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he Cold War Olympics?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투' 폭로 뒤 사라졌던 중국 테니스 스타 펑솨이가 그저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통화하면서 '실종설'은 봉합됐다.
중국 외교부는 이 같은 입장을 강조하는 회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올림픽 개막식 참석 소식도 알렸다.
실제로 2014년 소치 올림픽 때 미·영·독 등 주요 국가 정상이 불참했을 때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달려갔다.
이번에도 중국 측은 "(보이콧을 주장하는) 그들이 없으면 올림픽은 더 순수해질 것"이란 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ANG HYE-RAN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teamof the JoongAng Ilbo.
Chinese tennis star Peng Shuai, who went quiet after her #MeToo allegation, held a phone call with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president, and the rumor of her disappearance has been cleared. In a press conference, the Chinese Foreign Ministry also announced that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will atten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Beijing Winter Olympics. China seemed to imply that there will be no problem even if Western countries hold a “diplomatic boycott” of the Olympics.
China also said that it was a longtime tradition between Beijing and Moscow to help each other for major events. When major state leaders, including those from the U.S., Britain and Germany, did not attend the Sochi Olympic ceremony in 2014, Chinese President Xi was there. Speaking of the “diplomatic boycott” by the Western world, Russia claimed that attendance of world leaders was not important, as the essence of the Olympics was competition among athletes. Again, China claims that the Olympics would be purer without the ones planning a boycott.
Ironically, an example of the Olympic Games without “political bias” was the 2008 Beijing Summer Olympics. U.S. President George W. Bush attended the opening ceremony on Aug. 8. He learned from Putin about the war between Russia and Georgia. Georgia, which must have expected NATO’s support, was defeated by Russia without fighting properly.
As Russian troops are building up near the Ukraine border, a repeat of what happened in 2008 would be a nightmare for Western leaders. Biden’s need for behind-the-scene diplomatic management in and out of sports is just as desperate as Xi’s.
If the Cold War competition centered on military power, now it’s an age of complex competition of economic power, technology and value. So it is more of a “hot war” than a “cold war,” as argued by the Near Foundation in its recently published book “Revival of Diplomacy.”
A recent Le Monde editorial pointed out that at the time of the 2008 Beijing Olympics, the U.S. and Europe were optimistic that China would reach political opening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But the Xi Jinping system’s authoritarianism shows that it was a Western fantasy. As China grievously claims that American democracy is not the only kind of diplomacy, the IOC president steps forward and tries to handle the Peng Shuai case. Even if the world isn’t divided as it was in the Cold War, a stage of “bizarre harmony” is coming up.
냉전 올림픽 어게인? 강혜란 국제팀장
‘미투’ 폭로 뒤 사라졌던 중국 테니스 스타 펑솨이가 그저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과 통화하면서 ‘실종설’은 봉합됐다. 펑솨이는 그의 안부를 염려해온 세계인들에게 “사생활을 존중받고 싶다”고 알렸다. 인권‧개인주의 등을 강조하는 서구사회 가치를 미러링하는 중국식 되치기다.
중국 외교부는 이 같은 입장을 강조하는 회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올림픽 개막식 참석 소식도 알렸다. 펑솨이 문제 등을 지적하며 ‘외교적 보이콧’ 조짐을 보인 미국·영국 등 서방국가에 “빠질 테면 빠져라, 우리끼리 문제없다”고 으스대는 듯하다.
중국은 “성대한 행사를 서로 돕는 것은 중·러 사이에 여러 해 동안 형성된 전통”이라고도 했다. 실제로 2014년 소치 올림픽 때 미·영·독 등 주요 국가 정상이 불참했을 때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달려갔다. 당시 서구진영의 ‘외교적 보이콧’에 러시아는 "올림픽의 본령은 선수들의 경쟁"이라며 "세계 정상들의 올림픽 참석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번에도 중국 측은 “(보이콧을 주장하는) 그들이 없으면 올림픽은 더 순수해질 것”이란 식이다. 냉전시기 1980년과 84년 동서진영이 각각 세를 나눠 불참했던 이후 ‘갈라치기’가 구태로 보이는 걸 이렇게 이용한다.
스포츠와 정치가 ‘무관함’을 보여준 역설적 사례가 2008년 베이징 여름올림픽이다. 8월 8일 개막식에 참석한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그 자리에서 푸틴으로부터 러시아-조지아(그루지야) 간 전쟁발발 소식을 들었다. 나토의 지원을 기대했을 조지아는 제대로 힘도 써보지 못하고 러시아에 패퇴했다.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에 러시아 병력이 증강되는 이 시점에 베이징에서 ‘어게인 2008’이 벌어진다면 서방 지도자에겐 악몽일 수밖에 없다. 보이는 스포츠 무대 안팎에서 물밑 외교 관리의 필요성은 바이든도 시진핑에 못지않단 얘기다.
“냉전기 경쟁은 군사력 중심이었지만 지금은 경제력, 첨단기술, 가치 등 복합적 경쟁의 시대라는 점에서 냉전(冷戰)이라기보다 열전(熱戰)의 시기”라고 최근 니어재단이 펴낸 『외교의 부활』(131쪽)은 지적한다. 얼마 전 르몽드 사설이 지적했듯 2008년 베이징올림픽 때만 해도 미국·유럽은 중국이 경제적 발전을 하다 보면 정치적 개방에 이를 것으로 낙관했다. 시진핑 체제의 권위주의는 그게 ‘서구의 환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식 민주주의만 민주주의가 아니다”라는 중국의 서슬퍼런 위력 앞에 IOC 위원장이 나서서 ‘펑솨이 사태 진화’에 애쓸 정도다. 냉전 때처럼 갈라서진 않는다 해도 '기묘한 화합'의 무대가 다가오고 있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fter Covid, big shortage is of part-time workers
- Young people’s deaths after Pfizer vaccines are new worry
- Covid vaccine passes may soon come with six-month expiration date
- LG appoints new CEO
- How Sondheim made us sing
- Kim Seon-ho's abortion scandal raises questions about double-standards
- Legislators waffle on military exemption for BTS
- After 512 episodes, Yumi and her cells say their final goodbye
- Min Hyo-rin and Taeyang expecting their first child
- THIS cigarettes succeed in the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