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브리핑] 가죽코트, 김정은만 입을 수 있는 '존엄 스타일'?

최종혁 기자 2021. 11. 24. 21: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 뒤에 숨은 이야기 백브리핑 시작합니다.

첫 번째 브리핑 < 존엄 스타일 > 입니다.

지난주 35일 만에 공식석상에 등장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마치 누아르 영화의 한 장면처럼 검은색 롱 가죽 코트 입고 주머니에 손을 넣어 자세를 취했습니다.

반대로 환하게 웃어 보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가죽코트, 김 위원장의 겨울철 애장품 같기도 한데요.

올 1월에도, 지난해 1월에도 같은 디자인의 가죽코트를 입고 있습니다.

그나저나 북한말로 '살까기' 다이어트에 성공한 게 맞는지 살은 빠진 것 같죠?

벨트 길이도 남고, 손을 짚어넣을 정도로 여유가 생기기도 했네요.

이 가죽코트를 두고 북한 내부 소식통을 통해 북한 소식 전하고 있는 미국의 한 방송이 이런 보도를 내놨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 : 젊은 남성들 속에서 가죽코트가 유행하고 있다며 가죽 코트의 유행은 2019년 최고존엄이 가죽코트를 입고 텔레비전 방송에 나오면서부터 시작됐다. 합성가죽 원단을 확보한 업자들은 최고존엄과 큰 간부들이 입었던 가죽코트를 그대로 본을 떠 제작하고 장마당에서 판매하고 있다.]

저희도 그렇잖아요. TV에 '셀럽', '인플루언서'가 입고 나오는 옷이 유행하는 뭐 그런 거 말이죠.

그런데 지디가 입었던 옷을 제가 따라 입었다고 저를 어디에다 신고하는 사람은 없죠.

하지만 북한, 이 가죽코트를 입은 사람이 보이면 곧바로 빼앗는다고 합니다.

[자유아시아방송 : 최고존엄의 가죽코트를 그대로 본을 떠 입고 다니는 건 최고존엄 권위에 올라타려는 불순한 동향이라며]

어떻게 감히 최고존엄과 똑같은 스타일을 할 수 있냐 이런 의미겠죠? 그런데 북한의 단속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한국의 드라마 등을 보는 걸 금지하고 있죠.

최근엔 '오징어 게임'을 몰래 본 청소년들이 적발됐다고 합니다.

[자유아시아방송 : USB 기억기(저장장치)를 (중국으로부터) 들여와 판매한 주민은 총살형에 처해지고 이를 구입해 시청한 학생은 무기징역, 나머지 함께 시청한 학생들은 노동교화형 5년을 선고받았다.]

실제로 오늘(24일) 노동신문도 젊은층 사이에 제국주의 문화가 침투하는 현상을 경고하는 논설을 실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김 위원장은 스위스에서 공부하고 미국의 농구 스타 데니스 로드먼이랑 친구죠.

권력자만 할 수 있는 일이 이렇게 많은 나라 정상국가라고 보긴 힘들죠?

북한이 정상국가로 인정받아 국제사회에 서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해 보이네요.

다음 브리핑 < 횡설수설 > 입니다.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 기업인들이 모인 자리에서 연설을 했는데요.

준비해 온 원고가 뒤섞였는지 헤맸는데요.

그런데 딱히 원고 문제도 아니었는지, 자연스럽게 진행돼야 할 질의응답 시간에는 말이 더 꼬였습니다.

느닷없이 전날 놀이공원에 다녀왔다며, 궁금하지도 않은 말들을 쏟아냅니다.

민간 분야의 에너지가 성장 동력이라는 점을 강조한 건데 솔직히 잘 이해는 안 되네요.

존슨 총리는 또 녹색경제와 관련된 10가지 계획을 성경의 십계명과 비교하면서 자신을 모세에 빗대고, 가솔린차와 전기차를 비교할 땐 '부릉 부릉' 엔진 소리를 내기도 했습니다.

사실 그는 런던 시장일 때 부터 괴짜 정치인으로 이목을 끌었죠.

런던 올림픽을 홍보한다며 공중에 매달리기도 했고, 아이들과 럭비를 하다 덩치가 반의 반도 안 되는 어린이를 있는 힘껏 밀치고는 달려갑니다.

뒤돌아 서서 농구공 던지기 생선에 뽀뽀하기 등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인데요.

유머나 망가지는 모습들 정치인에 필요한 하나의 모습이긴 합니다.

과거 우리 정치인들도 '웃겨야 산다'며 국회 유머 포럼을 만들어 활동하기도 할 정도였으니까 말이죠.

하지만 이날 존슨 총리의 연설을 두고 한 노동당 의원은 "난장판이었다", "농담이 더는 재미있지 않아 아무도 웃지 않았다"고 꼬집었습니다.

정치인에게 유머도 역시나 과유불급, 과하면 모자르니만 못합니다.

오늘 백브리핑은 여기까지입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