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의 윤리학[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19〉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2021. 11. 24.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증오에서 증오를 배우는 사람이 있고 사랑을 배우는 사람이 있다.
그것을 결정하는 것은 그 사람의 그릇이다.
그가 철학자가 되어 말하고 쓴 모든 것에 그 상처가 남았다.
그가 진정한 환대는 환대할 수 없는 것을 환대하는 것이라면서,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을 포함한 모든 것들을 환대하자고 얘기한 것도 그 상처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증오에서 증오를 배우는 사람이 있고 사랑을 배우는 사람이 있다. 그것을 결정하는 것은 그 사람의 그릇이다. 알제리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는 증오에서 사랑의 윤리를 캐낸 사람이었다.
그는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었다. 프랑스 식민지였던 알제리 초등학교에서는 일등을 하는 학생들이 돌아가면서 국기를 게양했다. 그런데 데리다의 차례가 됐을 때 다른 학생이 그 일을 대신했다. 그가 유대인이어서 그랬다. 그 일만이 아니었다. 식민정부는 유대인 학생들을 제한하기 위한 할당제를 실시했다. 나중에는 그것마저도 반으로 줄였다. 그의 표현대로 “검고 매우 아랍인 같고 키 작은 유대인”이었던 그가 1942년 10월에 중학교에서 쫓겨난 이유다. 이듬해 4월에 다시 학교로 돌아갔으니 불과 몇 개월이었지만 그 일은 열두 살짜리 소년에게 큰 상처가 되었다.
그가 철학자가 되어 말하고 쓴 모든 것에 그 상처가 남았다. 조금 과장하면 그 상처가 철학의 출발점이었다. 상처는 그에게 증오에 대한 맞대응을 가르치지 않았다. 원한이나 열등감을 가르치지도 않았다. 자민족 중심주의를 가르치지도 않았다. 그것이 가르친 것은 타자에 대한 환대의 정신이었다. 그가 진정한 환대는 환대할 수 없는 것을 환대하는 것이라면서,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을 포함한 모든 것들을 환대하자고 얘기한 것도 그 상처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유대인인 그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인들에게 가하는 폭력에 분개한 것도 그래서였다. 그는 역사적으로 수난을 당한 유대인들이 다른 민족을 수난으로 몰아넣는 모순과 위선을 싫어했다.
그는 상처를 윤리학의 초석으로 삼은 따뜻한, 정말이지 따뜻한 철학자였다. 오죽하면 모든 사유가 그 상처에서 연유한다고까지 말했을까. 그는 성장하면서 “자신의 상처에 약을 바를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굳이 나으려고도 하지 않았다. 역설적이게도 그의 치유는 치유의 거부에 있었다. 그릇이 큰 사람이어서 가능한 일이었다.
그는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었다. 프랑스 식민지였던 알제리 초등학교에서는 일등을 하는 학생들이 돌아가면서 국기를 게양했다. 그런데 데리다의 차례가 됐을 때 다른 학생이 그 일을 대신했다. 그가 유대인이어서 그랬다. 그 일만이 아니었다. 식민정부는 유대인 학생들을 제한하기 위한 할당제를 실시했다. 나중에는 그것마저도 반으로 줄였다. 그의 표현대로 “검고 매우 아랍인 같고 키 작은 유대인”이었던 그가 1942년 10월에 중학교에서 쫓겨난 이유다. 이듬해 4월에 다시 학교로 돌아갔으니 불과 몇 개월이었지만 그 일은 열두 살짜리 소년에게 큰 상처가 되었다.
그가 철학자가 되어 말하고 쓴 모든 것에 그 상처가 남았다. 조금 과장하면 그 상처가 철학의 출발점이었다. 상처는 그에게 증오에 대한 맞대응을 가르치지 않았다. 원한이나 열등감을 가르치지도 않았다. 자민족 중심주의를 가르치지도 않았다. 그것이 가르친 것은 타자에 대한 환대의 정신이었다. 그가 진정한 환대는 환대할 수 없는 것을 환대하는 것이라면서,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을 포함한 모든 것들을 환대하자고 얘기한 것도 그 상처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유대인인 그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인들에게 가하는 폭력에 분개한 것도 그래서였다. 그는 역사적으로 수난을 당한 유대인들이 다른 민족을 수난으로 몰아넣는 모순과 위선을 싫어했다.
그는 상처를 윤리학의 초석으로 삼은 따뜻한, 정말이지 따뜻한 철학자였다. 오죽하면 모든 사유가 그 상처에서 연유한다고까지 말했을까. 그는 성장하면서 “자신의 상처에 약을 바를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굳이 나으려고도 하지 않았다. 역설적이게도 그의 치유는 치유의 거부에 있었다. 그릇이 큰 사람이어서 가능한 일이었다.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하나회-5공 인사들 전두환 조문…장세동 “난 아무것도 모른다”
- 전두환 33년전 백담사로 떠난 날 세상 떠났다
- ‘12·12 쿠데타’로 정권 잡고 ‘5·18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 전두환 24년째 미납 추징금 956억 원, 고스란히 사회적 빚으로
- 외신들 “독재자 전두환 사망, 끝까지 사과하지 않았다”
- [단독]전두환 사망날 5·18유공자 숨진채 발견…후유증 시달려
- 靑 “전두환 사과 안해 유감, 조화-조문 없다”…‘조문 정국’ 가열
- 전두환 시절 경제는…“3저로 호황” “불만 돌리려 3S 정책”
- 전두환 “죽으면 화장해서 뿌리라”…국가장 대신 가족장 예정
- 조응천 “열린민주와 합당? 반대로 가고있다…‘조국의강’ 건너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