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억 들인 美 유튜버 현실판 '오징어게임'..우승 상금은 5억원

이다겸 2021. 11. 25. 15: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유명 유튜버 '미스터 비스트(지미 도널드슨)'가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현실판을 공개했다.

'오징어게임' 현실판에는 총상금 17억원, 세트 제작 23억원 등 약 40억원의 제작비가 들어갔다.

25일(현지시간) 구독자 7650만명을 보유한 유튜버 '미스터 비스트'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456명의 참가자가 모여 상금 456,000달러(한화 약 5억 4천만원)을 걸고 게임을 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유명 유튜버가 40억원을 들려 '오징어 게임'을 현실판을 진행했다. 사진l유튜브 ‘MrBeast’ 캡처
미국 유명 유튜버 '미스터 비스트(지미 도널드슨)'가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현실판을 공개했다. ‘오징어게임’ 현실판에는 총상금 17억원, 세트 제작 23억원 등 약 40억원의 제작비가 들어갔다.

25일(현지시간) 구독자 7650만명을 보유한 유튜버 ‘미스터 비스트’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456명의 참가자가 모여 상금 456,000달러(한화 약 5억 4천만원)을 걸고 게임을 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에는 드라마 ‘오징어게임’에서 나온 게임들을 차례대로 진행하는 456명 참가자들의 모습이 그려졌다.

첫번째 게임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였다. 참가자들은 빨간 불이 뜬 뒤 움직일 경우 작게 폭발하는 장치를 몸에 붙이고 게임을 진행했고, 232명이 살아남아 다음 게임으로 진출했다.

두 번째로 진행된 ‘달고나 뽑기’ 게임에서 참가자들은 ‘복불복’으로 자신이 뽑을 모양을 골랐다. 이후 참가자들은 바늘로 달고나를 긁는가 하면 혀로 녹이는 모습도 보였다. 두 번째 게임의 생존자는 152명이었으며, 탈락한 참가자 모두에게는 상금 2000달러(약 240만원)가 지급됐다.

사진l유튜브 ‘MrBeast’ 캡처
사진l유튜브 ‘MrBeast’ 캡처
‘줄다리기’와 ‘징검다리’ 게임 역시 그대로 재현됐다. 특히 징검다리 게임에서는 바닥에 안전장치를 마련한 실제 고공 징검다리 세트장을 준비, 발판을 잘못 선택하면 밑으로 떨어지는 모습으로 긴장감을 높였다.

마지막 게임까지 6명의 참가자가 살아남은 가운데, 최종 우승자를 결정하기 위한 게임으로는 '뮤지컬체어'가 진행됐다. ‘뮤지컬체어’는 음악에 맞춰 의자 주변을 돌다 음악이 끝나면 의자를 차지하는 사람만 살아남는 게임이다.

원작에서는 ‘오징어게임’으로 승부를 가리지만, 현실판에서는 대부분의 미국인인 참가자들이 한국의 ‘오징어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것을 고려해 이 같이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게임 끝에 결정된 최종 우승자는 079번이었다. 079번은 미스터 비스트가 준비한 우승 상금 45만6000달러(약 5억 4000만원)을 손에 넣었다.

[이다겸 스타투데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스타투데이.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