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진, '바둑 여제' 최정 아성 무너뜨렸다

이홍렬 바둑전문기자 2021. 11. 25. 16:3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자국수전 2대1 승..5년만에 타이틀 획득

부동의 바둑 여제(女帝) 최정(25) 9단이 무너졌다. 25일 한국기원서 열린 제26기 하림배 여자국수전 결승 3번기 최종 3국서 오유진(23) 8단이 최정 9단을 제압, 2승 1패로 우승했다. 211수 끝 흑 불계승.

여류국수에 등극한 뒤 인터뷰하는 오유진(왼쪽). "강한 기사를 이기고 모처럼 우승해 기쁘다. 대회 2연패를 향해 더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국기원

1, 2국에 이어 이날 최종국도 난타전이었다. 쌍방 마지막 초읽기 속에 몰린채 사투를 계속했다. 오유진은 초반 포석에서 우위에 선 뒤 중원 전투에서 물러서지 않고 맞받아치며 승세를 지켜냈다. 최정은 패와 바꿔치기를 시도하며 끈질기게 반전을 노렸으나 통하지 않았다. 결승 3판은 모두 흑번 필승으로 끝났다.

천적 최정에 2대1로 승리, 여자 국수에 등극한 오유진. 4번의 결승서 패하다 5번째 만에 최정을 물리치고 우승했다. /한국기원

96개월째 연속 한국 여자랭킹 1위를 기록하면서 통산 20회 우승한 최정은 이날 패배로 여자국수전 5년 연속 우승의 꿈이 날아갔다. 보유 타이틀도 여자기성, 기업은행배 및 국제대회인 궁륭산병성배 등 3개로 줄어들었다. 최정이 국내 여성기전 결승서 패한 것은 2011년 제5회 부안 여류기성전서 루이나이웨이에게 진 후 10년만에 처음이다.

오유진과의 결승서 패배, 여자국수 5연속 우승에 실패한 바둑 여제 최정. /한국기원

반면 오유진은 2016년 제21기 여자국수전과 궁륭산배 우승 이후 5년만에 생애 세번째 타이틀을 품에 안았다. 무엇보다 ‘천적’으로 불려온 최정을 누르고 따낸 우승이라 의미가 컸다. 최정과의 통산 전적도 4승 26패로 따라붙었다. 둘 간 네 차례의 결승전(도전기 포함) 연패 끝에 다섯 번째만에 낚아올린 우승이다. 이번 결승 1국 승리로 최정에게 당해온 15연패를 끊기도 했다. 오유진은 규정에 따라 입단 9년만에 9단 승단의 기쁨도 누렸다. 국내 여성 기사 5번째다.

우승이 결정된 뒤 오유진은 “너무 오래간 만의 우승이라... 그동안 압도적으로 밀리던 선수에게 이겨 좀 더 의미가 있는 것 같다. 두텁게 잘 짜여졌다고 생각하며 두었다. 한 번 넘어서고 싶은 상대를 이겨 9단이 돼서 더 기쁘다. 마음가짐에 신경을 썼던 게 좋게 작용한 것 같다. 오늘 바둑은 나쁘다고 본 적이 없었다. 더 노력해 2연패를 이루겠다. 새해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한국대표로 꼭 선발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제26기 여자국수전 최종국서 우승을 다툰 최정(왼쪽)과 오유진. 오유진이 이겨 생애 세 번째 타이틀을 따냈다. /한국기원

26년의 연륜을 쌓은 여류국수전 최다 우승자는 8번 정상에 선 루이나이웨이. 그 다음이 윤영선과 최정으로 각 4회씩 정상에 섰다. 상금은 우승 2000만원, 준우승 1000만원. 결승에 오르기까지 오유진은 정연우 조혜연 김채영을, 최정은 이슬주 송혜령 김혜림을 꺾고 올라왔다.

한편 최정 9단은 30일엔 중국 신예 팡러시(19)를 상대로 제4회 오청원배 준결승 대국을 갖는다. 이 대국서 승리할 경우 위즈잉(24) 대 왕천싱(30) 간의 준결승전 승자와 12월 2~4일 우승을 놓고 결승 3번기를 치르게 된다. 오유진은 8강전서 왕천싱에 패해 탈락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