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월패드'에 쉬운 비밀번호 쓰지 마세요"

정윤주 2021. 11. 24. 18: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스마트홈 기기 해킹을 통한 영상 유출이 우려된다며 홈 네트워크 기기 제조기업과 공동주택 관리소, 이용자 등에 24일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월패드나 웹캠 등 홈네트워크 기기를 해킹하는 수법으로 영상 등 사생활 정보를 캐내고 랜섬웨어를 심는 공격 등이 이어지고 있다.

월패드는 도어락, 조명, 난방, 카메라 등 가정내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연동·제어하는 홈네트워크 허브로, 스마트폰으로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월패드 등 홈네트워크 기기 관리·이용자 보안수칙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스마트홈 기기 해킹을 통한 영상 유출이 우려된다며 홈 네트워크 기기 제조기업과 공동주택 관리소, 이용자 등에 24일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월패드나 웹캠 등 홈네트워크 기기를 해킹하는 수법으로 영상 등 사생활 정보를 캐내고 랜섬웨어를 심는 공격 등이 이어지고 있다.

월패드는 도어락, 조명, 난방, 카메라 등 가정내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연동·제어하는 홈네트워크 허브로, 스마트폰으로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홈네트워크 기기 제조기업에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문하면서 알려진 보안 취약점을 점검토록 요청했다.

이용자에게는 ▲ 안전한 암호 설정 등 보안 수칙 준수 ▲ 기기 보안 주기적 업데이트 ▲ 카메라 미 이용 시 카메라 렌즈 가리기 등을 권유했다. 특히 짐작이 쉬운 암호를 사용하지 않도록 강조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에는 ▲ 방화벽 등 보안장비 운영 ▲ 주기적인 보안취약점 점검 및 조치 ▲ 관리 서버에 불필요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거 ▲ 관리자 비밀번호 주기적 변경하기 ▲ 침해사고 발생 시 인터넷 침해 대응센터(☎118)로 신고하기 등을 당부했다.

jungle@yna.co.kr

☞ 한발 먼저 도착한 '박근혜 가짜화환' 소동…朴측 '배달중'
☞ [전두환 사망] '5공 2인자' 장세동, 고인 사망 소회 묻자…
☞ "전두환 '김영삼이 나를 죽이려고'"…스님의 회고
☞ 11억원 복권 당첨되자 시작된 갱단 위협…마을의 비극
☞ '세계 최고령' 124세 필리핀 할머니 타계
☞ 중국, 존재 몰랐던 2000년대생 1천160만명 발견
☞ "매일 14시간 목화 따고 50센트"…틱톡 스타된 103세 할머니
☞ 하동 청학골 이장부부 여섯째 아기 출생…"저출산 희망되길"
☞ 12시간넘게 직원 폭행해 숨지게한 응급이송단 대표 결국
☞ "층간소음에 살인사건 난다"…112에 예고한 30대 응급입원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