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증시 투자전략] '메타버스'에 힘 실은 삼성전자·엔비디아..동서학개미 주목?

SBSBiz 2021. 11. 25. 09:5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와이드 이슈& '글로벌증시 투자전략' - 김동관 유안타증권 글로벌자산배분본부 연구원

[전일장 체크포인트]

Q. 연구원님, 최근 뉴욕증시가 계속 혼조세를 이어가는 모양이에요. FOMC 의사록도 공개가 됐는데, 새벽에 마감한 뉴욕증시 상황 전해주시죠. 

- 뉴욕증시, 연준 '금리인상 준비' 시사에 혼조
- 美증시 대부분 소폭 상승…국채금리 급등세 진정
- 다우 0.03%↓…S&P500 0.25%·나스닥 0.4%↑ 
- 의사록 "경제 전망 불확실, 자산매입 속도 조정 준비" 

Q. 연준이 경제전망에 있어 가장 주목하는 지표죠.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가 발표됐는데, 크게 올랐다고요?

- 연준이 참고하는 美물가지표 '역대급'…인플레 안 꺾인다?
- 美 PCE물가 '31년래 최고'…역사상 최악 인플레 오나
- PCE 가격지수 전월비 0.6%↑…전년比 5.0%↑ 
- 근원 PCE 가격지수 전월比 0.4%↑…전년比 4.1%↑  
- 美 10월 근원 PCE…31년 만에 최대폭 상승

Q. 이렇게 되면 연준의 "인플레는 일시적" 주장이 더이상 안 통할 것 같은데요. 지금 물가 상황, 우려할만한 수준 아닌가요?

- 공급망 붕괴 탓…인력부족으로 가격지수 상승
- 지난해 10월 코로나로 美경제 사실상 '셧다운'
- 코로나 극심했던 전년比, 기저효과 영향
- 내년부터 전년比 물가상승률 완화될 가능성 
- 美가계 소비지출, 경제의 3분의 2 차지하는 성장동력
- 소비지출 증가, 美경제가 살아나고 있다는 반증
- 美연준, 12월 FOMC 테이퍼링과 금리인상 속도 주목
- 美연준 "인플레이션 지속되면 조기 금리인상 준비해야" 

Q. 연준이 물가와 함께 양대축으로 주목하고 있는 고용시장도 한번 살펴봐야 할 것 같아요.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무려 5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요? 

- 고용 호조·치솟는 인플레…美 금리인상 빨라지나?
- 美 주간 실직건수 52년만에 최저…금리인상 앞당기나
- 美신규 실업수당 7만1천 명 감소…19만9천 건
- 바이든 "고용시장 개선…美경제 빠르게 회복"
- 美 3분기 성장률 2.1%…속보치보다 0.1%p 상향

Q. 최근에는 미국 국채금리 급등으로 기술주들이 조정을 받는 모습이었는데요, 오늘 장에선 어땠나요? 

- FOMC 의사록 공개에 국채금리 진정
- 美2년·10년 국채금리 '혼조'…향방은?
- 美10년물 국채금리 1.66%→1.64% 하락 
- 美2년물 국채금리 0.61%→0.65% 상승
- 국채 수익률 상승 속 압박받던 기술주 회복세 

Q. 바이든 정부가 요즘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게 유가죠. 전략비축유를 방출하는 등 유가를 안정시키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는데, 좀 효과가 있었나요?

- WTI 0.1% 하락…SPR 방출공조 효과 '미미' 
- 유가 하락을 원치 않는 OPEC과 러시아  
- 사우디·러시아, 증산 중단 검토…美 전략비축유 방출 반발
- EIA 원유재고 101만7천 배럴 깜짝 증가…유가하락 견인

Q. 한은 금리인상 유력...증시 영향은?

- 25일 한은 금통위…'제로 금리' 막 내릴 듯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가시권…국내증시 영향은?
- 코스피, 기준금리 인상 중요치 않아

[글로벌 증시 진단]

Q. 뉴욕증시 다우 VS 나스닥…엇갈리는 이유는?

- 美증시 '성장주의 시간'이 돌아왔다?
- 美증시, 지난 1달간 성장주 위주의 상승
- 10월 초까지 S&P500 14%·나스닥 10% 상승
- 11월 현재까지 나스닥 13.7%·S&P500 9.8% 상승
- 연초 이후, 나스닥 24.59%·S&P 25.08%↑ 
- 성장주 상승세 내년 1분기 말까지 이어질 가능성 
- 향후 '닷컴 버블' 재연 가능성 확대되는 중

Q. 과거 버블 장세 '데자뷔'…닷컴버블 재연되나?

- 1998년 이후 3차례의 금리인상 사이클
- 1998년~2000년 닷컴 버블 시기 흐름과 유사
- 1998년 하반기에 3 차례 금리를 급격하게 내려
- 글로벌 증시, 1999년 10월에 바닥 다지고 급등
- 美 연준 금리인상 1999년 7월까지 시장 급등
- 금리 인상 후 약 3개월의 조정…그 후 다시 급등
- 빠른 금리인상에도 나스닥 위주의 큰 폭 상승

Q. '닷컴버블' 붕괴 전 금리인상과 증시 흐름은?

- 금리인상 우려시기, S&P500 3개월간 13% 조정
- 금리인상 우려시기, 나스닥 3개월간 15% 조정
- 금리인상 시작 후  S&P500 25%·나스닥 110% 급등
- 닷컴버블 붕괴, S&P500 50%·나스닥 78% 폭락장
- 1998년 테이퍼링 후 금리인상까지 10개월 소요
- 10% 이상의 조정 후 마지막 꼭지까지 9개월 소요 
- 닷컴버블, 2년간의 짧은 붐- 버스트 사이클

Q. '닷컴버블' 시나리오…현재 증시에 대입해본다면?

- 현재, 테이퍼링과 금리인상 2년 반 소요 예상
- 금리인상 전, 내년 3분기 말~4분기 초까지 상승장
- 2022년 금리인상 3~6개월 전 조정 예상
- 2023년 6~9월, 증시 2자리수 조정 예상
- 2025년 초까지 증시 재반등 가능성
- 2년 내, 美나스닥 3자리수 상승 가능성

Q. 나스닥 VS S&P500…어디에 베팅해야?

- S&P500 68% 오를 때…나스닥 278% 상승
- 닷컴버블 시기, 가치주보다 성장주 우세
- 이번에도 가치주보다 성장주…상승률 2배 예상

[글로벌 증시 포트폴리오 전략]

Q. 돌아온 '닷컴버블'…지금 주목할 종목은? 

- 닷컴버블 시기 대표 상승 업종 '반도체·바이오' 
- 반도체 646%·바이오테크 555% 상승
- 닷컴버블, 필라델피아 반도체 646% 상승
- 코로나 이후 현재, 반도체지수 217% 상승세
- 닷컴버블, 바이오테크지수 555% 상승
- 코로나 이후 현재, 바이오테크지수 64% 상승
- 이번엔 바이오테크 보다 다른 성장 업종 주목

Q. 닷컴버블도 견뎠다…이번에도 살아남을 종목은?

- 닷컴버블에서 살아남은 아마존·이베이
- 뉴욕증시 유행주와 닷컴버블주가 비슷한 이유?
- 닷컴버블, 인터넷 관련주 800~3000% 상승 
- 닷컴버블, 이베이 2095%·아마존 822% 상승
- 코로나 이후, 이베이 187%·아마존 126% 상승
- 아마존·이베이·부킹홀딩, 추가 상승여력 여전

Q. 인터넷 광풍 '닷컴버블', 이번엔 '메타버블'?

- 나스닥 인터넷지수, 작년 3월 대비 126% 상승
- 메타버스 ETF, 저점 대비 22% 상승
- 메타버스 대표주자 로블록스, 바닥 대비 99% 상승

Q. 코로나發 기술혁명, ‘메타버블’ 대비전략은?

- 현실경제와 연결되는 메타버스…'메타버블' 가능성
- 메타버스·신재생에너지·전기차에 주목해야
- '메타버스'에 힘 실은 엔비디아 CEO
- 엔비디아 CEO, 메타버스의 비용 절감 효과 강조 
- 자율주행 활성화에 엔비디아의 매력도 높아져
- 메타버스 수혜주 엔비디아 3분기 매출 50%↑

Q. 다가오는 금리인상…지금 담아야 할 종목은?

- 신재생에너지 ICLN ETF, 저점 대비 209% 상승
- 신재생에너지·전기차 QCLN ETF, 202% 상승
- 전기차 대표 ETF DRIV, 243% 상승 중
- 전기차 배터리 관련 ETF, LIT 464% 상승

Q. '성장주 대세상승장'이 온다…근거는?

- 美10년물 국채 실질금리 - 1.14% 수준
- 10년물 국채금리 하향안정화, 성장주에 호재
- 장단기금리차 1.02% 수준…향후 더 낮아질 가능성
- 경제성장률 1.5~3% 수준…성장주 위주 투자유효 
- 금리인상 시기 내년 2022년 하반기 전망
- 금리 연간 0.75%씩 인상…2024년말 2% 도달 전망

Q. 달러 강세 VS 하락…증시 운명 달렸다?

- 달러인덱스, 광범위 기준 115…지수 96 수준
- 달러강세, 美증시 닷컴버블 재연 가능성↑
- 달러 하향 안정화되면 신흥국 시장 상승 기대
- 달러 강세 지속시, 120선까지 상승 가능성
- 달러 움직임에 따라 닷컴버블 VS 산업재버블 판단

Q. 美 증시, 인플레이션 우려 속 방향성 탐색…판단은?

- 美여신증가율 현재 7.67% 수준…경기 안정화 가능성
- 설비투자 증가, 부분적 확대…인플레 압력
- 중국 공장이 돌아간다…공급망 위기 정점 찍었나
- 중국發 인플레이션…원자재 가격 안정화로 완화 전망

Q. 中유동성 살아나나…높아지는 '닷컴버블' 가능성?

- 사재 턴 중국 부동산 ‘억만장자들’
- 중국, 경기둔화에도 기준금리 19개월 연속 동결
- 中 부동산업계서 사주 출연붐...유동성 위기 모면책

Q. 현 시점,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은?

- 닷컴 버블의 재연 가능성에 무게 두고 전략 
- 美성장주 비중 70%…신흥국 비중 30% 전략
- 성장주, 반도체·헬스케어·신재생에너지 분배
- 성장주와 가치주 비중 섞어서 종목 선별
- 13개 종목의 상승여력 하락 타이밍 주목 

Q. 더 낮아진 내년 코스피 전망…정말 악화되나?

- 상고하저 vs 상저하고…엇갈린 내년 코스피 전망
- 코스피 예측 ‘들쭉날쭉’…내년 고점 시기는 언제?
- 내년 코스피, 최하단 2650~2740 의견도
- 유안타증권 "내년 코스피 2750~3350P 전망" 
- "내년 코스피 3600선 돌파"…넘어야할 악재는?
- 내년도 올해와 같은 박스피…일부 전통산업 반격에 주목
- 카카오·두산중공업…흔들리는 연말장세 버팀목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