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워버리고 미뤄두었던 마음"[김학선의 음악이 있는 순간]
김학선 대중음악평론가 2021. 11. 24.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93년 강변가요제 대상 수상자 이주영'이라고 사인 연습을 하던 소녀가 있었다.
음악을 좋아하던 이주영은 자신이 대학을 입학하는 해인 1993년에 강변가요제 대상을 받는다는 목표를 세웠다.
1994년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금상 수상자 이주영이 있었다.
오랜 시간 음악의 꿈을 간직해 온 이주영이 발표한 첫 앨범이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1〉 이주영 '눈이 내린다'
‘1993년 강변가요제 대상 수상자 이주영’이라고 사인 연습을 하던 소녀가 있었다. 음악을 좋아하던 이주영은 자신이 대학을 입학하는 해인 1993년에 강변가요제 대상을 받는다는 목표를 세웠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음악 취향은 바뀌어 대학생이 된 그가 참여한 대회는 강변가요제가 아닌 유재하 음악경연대회였지만, 중학생 때부터 대학생이 될 때까지 꽤 긴 시간 동안 그는 음악의 꿈을 놓은 적이 없었다.
1994년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금상 수상자 이주영이 있었다. 실제 상을 받았지만 사인을 해주는 일은 생기지 않았다. 경연대회에서 상을 받는다고 가수의 길이 열리는 게 아니란 것도 알게 됐다. 어릴 때 막연히 생각했던, 좋은 곡을 만들면 누군가 나타나 자신을 스타로 만들어 줄 거란 상상은 상상으로 끝났다. 앨범 계약을 하고 서류에 사인한 적은 있지만 그마저도 엎어졌다. 그럼에도 그는 여전히, 음악의 꿈을 놓은 적이 없었다. 계속해서 노래를 만들었다. 매일 밤마다 노래를 만들었다. 어떤 바람도 없이 곡을 썼다.
25년의 시간이 지나 한 장의 앨범이 나왔다. ‘이주영’이란 앨범 제목 앞에 이제는 어떤 수식어도 없었다. 오랜 시간 음악의 꿈을 간직해 온 이주영이 발표한 첫 앨범이었다. 2019년 나온 앨범은 귀 밝은 음악 애호가와 관계자들 사이에서 자그마한 파문을 일으켰다. ‘파문’은 ‘수면에 이는 물결’이라는 뜻을 갖고 있지만, 그 물결은 때론 마음에도 일었다. 그 안의 음악이 새롭거나 파격적인 건 아니었다. 그저 발라드라는 형식에 맞춰 건반을 치고 노래할 뿐이었다. 사람들은 그의 음악을 듣고 ‘속수무책’이라는 표현을 썼다. 속수무책의 마음으로 음악을 듣고, 음악을 들으며 어쩔 줄 몰라 했다.
며칠 전 이주영의 두 번째 앨범이 나왔다. 이번에도 어떤 수식어 없이 ‘발라드’라는 제목을 붙였다. 이주영은 앨범을 ‘이별 전문’ 발라드 모음집이라 설명했다. 앨범에는 들으면 누구나 마음이 일렁일 수밖에 없는 보편적인 발라드 9곡이 담겨 있다. 매번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몰랐던 아티스트를 알게 될 때 으레 “이런 가수가 그동안 어디 숨어 있다 나타났느냐” 얘기하지만 그 가수들은 단 한 번도 숨어 있던 적이 없다. 홍보가 부족해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고 유명 가수만 찾는 미디어에 의해 배제돼 왔을 뿐이다. 미디어가 주목하지 않는 곳으로 조금만 고개를 돌려보면 이주영 같은 훌륭한 음악가가 늘 노래하고 있다.
‘눈이 내린다’는 정규 앨범 발표 전 싱글로 먼저 공개했던 곡이다. 이 노래를 들은 많은 이의 마음이 무너졌다. 속수무책이란 표현에 가장 잘 부합하는 노래다. “지워버리고 미뤄두었던 마음” 앞에서 그저 노래를 들을 뿐이다. 2집 발표와 함께 ‘눈이 내린다’가 더 잘 어울리는 계절이 왔다. 우리가 어떤 민족인가. 발라드의 민족이다. 그렇다면 이 노래에, 이 목소리에 매혹되자.
1994년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금상 수상자 이주영이 있었다. 실제 상을 받았지만 사인을 해주는 일은 생기지 않았다. 경연대회에서 상을 받는다고 가수의 길이 열리는 게 아니란 것도 알게 됐다. 어릴 때 막연히 생각했던, 좋은 곡을 만들면 누군가 나타나 자신을 스타로 만들어 줄 거란 상상은 상상으로 끝났다. 앨범 계약을 하고 서류에 사인한 적은 있지만 그마저도 엎어졌다. 그럼에도 그는 여전히, 음악의 꿈을 놓은 적이 없었다. 계속해서 노래를 만들었다. 매일 밤마다 노래를 만들었다. 어떤 바람도 없이 곡을 썼다.
25년의 시간이 지나 한 장의 앨범이 나왔다. ‘이주영’이란 앨범 제목 앞에 이제는 어떤 수식어도 없었다. 오랜 시간 음악의 꿈을 간직해 온 이주영이 발표한 첫 앨범이었다. 2019년 나온 앨범은 귀 밝은 음악 애호가와 관계자들 사이에서 자그마한 파문을 일으켰다. ‘파문’은 ‘수면에 이는 물결’이라는 뜻을 갖고 있지만, 그 물결은 때론 마음에도 일었다. 그 안의 음악이 새롭거나 파격적인 건 아니었다. 그저 발라드라는 형식에 맞춰 건반을 치고 노래할 뿐이었다. 사람들은 그의 음악을 듣고 ‘속수무책’이라는 표현을 썼다. 속수무책의 마음으로 음악을 듣고, 음악을 들으며 어쩔 줄 몰라 했다.
며칠 전 이주영의 두 번째 앨범이 나왔다. 이번에도 어떤 수식어 없이 ‘발라드’라는 제목을 붙였다. 이주영은 앨범을 ‘이별 전문’ 발라드 모음집이라 설명했다. 앨범에는 들으면 누구나 마음이 일렁일 수밖에 없는 보편적인 발라드 9곡이 담겨 있다. 매번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몰랐던 아티스트를 알게 될 때 으레 “이런 가수가 그동안 어디 숨어 있다 나타났느냐” 얘기하지만 그 가수들은 단 한 번도 숨어 있던 적이 없다. 홍보가 부족해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고 유명 가수만 찾는 미디어에 의해 배제돼 왔을 뿐이다. 미디어가 주목하지 않는 곳으로 조금만 고개를 돌려보면 이주영 같은 훌륭한 음악가가 늘 노래하고 있다.
‘눈이 내린다’는 정규 앨범 발표 전 싱글로 먼저 공개했던 곡이다. 이 노래를 들은 많은 이의 마음이 무너졌다. 속수무책이란 표현에 가장 잘 부합하는 노래다. “지워버리고 미뤄두었던 마음” 앞에서 그저 노래를 들을 뿐이다. 2집 발표와 함께 ‘눈이 내린다’가 더 잘 어울리는 계절이 왔다. 우리가 어떤 민족인가. 발라드의 민족이다. 그렇다면 이 노래에, 이 목소리에 매혹되자.
김학선 대중음악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하나회-5공 인사들 전두환 조문…장세동 “난 아무것도 모른다”
- 전두환 33년전 백담사로 떠난 날 세상 떠났다
- ‘12·12 쿠데타’로 정권 잡고 ‘5·18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 전두환 24년째 미납 추징금 956억 원, 고스란히 사회적 빚으로
- 외신들 “독재자 전두환 사망, 끝까지 사과하지 않았다”
- [단독]전두환 사망날 5·18유공자 숨진채 발견…후유증 시달려
- 靑 “전두환 사과 안해 유감, 조화-조문 없다”…‘조문 정국’ 가열
- 전두환 시절 경제는…“3저로 호황” “불만 돌리려 3S 정책”
- 전두환 “죽으면 화장해서 뿌리라”…국가장 대신 가족장 예정
- 조응천 “열린민주와 합당? 반대로 가고있다…‘조국의강’ 건너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