늪에 빠진 세종시..전셋값마저 하락전환·매매 하락폭은 더 커져 [부동산360]

2021. 11. 25. 14: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집값이 연일 하락세를 이어가던 세종시에서 이제는 전셋값 마저 하락세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넷째주(22일 기준) 세종시 아파트 전셋값은 8월 5주 상승 이후 12주만에 하락 전환했다.

세종시와 대구광역시(-0.02%) 두 곳을 제외하고는 11월 넷째주 전국 주간 아파트값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시 12주만에 전셋값 하락 전환
'하락장' 세종·대구 제외, 전국 아파트값 상승 이어가
학군지, 교통편리한 곳도 꾸준한 전세수요 유지
서울 도봉구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붙은 매물 안내문[연합]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집값이 연일 하락세를 이어가던 세종시에서 이제는 전셋값 마저 하락세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넷째주(22일 기준) 세종시 아파트 전셋값은 8월 5주 상승 이후 12주만에 하락 전환했다. 이번 주 전셋값은 -0.1% 하락해 전주(0.08% 상승) 대비 0.18%포인트 만큼 감소했다. 지역 신규 입주물량 영향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매물이 증가하고 호가가 하락한 탓으로 읽힌다.

세종시는 지난해 아파트 전셋값이 무려 48.56% 올랐으나 올해는 현재까지 누적 8.88% 오르는 데 그쳤다.

이번주 아파트 매맷값은 -0.21% 하락해 전주(-0.12%) 대비 0.09%포인트 더 낮아졌다. 마찬가지로 지난해 40.61% 급등했던 세종시 아파트값은 올해는 누적 1.59% 상승에 그쳤다.

세종시와 대구광역시(-0.02%) 두 곳을 제외하고는 11월 넷째주 전국 주간 아파트값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 제공]

수도권(0.21%→0.18%)과 서울(0.13%→0.11%), 그리고 지방(0.18%→0.16%)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64→160개)은 감소, 보합 지역(2→6개)은 증가, 하락 지역(10→10개)은 유지했다.

서울은 지난 22일 발송된 종합부동산세 여파와 더불어, 금융권 추가 금리인상 우려 등으로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25개구 중 21개구에서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에서 정비사업 기대감 지속되며 가장 상승폭이 큰 용산구(0.23%)마저 전주(0.25%)보다 상승세가 둔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상승폭 감소는 강남도 피해가지 못했다. 서초구(0.19%)는 규제완화 기대감 있는 재건축이나 인기단지 대형 평형 위주로, 송파구(0.17%)는 장지·문정동 대단지 위주로 올랐다.

강남구(0.17%)는 학군수요 있는 개포·대치동 신축 위주로, 강동구(0.14%)는 고덕·강일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대출규제와 세금 중과 등의 이유로 ‘거래절벽’이 생기며 강남4구 전체의 상승폭은 축소(0.18%→0.17%)됐다.

그 밖에 인천은 전주 0.29%에서 이번주 0.25%으로, 경기는 0.24%에서 0.21%로 각각 아파트값 상승폭이 감소했다.

아파트 전세가격 또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16%→0.15%)과 지방(0.15%→0.13%)은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서울(0.11%→0.11%)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강북 14개구의 전셋값은 0.11% 올랐다. 마포구(0.16%)는 도화·창전·대흥동 역세권 위주로, 중구(0.16%)는 신당·황학동 등 대단지 위주로, 용산구(0.15%)는 이촌동 구축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도 전셋값이 0.11% 상승했는데, 강동구(0.14%)는 고덕·천호·둔촌동 등 역세권 중저가 아파트 위주로, 송파구(0.13%)는 잠실·방이·문정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강남구(0.11%)는 학군수요 있는 대치·도곡동 위주로, 서초구(0.09%)는 우면·양재·내곡동 위주로 상승했다.

아울러 양천구(0.13%)도 학군수요 있는 목·신정동 위주로, 구로구(0.13%)는 구로·개봉동 중소형 위주로 상승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대체로 거래활동이 감소하고 매물이 소폭 증가하며 전셋값이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학군이 양호하거나 교통 편리한 역세권 대단지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thin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