <한국방송>(KBS) 기자)

젊은 기자들이 “파이팅 넘치는 아이템”을 취재하지 않는 원인이 채용 방식에 있다는 주장에 동의가 안 된다. 지금의 전형 방식이 좋은 기자를 뽑는 최선의 방법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좋은 대학 나온 그 친구들이 삼성 가듯이” 언론사에 입사하는 게 문제라고 한다면, 30년 전 선배들이 통과한 채용 시스템이 더 문제적이었다. 1990년대 초반 언론사들은 지원 자격에 학력과 나이 제한을 두었다. 그 시절 고교 졸업자 가운데 30% 정도만이 대학에 진학했고, 그중에서도 소위 명문대 졸업생들은 ‘차별적 채용’에서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점했다.

그에 비해 지금은 블라인드 전형이나 인턴제 등이 도입됐고, 훨씬 더 다양한 경로와 방식으로 기자들을 뽑는다(물론 이 역시 한계는 있다). 백번 양보해 과거에 견줘 지금의 전형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치자. 그렇다면 수십년간 회사에 몸담았던 선배 기자는 왜 그 긴 시간에 시스템을 제대로 바꾸지 못했나. 그러면서 ‘요즘 애들 이상해’라고 말하는 건 유체이탈 화법이다.

“선배 그룹들은 후배 그룹을 언론 기득권으로 보는 것 같다. 역사의식도 없고, 용기 있게 나서서 뭘 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후배들은 선배들을 보며 ‘(중략) 저분들은 정파적이야, 특정 집단과 동일시되어 있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2007년 입사한 장아영 <와이티엔>(YTN) 기자)

매체의 증가와 함께 한층 팍팍해진 미디어 환경 속에서 치열하게 경쟁해야 하는 최근 언론 환경에 비춰보면 선배 기자들이 종종 얘기하는 ‘아름다운 시절’은 끝난 지 오래다. 가끔 정부 부처 공무원이나 기업 관계자들의 “예전 기자님들은…”으로 시작하는 각종 ‘갑질’ 증언을 듣다 보면, 내가 다 부끄럽다. 그런데 어떻게 요즘 젊은 기자들이 “언론 기득권”이 될 수 있다는 건지 이해가 안 된다.

오히려 후배 기자들 입장에서 볼 때 일부 선배 기자들은 “역사의식”과 “용기”를 말하면서도 이따금 그 말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모습들을 보인다. 아무리 이 나라에 직업선택의 자유가 있다 해도, 기자가 다니던 언론사를 관두자마자 청와대나 대선캠프로 자리를 옮기는 것은 기득권이 되려는 욕심 이상도 이하도 아니지 않나.

“우리 세대는 약자들의 문제, 일터에서 나의 권리, 직장 내 괴롭힘이나 산업재해를 중요하게 보는데, 윗세대는 검찰이나 정치권력 같은 문제가 주요 의제가 돼야 한다고 한다.”(2020년 입사한 김건우 <문화방송>(MBC) 시사교양 피디)

젊은 기자들이 검찰이나 정치권력과 관련된 의제가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게 아니다. 무협소설 같은 여의도(정치)와 서초동(검찰)의 ‘파워게임’에만 집중하지 말자는 거다. 검찰개혁이 중요하다면, 인사권 문제만 쓸 게 아니라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기소권을 가진 검찰이 무엇을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도 짚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고민이 빠진 검찰개혁 타령이 보통 사람들의 삶에 무슨 의미가 있다는 건지 잘 모르겠다.

사실 나도 선배들을 피해 다니며 단톡방에서나 불만을 떠들었지, 그 선배들의 경험이나 정서를 이해하려고 노력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그리고 언젠가 나도 후배 기자들에게 ‘꼰대’ 소리를 듣는 날이 오게 될 것이다. 그럼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su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