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중환자 병상 80% 들어차.. '1시간 거리' 비수도권으로 환자 옮긴다

김민정 기자 2021. 11. 20. 03: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중대본 "상태 안정적이면 이송"
전문가 "이송중엔 대처 어렵다"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 3주차 만에 수도권 병상 부족이 현실로 닥치자, 정부가 일부 수도권 환자를 1시간 이내 거리에 있는 비수도권 병상으로 이송하기로 했다. 수도권에 코로나 전담 병원도 추가 지정해 병상 확보에 나섰다.

수도권에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중환자 병상 부족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19일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서북병원 주차장에 중증 환자 급증에 대비한 ‘이동형 음압 병실’이 설치돼 있다./연합뉴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 같은 내용의 ‘수도권 의료 대응 강화 대책’을 19일 발표했다. 권덕철 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수도권 병상 상황이 나빠지고 있다”며 “환자 상태를 고려하며 1시간 이내 이송 가능한 지역을 원칙으로 비수도권의 병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했다. 최근 확진자가 쏟아지면서 수도권 지역 병상에 비상이 걸리자 병상 여유가 있는 비수도권에서도 수도권 환자를 보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수도권은 중환자 병상 부족이 크게 우려되는 상황이다. 18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3.6%였지만 수도권은 78.2%로 80%에 근접했다. 서울은 345개 병상 중 277개(80.3%)가 사용돼 가동률이 80%를 넘어섰다. 병상이 없어 제때 입원을 하지 못하는 대기자도 18일 423명(0시 기준)에서 이날 520명으로 급증했다. 이달 들어 병상 배정을 기다리다 총 6명이 사망했다.

이날 브리핑에 참석한 김연수 서울대학교 병원장은 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인 중환자를 지방 국립대 병원으로 이송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김 병원장은 “응급 상황 대응이 끝나고 안정적인 치료기에 있는 중환자들을 적극적으로 의료 역량이 갖춰진 지방 국립대로 이송하고자 한다”며 “이를 위해 중환자 이송 시스템(SMICU)과 소방 헬기 이송 시스템을 이용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도권 중환자를 비수도권으로 보낸다는 계획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교수는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때 강원도에서 발생한 환자가 받아주는 병원을 찾지 못해 춘천에서 강릉으로, 다시 서울로 이동하며 500km를 헤맨 사례가 있다”며 “이송 중 앰뷸런스에서 환자 상태가 악화할 경우 대처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오주형 상급종합병원협의회장도 브리핑에서 “중환자는 이송 과정에서 환자 상태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인공호흡기를 갖춘 응급 이송차 확보나 응급 상황에 대비할 의료 인력 동승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며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중증 환자를 수도권에서 수용하는 것이 맞는다”고 했다. 이어 “중등증이나 준중증 환자로 상태 호전이 있는 환자를 비수도권으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중환자 대응 체계 붕괴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정부는 단계적 일상 회복을 멈추는 ‘비상 계획’ 발동을 검토할 단계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정부는 대신 이날 대책을 통해 거점전담병원 2곳(165병상), 감염병전담병원 2곳(85병상)을 추가로 지정했다. 지난 5일과 12일 수도권 병상 확보 행정명령을 통해 확보하기로 한 준중증 병상 452개·중등증 병상 692개도 빠른 시일 내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의료 기관이 관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음압격리병실당 입원 환자 수를 늘리고, 인력 확보가 어려운 의료 기관에는 ‘의료 인력지원 시스템’을 통해 중환자실 근무 경험이 있는 간호사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응급 상황이 아닌 코로나 환자의 경우 단기 입원 등을 할 때 구급차 대신 자기 차로 이동하게 해 보건소와 구급대 업무 부담을 줄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