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덕에.. 車 디자인에도 변화 가능성 열려"

조병욱 2021. 11. 24. 19: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기차 덕분에 자동차 디자인에도 변화의 가능성이 열렸다."

세계적 자동차 디자이너인 피터 슈라이어(68·사진) 현대차그룹 디자인경영담당 사장은 24일 서울 강남구 파크하얏트 서울호텔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슈라이어 사장은 "전기차나 자율주행 같은 기술은 구동 방식, 내장 디자인 등 차의 운영방식을 크게 바꿀 것"이라며 "다양성을 부여하고, 개발에 있어 디자인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피터 슈라이어 현대차 디자인경영 사장 인터뷰
車디자인 거장.. '디자인 너머' 출간
"미래차, 車 운영방식도 변화줄 것
디자인엔 기업도 바꾸는 힘 있어
한국 혁신추구.. 빠르게 전진 특성"
“전기차 덕분에 자동차 디자인에도 변화의 가능성이 열렸다.”

세계적 자동차 디자이너인 피터 슈라이어(68·사진) 현대차그룹 디자인경영담당 사장은 24일 서울 강남구 파크하얏트 서울호텔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독일에서 슈라이어 사장의 삶과 디자인 철학을 조명한 책이 출간됐고, 국내에는 이달 ‘디자인 너머’라는 제목으로 출판됐다.

현대차그룹의 독자적인 디자인을 창조한 인물로 평가받는 그는 미래차는 디자인뿐 아니라 차의 운영방식도 바뀔 것이라고 내다봤다. 슈라이어 사장은 “전기차나 자율주행 같은 기술은 구동 방식, 내장 디자인 등 차의 운영방식을 크게 바꿀 것”이라며 “다양성을 부여하고, 개발에 있어 디자인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디자인이 기업과 사회를 바꾸는 힘도 지녔다고 했다. 그는 “많은 사람이 차 디자인을 외부 모습을 바꾸는 정도로 생각하는데 디자인은 외형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며 “디자인은 기업을 바꾸고, 브랜드의 인식을 제고한다”고 강조했다.

아우디·폴크스바겐에서 디자인 총괄을 맡으며 독일 3대 차 디자이너로 꼽히던 그는 2006년 현대차그룹(기아)으로 옮겨왔다. 이후 쏘울, K5, 제네시스 등 다양한 차량 디자인을 지휘하며 동서양의 문화를 잘 접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한국 디자인 특징에 대해 “독일은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디자인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한국은 혁신을 추구하고 빠르게 전진하려는 특성이 있다”고 했다.

자동차 평론가 사이에서 현대차는 내장 디자인을 잘 만들기로 유명하다. 이에 대해 슈라이어 사장은 “차는 두 번째 집”이라며 “사람들은 보통 처음에는 차의 외장을 보고 구매하지만 이후에는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 아침에 차에 탔을 때 고객이 긍정적인 경험과 기분을 느끼길 바라며 디자인한다”고 했다.

슈라이어 사장을 영입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당시 기아 대표)에 대한 디자이너의 속내도 털어놨다 “정 회장은 디자이너에게 시간적 자유를 많이 허락해 주는 동시에 많은 도전 과제를 준다”며 “나에게는 멘토처럼 지지해주면서도 새로운 변화 추구에 아주 많은 흥미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후배들에게 당부도 잊지 않았다. “편안한 마음으로 접근하는 게 중요하다”며 “디자이너는 다방면으로 압박을 받는데, 이때 유연한 사고와 자유로운 생각이 새로운 디자인을 창조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슈라이어 사장은 통역이 진행되는 틈틈이 책 표지에 들어간 기아의 팝 콘셉트카를 스케치했다. 그 모습은 칠순을 앞둔 경영자가 아닌 영락없는 현역 디자이너였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