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이떠] 카드 발급만으로 연 150만원 벌기 어렵지 않아요

최지희 기자 2021. 11. 25.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연초부터 현대카드 발급 이벤트를 시작으로 농협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바로BC카드, 수협카드, 국민카드, 우리카드 2회, 롯데카드 3회, 신한카드 3회 등 카드 발급으로만 135만원을 벌었습니다. 이외에 상대적으로 혜택 금액이 적은 체크카드 발급 이벤트에도 참여해 20만원 정도 벌었습니다. 카드를 모두 합쳐 1인 발급 이벤트로만 155만원을 번 셈인데, 아내 명의로도 하고 있어서 총 300만원쯤 벌었습니다."

가령 신용카드 발급 이벤트만으로도 연 100만원 이상을 쉽게 챙길 수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선비즈 재테크 유튜브 채널 '누워서 연 2000만원 떠먹기'
6개월 내 해당 카드사 결제 실적 없으면 혜택 받을 수 있어

☞ 유튜브 풀 버전 보러 가기 https://youtu.be/zib1Qicr3ns

“연초부터 현대카드 발급 이벤트를 시작으로 농협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바로BC카드, 수협카드, 국민카드, 우리카드 2회, 롯데카드 3회, 신한카드 3회 등 카드 발급으로만 135만원을 벌었습니다. 이외에 상대적으로 혜택 금액이 적은 체크카드 발급 이벤트에도 참여해 20만원 정도 벌었습니다. 카드를 모두 합쳐 1인 발급 이벤트로만 155만원을 번 셈인데, 아내 명의로도 하고 있어서 총 300만원쯤 벌었습니다.”

연말정산 시즌을 맞아 13월의 월급을 기대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이때 유념해야 할 건, 체크카드 공제율(30%)이 신용카드 공제율(15%)보다 높다고 해서 꼭 체크카드를 쓰는 게 유리하지만은 않을 수 있다는 겁니다. 신용카드는 그 자체로 혜택이 훨씬 많기 때문입니다. 가령 신용카드 발급 이벤트만으로도 연 100만원 이상을 쉽게 챙길 수 있습니다.

25일 조선비즈 재테크 유튜브 채널 ‘누워서 연 2000만원 떠먹기’(누이떠)에서는 올해 신용카드 혜택으로 300만원 가량을 번 ‘훈민아빠’가 신용카드 재테크 노하우와 혜택 많은 신용카드 찾는 법을 소개합니다.

신규 발급 이벤트는 토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북, 핀크 등 간편결제 앱 내에 카드 혜택, 신용카드 이벤트 등의 카테고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네이버 카페 ‘스사사’ 혹은 온라인 커뮤니티 ‘뽐뿌 재테크포럼’에서 요즘 인기 있는 신용카드를 파악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런 혜택을 받으려면 대부분 6개월 내 카드 결제 실적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또 삼성카드나 롯데카드처럼 발급 혜택을 한 번 받으면 1년간 혜택을 받을 수 없게 해놓은 카드사들도 있습니다. 다만 이런 제약이 없는 하나카드나 우리카드는 6개월마다 반복해 연 2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혜택을 자주 받기 위해서는 카드 발급 일자와 해지 일자, 결제일 등이 헷갈리지 않게 따로 문서에 정리해놓는 것을 추천합니다.

카드 해지는 대부분 해당 카드사 앱이나 인터넷뱅킹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카드를 발급받은 뒤 바로 해지한다고 해서 불이익은 따로 없으나 일부 카드사에서는 악성 고객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점이 우려되면 카드를 해지하지 말고 연회비가 없는 카드로 교체 발급을 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카드 발급만 했는데 150만원 벌었다고?

이 외 키워드와 더욱 구체적인 연말정산 정보는 조선비즈 유튜브 채널 ‘누이떠’의 <카드 발급만 했는데 150만원 벌었다고? (발급 이벤트/혜택/캐시백/카드 추천)> 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