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로의 상징' 아르코, 문화예술의 과거와 미래 펼치다

박지현 2021. 11. 22. 18: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81년 문예진흥원 문예회관으로 시작..아르코예술극장, 한국 공공극장사 대변
개관 40년 역사 담은 '밤의 플랫폼' 연대기·설치·영상작품·퍼포먼스 선봬
미술관선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전시.. VR·3D프린팅·로봇 등 다양한 기술 접목
생물학 등 다학제 이론 적용한 작품 소개..과학과 예술 연계 사회적 문제 해법 제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카이브 프로젝트 '밤의 플랫폼'전에 출품된 김익현의 작품 'MINIM MINIM'
'밤의 플랫폼'전에 출품된 '1-2-3-4 Spotlight'

지금 대학로에는 예술의 과거와 미래가 동시에 펼쳐지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반세기 전, 서울대학교가 관악구로 이전한 이후 한국문화예술진흥원(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 비어있던 대학 건물에 들어오고 마로니에 공원 북쪽과 동쪽에 문예진흥원 예술극장(현 아르코예술극장), 문예진흥원 미술관(현 아르코미술관)이 들어서면서 이곳은 한국 문화예술의 산실로 자리매김했다. 대학로를 '문화예술의 거리'로 불리게 만든 상징적인 이 두 공간에 한국 공연 예술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전시와 한국 미술의 미래를 가늠케 하는 두 전시가 진행중이다.

■아르코예술극장의 40년을 통해 한국공연예술의 역사 되짚어보기

한국 공연예술의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진 이라면 이 늦가을 아르코예술극장 로비를 무심코 지나쳐서는 안된다. 예술위가 진행중인 아카이브 프로젝트 '밤의 플랫폼'이 진행중이다. '밤의 플랫폼'은 1970년대 동아방송에서 오랫동안 진행된 라디오 프로그램 제목을 직접 따온 것으로 극장이라는 시공간을 과거, 현재, 미래로 바라볼 수 있는 장으로 표현하고자 붙인 타이틀이다. 이번 전시는 올해 개관 40주년을 맞은 아르코예술극장의 지난날을 돌아보며 공공극장으로서의 역할을 되새기고 정비하고자 하는 취지로 기획됐다.

켜켜이 쌓인 흔적들 가운데 건져낸 1981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예회관'으로 문을 열었고 2002년 문예회관에서 '예술극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2005년 '아르코예술극장'이라는 이름을 얻은 이 극장의 역사는 한국 공공극장사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아르코예술극장이 불혹을 맞이하기까지 겪어온 일들을 예술가의 시선으로 선별하고 추려내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현시원 큐레이터를 필두로 안무가 김재리와 연극계에서 잔뼈가 굵은 전강희 작가가 기록된 과거의 아카이브를 재해석해 김동희, 김익현, 노송희, 맛깔손, 오석근, 홍은주 김형재, 권령은·오설영·정지혜, 나연우, 남정현, 이리 등 아티스트들과 함께 각자의 주제를 가지고 아르코예술극장 개관 40년의 현재와 미래를 바라보는 사진 및 연대기, 설치, 영상 작품 전시와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이번 전시에는 극장 개관 당시 수증된 동상들을 아르코 미술관 수장고에서 꺼내와 로비 한 벽에 나란히 늘여 놓았는데 당대의 시대상을 느끼는데 도움 된다. 전시는 26일까지.

■과학을 도구로 삼은 예술, 미래를 위해 시대의 문제를 고민하다

아르코예술극장에서 나와 왼편의 아르코미술관으로 발걸음을 옮기면 지금 이 시대 미술이 화두로 삼고 있는 대표적인 아젠다는 무엇이며 또 앞으로 어느 방향으로 갈지 유추해볼 수 있는 전시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예술위의 '예술과 기술 융합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융복합 예술 페스티벌'로서의 전시다. 전시의 제목은 미국 문학자이자 생태문화이론가인 스테이시 앨러이모의 '횡단신체성' 개념에서 따왔다. 이 개념은 인간과 기술, 환경 사이의 관계를 물질들 사이의 유동성으로 정의하고 이 세 가지가 서로 얽히는 가운데 발생하는 다양한 가치들을 다룬다.

이번 전시에는 시각 및 다원 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작가 35명이 참여해 팬데믹과 기후 위기 시대에 예술적 상상력을 통한 인간과 기술, 환경의 선순환적 관계를 재정립하는 방안에 대해 다뤘다. 지금 이 순간 과학도 해결하지 못한 인류의 난제를 해결할 열쇠가 예술에 있다는 믿음으로 진행되는 전시인 셈이다. 전시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3D프린팅, 로봇 기술, 영상, 데이터 시각화, 사운드 인터랙션 등 다양한 기술과 생물학, 지리학, 빙하학 등 다학제 이론을 직접적으로 매개하거나 은유적으로 적용한 50여 점의 작업들이 소개됐다.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과학과 예술 사이의 연결 고리를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전세계적 화두인 환경 문제 해결과 팬데믹 극복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신재연 작가는 마치 과학자처럼 흙속의 미생물과 곰팡이를 탐색하고 지력을 잃어버린 땅의 기운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심혼술을 끌어와 마치 중세시대 연금술사와 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선보인다.

장한나 작가는 인류세를 대표하는 암석이 되어버린 플라스틱을 채집하고 관찰하는 '뉴 락 프로젝트'를 통해 자연의 대척점으로 존재하던 플라스틱이 지질학의 일부가 되고 생태공간이 되었음을 암시한다.

과학과 비과학을 섞어 사회적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나선 기상천외한 예술가들의 작품 활동을 살펴보며 현대미술의 방향성을 다시금 되짚어볼 수 있다. 전시는 다음달 12일까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