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름 꺾인 尹, 치고나가는 李..'역전' 가능성은? [여론 종합 분석]

조문희 기자 2021. 11. 25.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시사저널이 지난 일주일간 발표된 전국 단위 여론조사를 전수 조사 한 결과, 정례 조사 10개 가운데 7개에서 윤 후보와 이 후보 사이 격차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조사를 각각의 직전 조사와 비교한 결과, 10개 중 7개 조사에서 윤 후보와 이 후보 간 격차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례 여론조사 전수 조사 결과 10개 중 7개서 이재명vs윤석열 격차 좁혀져

(시사저널=조문희 기자)

24일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과 회동을 마친 뒤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모습(왼쪽)과 민생·개혁 입법 추진 간담회에서 '새로운 민주당으로 거듭나겠다'며 사죄의 절을 하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모습 ⓒ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시사저널이 지난 일주일간 발표된 전국 단위 여론조사를 전수 조사 한 결과, 정례 조사 10개 가운데 7개에서 윤 후보와 이 후보 사이 격차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18일부터 이날까지 일주일 동안 27개의 여론조사가 등록됐다. 이 가운데 매주 혹은 격주로 대선 관련 여론조사를 전국 단위로 실시해 발표한 사례는 10개이다. (자세한 개요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또는 기사 하단 참고)

해당 조사를 각각의 직전 조사와 비교한 결과, 10개 중 7개 조사에서 윤 후보와 이 후보 간 격차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변동 폭을 보인 것은 KSOI-TBS 조사로, 전주 13.2%포인트에 달하던 격차가 일주일 만에 0.5%포인트로 줄어들었다. (윤석열 45.6%→40.0%, 이재명 32.4%→39.5%) 

이외에도 한국갤럽-머니투데이 조사에서 두 주자 간 격차는 2주 만에 9.3%포인트에서 1.3%포인트로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조원씨앤아이-스트레이트뉴스에서도 14.0%포인트에서 10.4%포인트로 줄었으며, 미디어토마토-뉴스토마토 조사에서도 16.6%포인트에서 7.9%포인트로 좁혀졌다. 여론조사공정-데일리안 조사에서는 11.3%포인트에서 7.1%포인트로, PNR-뉴데일리·시사경남 조사에서는 16.6%포인트에서 9.8%포인트, 리얼미터-YTN 조사에서는 9.8%포인트에서 7.1%포인트로 줄어들었다.

18일~25일까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등록된 차기 대선후보 적합도 관련 전국 단위 정례 여론조사 결과 ⓒ 시사저널

尹 선대위 구성 '지지부진' 하는 사이 '광폭 행보' 하는 李

이처럼 두 주자의 지지율 희비가 엇갈린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윤 후보의 컨벤션 효과가 줄어들었다는 점을 꼽는다. 국민의힘 경선으로 반짝 관심을 모았던 윤 후보가 이후 지지율을 유지할 동력을 얻지 못했다는 평가다. 여기에 국민의힘이 지난 5일 후보 지명 이후 3주 가까이 선대위 구성을 마무리 짓지 못하면서 리더십 우려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이 후보는 선대위 쇄신의 전권을 쥐고 대권행보에 박차를 가하는 분위기다. 지난 21일 민주장 긴급 의원총회 결과 선대위 개혁의 전권을 넘겨받은 이 후보는 '새로운 민주당, 이재명의 민주당'을 기치로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 일환으로 대장동 의혹 등 각종 이슈에 사과하면서 지난 24일엔 사죄의 큰절을 올리기도 했다. 동시에 이 후보는 '매타버스'를 통해 지역 일정을 소화하며 민생현안 과제를 쏟아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이 후보 지지율이 다시 윤 후보를 역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은 시사저널과 만나 "윤석열 후보의 지지율이 12월까지 순항하긴 어려워 보인다"며 "변동성이 큰 2030세대와 주도층, 여성 유권자의 표심을 확실히 잡고 가지 않는 이상 여야 후보의 지지율은 앞으로 계속 출렁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기사 인용 여론조사

1.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한국리서치 | 22~24일 조사 | 1004명 대상 | 25일 발표 
2. 한국갤럽 | 머니투데이·더300(the300) 의뢰 | 22~23일 조사 | 1011명 대상 | 24일 발표
3. 리얼미터 | YTN 의뢰 | 22~23일 조사 | 1011명 대상 | 24일 발표
4. 조원씨앤아이 | 스트레이트뉴스 의뢰| 20~22일 조사 | 1005명 대상 | 24일 발표
5. 미디어토마토 | 뉴스토마토 의뢰 | 20~21일 조사 | 1018명 대상 | 23일 발표
6. 원지코리아컨설팅 |아시아경제 의뢰 | 20~21일 조사 | 1025명 대상 | 23일 발표
7. 여론조사공정 | 데일리안 의뢰 | 19~20일 조사 | 1000명 대상 | 22일 발표
8. KSOI | TBS 의뢰 | 19~20일 조사 | 1007명 대상 | 22일 발표
9. PNR | 뉴데일리·시사경남 의뢰 | 19~20일 조사 | 1007명 대상 | 21일 발표
10. 한국갤럽 자체조사 |16~18일 조사 | 1000명 대상 | 19일 발표

해당 여론조사의 자세한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Copyright ⓒ 시사저널(http://www.sisajournal.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