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략사업가' 조주완, LG전자 이끈다

이준기 2021. 11. 25. 19: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고전략책임자(CSO) 선임 2년 만에 LG전자 수장 자리에 오른 조주완(사진) 신임 최고경영자(CEO·사장)는 얼마 전까지 대표적인 '해외통'으로 꼽혀왔던 인물이었다.

그룹 최고운영책임자(COO) 자리로 승진한 권봉석 부회장(당시 LG전자 CEO)을 보좌하며 스마트폰 사업 철수, 전장사업 강화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한 '뉴 LG'의 청사진을 그리는 데 적잖은 역할을 담당했다는 후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SO 선임 2년 만에 LG전자 CEO 등극
'해외통'에서 전략·사업 겸비했다 '평가'
脫권위적이지만..업무 땐 과감한 추진력
[이데일리 이준기 배진솔 기자] “CSO 직 역할 이상을 수행했다. 그는 구광모 회장의 ‘믿을맨’ 중 한 명이 됐다.”(재계 고위 관계자)

최고전략책임자(CSO) 선임 2년 만에 LG전자 수장 자리에 오른 조주완(사진) 신임 최고경영자(CEO·사장)는 얼마 전까지 대표적인 ‘해외통’으로 꼽혀왔던 인물이었다. 미국·독일·호주 등에서의 그의 이력이 이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그러나 조 사장을 잘 아는 이들은 그를 ‘전략·사업’을 겸비한 전천후 글로벌 사업가로 부른다. 2019년 말 9년 만에 부활한 첫 CSO 직을 맡으며 LG의 미래 먹거리 발굴에 탁월한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LG전자 측은 “미래준비를 위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감한 인수합병(M&A)은 물론 신사업 육성을 위해 사내벤처, CIC(Company in Company·사내회사), 사내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 등 기존에 없던 혁신적인 프로세스를 도입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조 사장이 미국법인장에서 CSO로 옮길 때만 해도 LG전자의 기존 비즈니스는 한계에 달했단 상황이었다. 그룹 최고운영책임자(COO) 자리로 승진한 권봉석 부회장(당시 LG전자 CEO)을 보좌하며 스마트폰 사업 철수, 전장사업 강화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한 ‘뉴 LG’의 청사진을 그리는 데 적잖은 역할을 담당했다는 후문이다.

조 사장은 그룹 안팎에서 합리적이며 격의 없고, 탈(脫) 권위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면서도 일에 몰두할 땐 강단 있는 모습을 보여줬다고 한다. 미국법인장 시절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기조에 선제 대응하고자 미 테네시주(州) 클락스빌에 세계 최고 수준의 지능형 자율공장 설립을 선제적으로 이끈 게 대표적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구광모 회장은 조용히 의사결정을 하는 스타일인데, 내실 있게 일하는 조 사장을 지켜보며 차기 리더로 점찍었을 것”이라고 했다.

이준기 (jek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