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주담대 '6%' 이자 더 는다..예금금리 최대 0.4%P 인상(종합2보)

오상헌 기자, 양성희 기자, 김상준 기자 2021. 11. 25. 16: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T리포트]막내린 '제로금리'④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0.75→1.00% 인상 시중금리 상승에 주담대 6% 돌파 가능성 작년말보다 이자 6조 늘어, 인당 30만원↑ 당국 압박, 예금금리 최대 0.4%P 신속인상
(서울=뉴스1) 성동훈 기자 = 금융당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금융권의 대출 규제 영향 등으로 수도권 주택 매매시장 심리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10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를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달 142.8에서 128.7로 14.1포인트 하락했다. 전세시장 심리지수도 서울 9월 121.4에서 지난달 111.2로 내려가는 등 수도권 전체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사진은 16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지역. 2021.11.16/뉴스1

한국은행이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0.75%→1.00%)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가 조만간 6%대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0%대 '제로(0) 금리' 시대의 종언과 대세 금리 상승기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초저금리 때 빚을 내 아파트나 주식 등 자산시장에 투자한 '영끌·빚투족'의 이자 부담은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주담대 금리 5% 넘어…신용대출도 5% 목전
25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고정형(금융채 5년물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날 현재 연 3.85~5.191%로 지난해 말(2.69~4.20%)과 견줘 약 1%포인트 올랐다. 최고 금리가 이미 5%대를 넘어선 것이다. 변동형(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 주담대 금리도 같은 기간 2.52~4.054%에서 3.58~4.954%로 올라 5% 진입이 목전이다. 신용대출(1등급·1년 만기)의 경우 작년 말 2.65~3.76%이던 금리가 이날 현재 3.40~4.63%로 상승했다. 역시 최고금리 5%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 8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50%에서 0.75%로 0.25%포인트 인상한 데다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대출금리가 상승한 것이다. 금융당국의 엄격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로 은행들이 대출 수요 억제를 위해 가산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를 축소한 영향도 크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이날 "기준금리가 1.00%가 됐지만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며 내년 1분기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시중금리 상승세는 더 가팔라질 전망이다. 기준금리가 1%대로 진입한 건 작년 3월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제로금리 시대가 끝나고 본격적인 금리 상승기가 도래한 셈이다.

주담대 6% 진입 초읽기…가계 이자부담 6조↑
대출금리도 본격적인 우상향 추세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연내 주담대 최고금리가 6%대를 넘어설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자산 가격 상승기에 초저금리를 이용해 은행 빚을 낸 대출자의 이자 상환 부담도 더 늘어난다. 지난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3분기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 3분기(9월말) 현재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 잔액은 1844조9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올해 증가액은 117조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81조2000억원)보다 35조원 가량 많다.

한은이 9월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금리 0.25% 포인트 인상에 이어 이번 0.25% 포인트 추가 인상으로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작년말보다 5조 8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대출자 1인당 연간 이자 부담은 같은 기간 271만원에서 301만원으로 30만원 불어난다. 이 추정치의 기준이 2분기 가계부채 잔액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3분기 수치를 대입할 경우 가계 이자부담은 6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당국 압박에 은행 예금금리 최대 0.40%P 인상
물가 상승과 금융 불균형 완화를 위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는 내년까지 이어질 공산이 크다. 과도한 물가 상승 압력에 직면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도 자산매입(양적완화) 속도를 높이고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이날 발표한 '2022년 경제 및 자본시장 전망'에서 기준금리가 내년에 연 1.5%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양호한 경기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물가 상승 압력을 감안해 내년 1분기와 3∼4분기 각각 1회씩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상승기에 본격적으로 접어들면서 집값 상승 기대심리에 과도한 빚을 내 아파트를 구입하거나 주식, 가상화폐 등에 투자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 '빚투'(빚 내 투자)족은 이중고에 처하게 됐다. 정부의 돈줄죄기가 내년까지 이어지면 자산 가격 조정이 나타날 수 있고 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은 더 커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시장 준거금리 인상폭을 넘어 대출금리가 과도하게 올라간다는 비판이 비등한 만큼 은행들이 깎은 우대금리를 복원하는 등 속도 조절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주요 시중은행들이 이례적으로 이날 앞다퉈 예금금리 인상안을 발표한 것도 이런 여론의 비판과 수신금리를 현실화하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에 따른 것이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26일부터 예·적금 금리를 기준금리 인상폭(0.25%P)보다 많은 최대 0.40%포인트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은 다음주부터, 신한은행도 조만간 기준금리 인상폭보다 예·적금 금리를 높게 반영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딸 임신시킨 동거남 감옥 가자 "부부면 나올 수 있대" 혼인신고서 내민 엄마정준영, 이종현에 소개한 절친이 최태준…팬들 "박신혜, 감당 가능해요?"이혼 전문 변호사 "외도자는 휴대폰을 손에서 놓지 않는다"'♥아야네' 이지훈 "올해 아이 갖고 싶은데…정자 모양이 하위 5%"현 남편·전 남편·현 시모 죽여 보험금 10억 탄 여자…친딸·전 시모도 죽이려다 실패
오상헌 기자 bborirang@mt.co.kr, 양성희 기자 yang@mt.co.kr, 김상준 기자 awardkim@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