낫지 않는 건선, 근원 치료 실마리 될 '단백질 3종' 세트 발견

한기천 2021. 11. 25. 16: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선(乾癬)은 하얀 각질, 붉은 반점, 발진 등이 팔다리 관절 부위 등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생기는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이다.

건선이 생기게 조작한 생쥐에 실험한 결과, 이 단백질은 생쥐의 피부 염증을 부추겼다.

하지만 건선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피부 질환 치료제로서 TWEAK 억제제의 전망이 밝다고 한다.

건선과 마찬가지로 아토피성 피부염도 치료법 개선의 여지가 크다는 게 크로프트 교수의 판단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WEAK·종양괴사인자·인터류킨-17, 한팀 이뤄 세포 염증 촉발
미국 라호야 면역학 연구소, 저널 '사이언스 이뮤놀로지'에 논문
건선과 TWEAK 억제 효과 건선(분홍색)이 생긴 피부에서 TWEAK 단백질의 작용을 막으면 각질세포의 증가가 억제된다. [미국 라호야 면역학 연구소 Rinkesh Gupta/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건선(乾癬)은 하얀 각질, 붉은 반점, 발진 등이 팔다리 관절 부위 등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생기는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이다.

건선이 생기면 보기에 흉할 뿐 아니라 상당히 고통스럽다.

더 큰 문제는 근원적인 치료법이 없다는 것이다.

어느 정도 증상을 완화하는 건 가능하지만,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가 많고 일시적으로 효과를 보더라도 약을 끊으면 곧바로 재발하곤 한다.

미국 라호야 면역학 연구소(LJI) 과학자들이 건선의 발생과 진행에 함께 관여하는 '단백질 3종' 세트를 찾아냈다.

과학자들은 이 발견이 효과적인 건선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연구는 LJI 자가면역 염증 센터의 마이클 크로프트(Michael Croft) 교수 연구팀이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저널 '사이언스 이뮤놀로지(Science Immunology)'에 실렸다.

미국엔 대략 750만 명의 건선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인구(3억3천291만 명)의 약 2.3%다.

그런데 근원적인 치료 약이 없어 환자들을 더 힘들게 한다.

논문의 교신저자를 맡은 크로프트 교수는 "현재 쓰고 있는 치료법으론 건선을 치유할 수 없다"라면서 "투약을 중단하면 병은 재발한다"라고 말했다.

건선 연합뉴스TV 캡처. 작성 김선영(미디어랩)

크로프트 박사팀이 새삼 주목한 건 이전의 연구에서 발견된 'TWEAK'이라는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이 가장 흔한 유형의 피부 세포인 각질세포(keratinocyte)와 상호작용한다는 걸 알고 있었다.

건선이 생기게 조작한 생쥐에 실험한 결과, 이 단백질은 생쥐의 피부 염증을 부추겼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TWEAK가 다른 2종의 단백질, 즉 종양 괴사 인자(TNF) 및 인터류킨-17(IL-17)과 동시에 작용해야 염증이 촉발된다는 것이다.

이들 단백질 3종은 마치 한팀을 이룬 것처럼 염증성 물질의 생성과 염증 관련 단백질의 추가 발현을 통제했다.

크로프트 교수는 "이들 3종의 단백질이 동시에 함께 나서야 건선을 일으킬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라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TNF와 IL-17이 그랬던 것처럼 TWEAK도 좋은 약물 표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TNF와 IL-17은 건선 치료제의 개발 표적으로 이미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이들 두 단백질이 TWEAK와 함께 건선에 관여한다는 건 처음 확인됐다.

연구팀은 건선이 생기게 조작한 생쥐 모델에 TWEAK 억제 약물을 직접 시험했다.

기존의 IL-17 억제제나 TNF 억제제와 얼마나 잘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결과는 예상한 대로 나왔다.

TWEAK 단백질이 각질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걸 차단하면 TNF 억제제나 IL-17 억제제를 썼을 때와 똑같은 효과가 나타났다.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림프구 방울 형태의 지방산(녹색)을 가진 '내재 림프구(청색 핵)'. 기관지 염증이 심한 천식 환자는 저농도 항원에도 민감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 이런 경우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게 내재 림프구다. [독일 본 대학 Fotios Karagianni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아직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 시험은 이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건선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피부 질환 치료제로서 TWEAK 억제제의 전망이 밝다고 한다.

크로프트 박사는 "전반적인 피부 염증에 TWEAK 단백질이 관여하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영아와 아동에게 흔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TWEAK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과 건선은 엄연히 다른 질환이지만 몇 가지 공통점도 있다.

일례로 두 질환은 모두 마땅한 치료법이 없고 끈질기게 재발한다.

건선과 마찬가지로 아토피성 피부염도 치료법 개선의 여지가 크다는 게 크로프트 교수의 판단이다.

cheon@yna.co.kr

☞ '오토바이 사망사고' 방송인 박신영 내달 첫 재판
☞ "삼계탕에 일부러 냅킨 넣었는데 무혐의" 인터넷서 갑론을박
☞ 백신 접종후 희소병 걸려 전역하는 군장병 "다 포기하고 싶다"
☞ 화환 소동 일단락…"하늘서 박정희·노태우·전두환 만났으면"
☞ '몸에 불 지르고 투신' 전두환을 향했던 피 맺힌 절규
☞ 백신 거부해 장수 드라마서 하차한 배우들 누가 있나
☞ BTS 공연 관람 꿈꾸던 미국 다운증후군 소년에 무료티켓 선물
☞ "전두환 '김영삼이 나를 죽이려고'"…스님의 회고
☞ 인천대교 갓길에 차량 세우고 투신한 30대 사망
☞ 미국 국방부, UFO 찾을 'X파일' 조직 만든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