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본토 진출 대만 대기업 징계..대만 집권당 후원 '괘씸죄'?

정인환 2021. 11. 23. 16: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당국이 대륙에 진출한 대만 대기업을 겨냥해 규제의 칼을 빼들었다.

또 중국 당국이 대만 독립파로 규정하고 이달 초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쑤전창 대만 행정원장(총리 격)이 지난 2018년 신베이 시장 선거에 출마했을 때도 "위안둥의 계열사 아시아증권가 정치자금 후원자 명단에 포함됐다"고 덧붙였다.

2020년 말까지 중국 본토에 진출한 대만 기업은 약 12만개에 이르며, 이 가운데 1199개 기업이 대만 증시 상장기업인 것으로 알려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만 대기업 위안룽집단 계열사 합동 조사
법령 위반 이유로 벌금·행정처분 등 징계
위안룽집단, 대만 집권당에 정치자금 후원
중 당국, "독립 세력과 분명한 선 그어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6일(중국시각) 화상으로 열린 미-중 정상회담 때 “대만 독립·분열 세력이 도발하고 심지어 레드라인(红线·홍선)을 돌파하면 우리는 부득불 단호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중국 당국이 대륙에 진출한 대만 대기업을 겨냥해 규제의 칼을 빼들었다. 겉으론 각종 법령 위반을 내세웠지만, 실제론 대만 집권 민진당에 정치자금을 댄 것을 문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 본토에 진출한 대만 기업 전반에 파장이 있을지 눈길을 끈다.

23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의 보도를 종합하면, 대만 대기업인 위안둥집단이 최근 중국 규제당국의 합동 조사에서 위법 사실이 적발돼 벌금 부과 등 징계에 처해졌다. 1937년 중국 상하이에서 방직회사를 모태로 시작된 위안둥집단은 1949년 대만으로 옮겨간 이후 석유화학·화학섬유·유통·금융·건설 분야까지 사업 부문을 다각화했으며, 대만 재계 순위 10~20위권으로 평가받는다.

통신은 “상하이를 비롯해 장쑤 장시 후베이 쓰촨 등 5개 성급 지역 규제 당국의 합동 조사에서 위안둥 집단 계열사가 환경보호와 토지사용, 노무 및 생산관리, 소방, 조세 등과 관련한 법령 위반한 사실을 적발했다”며 “관련 법규에 따라 해당 기업 쪽에 벌금이 부과됐으며, 체납 세금 추징과 함께 일정 기간 안에 잘못을 바로잡도록 명했다”고 전했다. 또 “해당 업체 쪽도 법령 위반 사실을 인정하고, 행정 조치에 따른 의무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기로 했다”며 “해당 업체 쪽이 확보하고 있던 미사용 사업용 부지는 회수했으며, 관련 조사는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내부 자료를 따 “문제가 된 위안둥 집단의 계열사는 위안둥 신세기방직과 아시아시멘트이며, 이들 업체에 부과된 벌금은 약 8860만위안(약 165억원)에 이른다”고 전했다.

이같은 사실이 전해지면서, 중국 내부에선 위안둥 집단이 대만 집권 민진당에 정치자금을 후원하는 등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는 점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관영 <환구시보>는 대만 선거당국의 자료 내용을 따 “위안둥 쪽은 지난 2020년 대만 총통 선거 및 총선에서 민진당 후보자 47명에게 모두 5800만대만달러(약 25억원)에 이르는 정치자금을 지원한 최대 후원자였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 당국이 대만 독립파로 규정하고 이달 초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쑤전창 대만 행정원장(총리 격)이 지난 2018년 신베이 시장 선거에 출마했을 때도 “위안둥의 계열사 아시아증권가 정치자금 후원자 명단에 포함됐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주펑롄 국무원 대만판공실 대변인은 전날 저녁 성명을 내어 “대만 기업의 대륙 진출과 투자를 환영하며, 관련 법에 따라 이들의 합법적 권리와 이익을 지속 보장할 것”이라며 “다만 대만 독립을 지지하거나 대만해협 양안관계를 훼손하는 세력이 본토에서 돈벌이를 하는 것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만 독립세력과 그 관련 기업 및 이들의 투자자는 법에 따른 처벌을 받게 될 것”이라며 “대만 기업과 기업인들은 옳고 그름을 분별해야 하며, 대만 독립 세력과 분명한 선을 그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만 기업인단체 공상협진회의 린보펑 이사장은 <환구시보>에 “위안둥 집단 사례는 개별적인 사안으로 대만 기업의 대륙 투자 의지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중국 본토에 진출한 대만 기업의 ‘불확실성’은 증폭될 수밖에 없어 보인다. 2020년 말까지 중국 본토에 진출한 대만 기업은 약 12만개에 이르며, 이 가운데 1199개 기업이 대만 증시 상장기업인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